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중국, 수년전부터 마이크론 제품 국산·한국산으로 대체”

이종섭 기자 2023. 5. 25. 12: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버지니아주 매나서스에 있는 마이크론 공장 앞에 간판이 세워져 있다. AP연합뉴스

중국이 최근 ‘국가안보’를 이유로 제재한 미국 메모리 반도체 업체 마이크론의 제품 구입을 이미 수년 전부터 크게 축소해 온 것으로 파악됐다. 미 반도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비교적 손쉽게 대체 가능한 메모리 반도체 제품을 자국산이나 한국산으로 바꿔왔다는 것이다.

로이터통신은 24일(현지시간) 100건 이상의 중국 정부 입찰 기록을 검토한 결과 2020년부터 중국 정부의 마이크론 반도체 제품 구매가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실제 지난 3년 동안 중국 정부 입찰에서 마이크론 제품 구매 기록은 장쑤(江蘇)성 창저우(常州)시 기상청의 스토리지 장치 24대와 산둥(山東)성 저우핑(鄒平)시 병원의 이미지 센서 등 모두 4건에 불과했다.

2020년 이전까지 중국 정부는 세금 시스템이나 감시 네트워크 사업 등에 활용하기 위해 마이크론으로부터 반도체 칩을 정기적으로 구매했다. 일례로 광둥(廣東)성 둥관(東莞)시 경찰 당국은 2019년 두 차례에 걸쳐 2억1600만위안(약 403억8900만원) 규모의 입찰을 진행하면서 마이크론 제품을 포함시켰고, 2015년에는 중국 관세당국이 송장시스템 서버용으로 마이크론 반도체 칩 8000개를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20년 이후 중국 정부의 마이크론 제품 구매가 축소되면서 그 빈 자리는 주로 화웨이와 인스퍼, 유니뷰, 하이크비전 등 자국 회사 제품으로 채워졌다.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 제품도 포함되기는 했으나 이는 주로 자국산 제품의 부족분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로이터통신은 분석했다.

입찰 기록만으로는 중국이 특정 시점에 마이크론 제품 구매를 축소한 이유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다만 외국 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는 중국의 오랜 캠페인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결과적으로는 중국이 지난 수년 동안 이번 마이크론 제재로 인한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온 셈이 됐다고 로이터통신은 평가했다.

이 때문에 중국이 애초부터 대체가 가능한 마이크론을 손쉬운 타깃으로 삼았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중국 정부는 미·중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지금도 인텔 프로세서나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은 계속 구매하고 있는데, 이는 자국산이나 한국산으로 대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베이징 소재 싱크탱크인 콘퍼런스보드의 알프레도 몬투파헬루 중국센터장은 “중국에서 대부분 반도체는 중국산이나 다른 외국 회사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며 “마이크론 제품 금지가 중국에 해를 끼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마이크론은 이미 지난 몇 년 동안 중국에서 점점 더 많은 도전에 직면해 왔고, 꽤 오랫동안 ‘태풍의 눈’에 있었다”고 덧붙였다.

베이징 | 이종섭 특파원 nomad@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