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 타개, 통화정책에만 기댔다간 나라 망해” 한은 총재 작심 발언
기준금리, 3.75%까지 인상 가능성 열려있어
한은이 겁만 준다?…호주도 결국 금리 올려
저성장이 저출산과 고령화, 노동문제를 비롯한 교육, 연금 등 다양한 사회구조적 요인에 의해 나타나고 있는 만큼, 통화·재정당국의 정책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취지다.
이 총재는 25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정례회의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재정·통화정책은 단기적으로 (경제·금융 부문에 대한) 안정이고, 우리 경제는 (중장기적으로) 구조개혁과 이해당사자 간의 사회적 타협을 어떻게 할지가 중요하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구조개혁과 사회적 타협 없이 재정과 통화당국에 기대 단기적으로 저성장 국면을 해결하려고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이다.
이 총재는 “이렇게 안하면 나라가 망가지는 지름길”이라며 “진심으로 말하는 것”이라고도 했다.
이 총재의 이같은 언급은 향후 저성장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보는지, 이에 대한 중장기 과제는 무엇인지, 정부의 노동과 연금개혁에 대한 평가를 묻는 과정에서 나왔다.
이 총재는 시장 일각에서 일고 있는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에 대해서는 “과도하다”며 분명히 선을 그었다.
그는 “금통위원들이 모두 연 3.75%까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이라며 “절대로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아 달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에 퍼져 있다는 계속된 질문에, “‘(한은이) 거짓으로 겁만 주고 있다’는 소리도 들었다”면서 호주 중앙은행이 예상을 깨고 기준금리를 올린 사례를 언급했다.
이 총재는 “금통위 결정은 금통위원 전원일치”라고 밝혔다.
이번 금통위 전체회의는 한은이 본관 새 건물로 재입주 이후 처음 열린 것으로, 장용성·박춘섭 신임 금통위원의 첫 금통위이기도 하다.
한은은 이날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2월의 1.6% 전망에서 1.4%로 0.2%포인트 낮췄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기존 전망인 3.5%를 유지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푸틴 뒤통수 제대로 맞았다”…러시아 본토 공격한 이녀석들의 정체 - 매일경제
- 강남 부자들이 줄섰다는데…年19% 배당에 차익 노리는 이 상품은 - 매일경제
- “어차피 우리 구속 못해”…나이 믿고 온갖 범죄 저지른 중학생, 실형 - 매일경제
- 콧대높았던 이 술, 어쩌다 ‘줄도산’ 공포로 벌벌 떠나 - 매일경제
- “꽃다발 자랑하려고 외출했지”…구독자 10만명 돌파 감사 전한 조민 - 매일경제
- 학생시절 집단성폭행 의혹 초등학교 교사 면직…학교 “사안 중대” - 매일경제
- “불나면 어쩌려고”...담배 물고 주유한 무개념 20대 - 매일경제
- ‘盧참모’ 조기숙 “‘코인 의혹’ 김남국 쉴드 민주당에 오만정 뚝” - 매일경제
- 달리는 차량 창문에 걸터앉고 ‘위험천만’ 질주…경찰 추적 - 매일경제
- ‘1년 자격 정지 징계’ 끝난 정지석, 男 대표팀 합류…AVC챌린저컵·항저우 AG 간다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