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란’ 송중기, 생애 첫 칸 레드카펫 입성...만삭 아내는 불참

양소영 스타투데이 기자(skyb1842@mkinternet.com) 2023. 5. 25. 11: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배우 송중기가 데뷔 15년 만에 칸 레드카펫을 밟았다.

송중기는 "영화를 보고 나니 대본에서 느꼈던 감정보다 더 깊게 나온 것 같아 만족스럽습니다. 특히 저수지 신에서 연규가 뒤에서 치건의 귀를 바라보는 표정을 볼 때 '이 대본을 처음 읽었을 때 느꼈던 감정이 맞았구나' 하는 확신이 들면서 '이 영화 하기를 잘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 모든 스태프들 배우들에게 감사드리고 '화란'이 많은 사랑을 받길 바랍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송중기. 사진|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배우 송중기가 데뷔 15년 만에 칸 레드카펫을 밟았다.

24일(현지시간) 76회 칸 국제영화제 공식 초청작 ‘화란’의 월드 프리미어와 레드카펫이 열렸다.

레드카펫에서 ‘화란’ 팀은 칸을 완벽하게 사로잡았다. 송중기는 멋진 턱시도 차림으로 등장해 자리를 빛냈다. 홍사빈과 김창훈 감독과 턱시도 차림으로 함께했다. 김형서는 매혹적인 블랙 드레스 자태를 뽐냈다. 이들은 각국 취재진의 플래시에 여유로운 미소로 화답하며 칸의 밤을 뜨겁게 물들였다.

애초 시사회 참석이 예정됐던 송중기의 아내 케이티 루이즈 손더스는 불참했다. 임신 9개월 차의 만삭인 그는 영화에 폭력적인 장면이 많은 점을 고려해 관람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서형-송중기-홍사빈. 사진|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화란’ 송중기-김창훈 감독-김서형-홍사빈. 사진|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이날 오전 11시 드뷔시 극장에서 ‘화란’이 베일을 벗었다. 상영에 앞서 ‘화란’ 주역 홍사빈 송중기 김형서 정재광과 김창훈 감독이 극장에 입장했다.

김창훈 감독은 “칸 영화제에서 첫 영화를 선보일 수 있게 되어서 영광입니다. 여기 있는 배우 및 스태프와 함께 열심히 만든 작품인 만큼 재미있게 즐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고 전했다.

영화가 끝나자마자 엔딩 크레딧이 올라가기도 전 객석에서 환호와 박수갈채가 쏟아졌다.

조명이 켜지고 엔딩 크레딧이 올라가도 끝나지 않는 기립 박수에 홍사빈 송중기 김형서 정재광과 김창훈 감독은 서로를 포옹하며 감격의 순간을 나눴다.

프리미어를 마친 후 홍사빈은 “모든 상황이 꿈만 같습니다. 영화를 잘 봐주신 것 같아서 감사하고, 영원히 잊지 못할 소중한 기억을 남긴 것 같아 기쁩니다. 모든 감독, 스태프, 배우분들께 감사드린다고 꼭 전하고 싶습니다”고 말했다.

‘화란’ 송중기. 사진|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송중기는 “영화를 보고 나니 대본에서 느꼈던 감정보다 더 깊게 나온 것 같아 만족스럽습니다. 특히 저수지 신에서 연규가 뒤에서 치건의 귀를 바라보는 표정을 볼 때 ‘이 대본을 처음 읽었을 때 느꼈던 감정이 맞았구나’ 하는 확신이 들면서 ‘이 영화 하기를 잘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 모든 스태프들 배우들에게 감사드리고 ‘화란’이 많은 사랑을 받길 바랍니다”고 말했다.

김형서는 “눈물 나게 벅찬 경험이었습니다. 인생에서 가장 긴 박수 세례였고, 가장 천천히 흐른 시간이었으며, 가장 강렬한 경험이었습니다. 이런 경험을 할 수 있게 해준 ‘화란’으로 함께한 모든 분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화란’은 지옥 같은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은 소년 연규(홍사빈)가 조직의 중간 보스 치건(송중기)을 만나 위태로운 세계에 함께 하게 되며 펼쳐지는 이야기를 그린 느와르 드라마다. 올해 개봉 예정이다.

[양소영 스타투데이 기자]

Copyright © 스타투데이.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