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3년째 진척된 게 없는 충남혁신도시 딜레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차 공공기관 이전이 전제된 혁신도시 시즌2 대책과 관련해 국토부에서 추진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존 10개 혁신도시 지역은 혁신도시 시즌1 때 공공기관을 이전 받아 상당 수준 골격을 완성한 반면, 충남은 그동안 진척된 게 별로 없다.
전국 혁신도시를 상대하는 2차 공공기관 이전 계획 수립과 배분 기준 등을 확정하는 정책 추진의 성격상 밖에서는 모르는 사정이 있을 수 있고 그래서 더디게 진행되는 측면이 있다면 그럴 수도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차 공공기관 이전이 전제된 혁신도시 시즌2 대책과 관련해 국토부에서 추진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런 현실과 맞물려 충남혁신도시는 속이 더 타는 입장이다. 기존 10개 혁신도시 지역은 혁신도시 시즌1 때 공공기관을 이전 받아 상당 수준 골격을 완성한 반면, 충남은 그동안 진척된 게 별로 없다. 내포신도시 인구가 3만 2000명선에서 정체 양상을 띠고 있는 것이 증명한다. 이유는 간단히 설명된다. 지난 2020년 10월 혁신도시 지정·고시만 한채 그후 아무런 지원 대책이 투입되지 않은 탓에 성장세가 멈춘 것이다.
사정이 이렇게 된 주된 이유는 국토부의 미온적인 태도에 있다. 전국 혁신도시를 상대하는 2차 공공기관 이전 계획 수립과 배분 기준 등을 확정하는 정책 추진의 성격상 밖에서는 모르는 사정이 있을 수 있고 그래서 더디게 진행되는 측면이 있다면 그럴 수도 있다. 그에 비하면 충남혁신도시 활성화 문제는 난도가 까다로울 게 없다. 결국은 충남 혁신도시를 명실상부한 혁신도시로 키우겠다는 의지의 문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국토부가 행정 절차논리를 앞세워 강 건너 불구경하는 식이면 충남 혁신도시라는 말이 무색해지는 만큼 이제는 전향적으로 수렴할 때가 됐다. 우선 해결한 사안은 혁신도시 개발 예정지구 지정을 매듭짓는 것이다. 혁신도시 지정만 하고 개발예정지구 지정 단계가 나아가지 않으면 그 혁신도시는 그냥 혁신도시 타이틀만 건졌을 뿐 그 이상의 의미가 부여되기 어렵다. 심지어 기존 혁신도시 시·군협의회에 개발예정지구로 지정이 안된 것을 약점 잡혀 회원도시 가입 의사를 거절당하는 수모 아닌 수모를 겪었을 정도다.
이전 대상 공공기관 규모가 결정된 후 개발예정지구 지정 절차를 밝겠다는 게 국토부 반응인 모양인데 군색해 보인다. 그런 논리라면 답은 있다. 충남도가 요구하는 공공기관 드래프트제(우선 선택권)를 보장하면 바로 해결되기 때문이다. 이 협의가 잘 풀려 충남혁신도시에 우선 이전할 일단의 공공기관이 특정 되면 개발예정지구 지정과 연계할 수 있다. 이런 절묘한 정책 방안을 충남도가 제안해 공이 국토부에 넘어간 단계인 만큼 정책 판단을 서두는 게 맞다. 혁신도시 출발선에 동등하게 세우는 문제를 놓고 좌고우면할 이유가 무엇인가.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의대생들, 결국 학교 돌아온다… 연세대생 절반 '복학' 신청 - 대전일보
- 尹측 "윤 대통령, 24일 형사재판 공판준비기일 출석 안 해" - 대전일보
- 한동훈 "청년 세대 독박 안 된다… 연금개혁안 거부해야" - 대전일보
- 백종원 대표 또 논란… 예산 맥주 페스티벌 '그을린 통닭' 논쟁 - 대전일보
- 조태열 "북한, 우크라전 잘못된 행동 보상받아서는 안 돼" - 대전일보
- 野 30번째 탄핵 발의…與 "탄핵 기술 수출했다면 불티났을 것" - 대전일보
- 여야, '尹체포저지' 경호처장 등 영장기각에 입장차 첨예 - 대전일보
- 민주 "최 대행 탄핵 굴하지 않고 추진…나라 절단한 건 尹과 與" - 대전일보
- 의총협 "35개교 휴학계 반려 완료…나머지도 다음주에 처리" - 대전일보
- 충남 아산 돈사서 '불'…새끼 돼지 450마리 폐사 - 대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