성장률 전망 `1.4%`… 석달만에 또 내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은행은 25일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우리나라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4%로 낮췄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3.5%를 유지했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회의 의결문에서 동결 배경에 대해 "물가 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지속하겠지만 상당 기간 목표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봤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25일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우리나라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4%로 낮췄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3.5%를 유지했다.
한은은 지난 2월 당초 1.7%인 올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6%로 낮춘 지 석달만에 또다시 하향 조정한 것이다. 지난해 2월 이후 5번째다.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벗어나지 못하고 투자 등도 부진해진 데 따른 것이다. 성장률 전망치 1.4%는 최근 국내외 기관들 사이에 '대세'로 자리 잡던 1.5%보다도 낮은 것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성장률 하향 조정은 IT경기 회복과 중국 경제활동 재개의 영향 파급이 당초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는데 대부분 기인한다"며 "하반기부터는 이같은 대외여건 제약이 다소 완화되면서 국내 경제의 성장세도 점차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금융통화위원회는 경기 침체와 물가 안정 등을 근거로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3.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금통위가 3번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함에 따라 시장을 중심으로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도 고개를 들고 있다.
이 총재는 이에 대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확실하게 2%에 수렴한다는 증거가 있기 전까지 인하 시기를 언급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선을 그었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회의 의결문에서 동결 배경에 대해 "물가 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지속하겠지만 상당 기간 목표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봤다"고 밝혔다.
그는 "물가상승률이 둔화되고 있지만 상당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해 기준금리를 현 수준으로 동결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3.50% 동결 결정은 금통위원 전원 만장일치였다"면서 "금통위원 6명 모두 최종 기준금리로 3.75%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고 소개했다. 이미선기자 already@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런 일도...환자 항문서 나온 25㎝ 배변 매트, 범인은
- 부처님오신날 연휴 `비`예보…28∼29일 `많은 비` 가능성
- "푸틴은 제거 대상 1호"…우크라군 정보기관 공개 `저격`
- 사람 많은 바닷가서…`허물 벗은 듯` 男女 40분간 `애정행각`
- 박지현 소름 돋는 근황, ‘비대위원장→학생’으로…“반전 정치학교 수료”
- 탄핵정국에 `빙하기` 맞은 소비심리… "제작년 3분기 이후 최저"
- `非은행 강화` 우리금융, 아마존 데이터센터 투자
- `AI 패권시대` 글로벌 3대 강국 도약 마중물 붓는다
- 與 자체 `계엄특검법` 발의… 野 "구체적인 안 나오면 논의 가능"
- "잔금이 모자라요"… 다시 살아난 아파트 `입주 돈맥 경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