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한보살 전보살/서동철 논설위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거리의 새하얀 이팝나무꽃도 이제 끝물이다.
그런데 누가 "이팝나무" 하면 곧바로 주변 사람 입에서 따라나오는 게 "조팝나무"다.
조선시대 백과사전인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에는 고려시대에는 이렇게 썼다면서 흰쌀은 한보살이고, 좁쌀은 전보살(粟曰田菩薩)이라는 대목도 보인다.
한보살과 전보살에도 이런 마음이 담겼겠지 싶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거리의 새하얀 이팝나무꽃도 이제 끝물이다. 그런데 누가 “이팝나무” 하면 곧바로 주변 사람 입에서 따라나오는 게 “조팝나무”다. 중국 북송시대 사신이 고려를 다녀가고 남긴 ‘계림유사’(鷄林類事)는 흰쌀을 한보살이라 부른다(白米曰漢菩薩)고 적었다. 당시에는 ‘흰쌀’과 ‘한보살’의 소리가 비슷했나 보다.
조선시대 백과사전인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에는 고려시대에는 이렇게 썼다면서 흰쌀은 한보살이고, 좁쌀은 전보살(粟曰田菩薩)이라는 대목도 보인다. 쌀과 조가 대표적인 식량작물이어서 이팝·조팝나무처럼 따라다녔나 보다.
지금 서울 조계사 불교중앙박물관에 가면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을 만날 수 있다. 약사여래는 중생의 질병을 치유하는 부처다. 그런데 장곡사 여래가 들고 계시는 것은 아무리 봐도 약그릇 아닌 밥그릇이다. 밥이 부처라고 했다. 고려시대 청양 산골에선 약보다 밥이 급하지 않았을까. 한보살과 전보살에도 이런 마음이 담겼겠지 싶다.
서동철 논설위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체 접촉 우려”…만취女 난동, 적극적 제압 못했다
- 보험금 95억…‘만삭 아내 살해 무죄’ 남편, 2심도 승소
- 백주 일곱 병 ‘먹방’ 중국 30대 남성 다음날 숨져…“규제 강화” 목소리
- 수면 마취 후 목에서 1㎝ 수술도구…의사 “문제 없다”
- ‘성추행’ 혐의 벗으려던 세종시의장, 의장직 상실
- 또 접속 막힌 韓 포털, 中 ‘만리방화벽’의 보복인가
- 초교 교사 수업 중 골프 연습…교육청 감사 착수
- “계집·강간하고 싶다”…여성상관 성희롱한 공군 병사들
- 봄날 1㎝ 우박이라니… 퇴근길 서울 시민들 ‘화들짝’
- ‘희대의 탈옥수’ 신창원, 극단 선택해 응급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