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번의 '칸니발'…모두가 사랑한 칸 영화제

김보라 2023. 5. 25. 18:3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봄의 끝자락에 열리는 프랑스 칸영화제는 '영화제의 영화제'다.

세계 수많은 영화제 중 그 권위를 넘볼 축제는 아직 없다.

그런 영화제가 열리는 칸이라는 도시는 영화와 닮았다.

128년 영화사에서 칸영화제는 어떻게 세계 영화인의 사랑을 받게 됐을까.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over Story


봄의 끝자락에 열리는 프랑스 칸영화제는 ‘영화제의 영화제’다. 세계 수많은 영화제 중 그 권위를 넘볼 축제는 아직 없다. 어쩌면 더 오래도록 없을지 모르겠다.

그런 영화제가 열리는 칸이라는 도시는 영화와 닮았다. 세상의 모든 파랑을 풀어놓은 듯한 지중해, 그 위에 자신이 가진 모든 종류의 빛을 흩뿌리는 강렬한 태양. 눈길 닿는 곳마다 시시각각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칸은 우리가 알고 있는 아주 사소한 것들마저 특별하게 만든다. 영화가 우리 삶의 번역본이라면 칸은 그것을 품는 거대한 집이다.

128년 영화사에서 칸영화제는 어떻게 세계 영화인의 사랑을 받게 됐을까. 올해 76번째 축제를 맞이한 칸영화제의 역사 속엔 세상을 똑바로 바라보려는 태도, 시대를 담고자 하는 노력이 담겨 있다. 1960년대 후반 혁명의 시기엔 수많은 독립영화를, 1980년대와 1990년대엔 아시아와 중남미 감독들을, 최근에는 20대 청년들의 영화를 지지했다. 잊혀진 옛날 감독과 배우들도 기꺼이 소환했다. 남프랑스의 초호화 휴양도시는 그렇게 진보적인 생각을 나누는 장소가 됐다.

칸영화제가 없었다면 우리의 세계는 지금보다 좁아졌을지 모른다. 왕자웨이도, 허우샤오셴도, 구로사와 아키라도, 박찬욱과 봉준호도 칸영화제에서 이름이 불리고 난 뒤에야 세계적 거장이 됐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