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권역별 소각장 시민 수용성 확보 나서…환경 공무원 대상 간담회

이민우 기자 2023. 5. 25. 19:00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천시는 25일 인천환경공단 청라사업소에 있는 청라자원환경센터에서 시, 군·구, 환경공단 등 환경 담당 직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자원순환시설 정책 공유를 위한 환경분야 정책간담회’를 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시 제공

 

인천시가 권역별 광역 자원순환센터(소각장)에 대한 시민 수용성을 높이는데 집중하고 있다.

시는 25일 인천환경공단 청라사업소에 있는 청라자원환경센터에서 시, 군·구, 환경공단 등 환경 담당 직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자원순환시설 정책 공유를 위한 환경분야 정책간담회’를 했다고 밝혔다. 시민들의 소각장에 대한 막연한 불안과 오해를 막기 위해 우선 환경 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소각장이 지역의 관광명소나 랜드마크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자는 취지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박수영 한국화학안전협회 교수와 김달호 시 자원순환과장이 각각 주제 발표를 통해 소각장 건립의 필요성과 현재 추진 중인 정책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김인수 시 환경국장 주재로 환경정책 간담회도 했다. 또 참석자들은 소각장과 함께 친환경시설로 조성된 청라생태공원을 둘러보기도 했다.

앞서 시는 지난달부터 2차례에 걸쳐 환경담당 직원 150명을 대상으로 송도국제도시와 청라국제도시에 있는 소각장을 견학하기도 했다.

현재 시는 오는 2026년부터 수도권매립지에 생활쓰레기 직매립이 불가능함에 따라, 4개 권역별로 소각장 건립하거나 종전 시설을 현대화 및 증설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소각장 인근에 공원과 주민 편의시설은 물론 주민지원 사업을 펼치고 각종 인센티브도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시는 일부 지역 주민들이 소각장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우리 지역에는 무조건 안돼’라는 소위 님비(NIMBI) 현상이 심각해 정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김인수 시 환경국장은 “이번 간담회를 공직자뿐만 아니라 시민 모두가 자원순환 과정을 현장에서 직접 보고 배우는 기회로 확대해 자원순환의 중요성을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 지어질 소각장은 환경에 무해하고 시민 건강에 안전하도록 최첨단 기술을 도입할 예정”이라며 “기피 시설이 아닌 미래를 충분히 담아내는 기대시설로 자리잡도록 시민들을 설득하고 협조를 구하겠다”고 했다.

이민우 기자 lmw@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