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리뷰] '흑인 인어공주' 말고도…이야깃거리가 이렇게 많다니!

이선아 2023. 5. 23. 17: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누구나 다 아는 '인어공주' 얘기다.

1989년 디즈니가 장편 애니메이션을 내놓은 이후 가족 영화로 사랑받아온 인어공주가 24일 실사판으로 돌아온다.

메가폰은 인기 뮤지컬 영화 '시카고'를 만든 롭 마셜이, 음악감독은 인어공주 애니메이션 원작의 수많은 명곡을 탄생시킨 앨런 멘켄이 맡았다.

1989년 개봉한 인어공주가 슬럼프에 빠진 디즈니에 '제2의 전성기'를 안겨준 것처럼, 에리얼이 실적 부진에 빠진 디즈니에 '제3의 전성기'를 안겨줄지 세계 영화계가 주목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어공주
원작엔 없고 실사엔 있는 3가지
'시카고' 감독이 메가폰 잡아
와이어에 배우 매달고 촬영해
실제 바다 헤엄치는 영상미 구현
새로 만든 OST 세 곡 공개
왕자 구하는 '진취적 공주' 변신

바다 밖 세상을 동경하는 인어, 그녀의 목소리를 빼앗으려는 마녀, 곤경에 처한 인어를 구해주는 왕자….

누구나 다 아는 ‘인어공주’ 얘기다. 1989년 디즈니가 장편 애니메이션을 내놓은 이후 가족 영화로 사랑받아온 인어공주가 24일 실사판으로 돌아온다. 메가폰은 인기 뮤지컬 영화 ‘시카고’를 만든 롭 마셜이, 음악감독은 인어공주 애니메이션 원작의 수많은 명곡을 탄생시킨 앨런 멘켄이 맡았다.

개봉하기 전부터 이 영화가 유명해진 것은 실력파 제작진 때문이 아니었다. 흑인 배우 할리 베일리가 인어공주(‘에리얼’) 역을 맡아서다. 원작 인어공주의 흰 피부는 어두운 갈색으로, 풍성한 생머리는 레게머리가 됐다. 디즈니 팬들 사이에선 “과도한 ‘PC(정치적 올바름)주의’ 때문에 원작을 훼손했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하지만 이 작품을 ‘흑인 인어’로만 설명하기엔 아쉽다. 에리얼의 외모 말고도 원작과 차별화한 요소가 많아서다. 실사판에서만 느낄 수 있는 매력을 세 가지로 추렸다.

 (1) 멀미 날 정도로 실감 나는 영상미

실사판 인어공주의 압권은 실제 바닷속을 헤엄치는 듯한 영상미다. 에리얼과 물고기 친구 ‘플라운더’가 상어와 추격전을 벌이는 첫 장면부터 바다의 매력을 느끼게 해주는 명곡 ‘언더 더 씨’까지, 영화는 바다의 다채로운 모습을 실감 나게 구현했다.

아이맥스 화면으로 보면 4차원(4D)이 아닌데도 멀미가 날 만큼 현실적이다. 바닷속을 헤엄치는 인어들의 움직임도 어색하지 않다. ‘드라이 포 웨트(dry-for-wet)’라는 촬영기법 덕분이다. 블루스크린 앞에서 배우를 와이어에 매단 채 찍는 기법이다. 이렇게 하면 물속에서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 하지만 몇 시간 동안 이렇게 촬영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베일리가 새벽 4시에 체육관에서 운동한 뒤 촬영에 들어간 이유다.

 (2) ‘레전드 작곡가’가 만든 새 OST

이번에 나온 신곡은 총 세 곡이다. 에릭 왕자가 파도치는 바다를 향해 에리얼을 향한 마음을 고백하는 ‘와일드 언차티드 워터스’, 에리얼이 육지에서 느낀 두려움과 기대감을 담은 ‘포 더 퍼스트 타임’, 갈매기 스커틀과 세바스찬이 왕국의 소식을 엉터리로 전하는 ‘더 스커틀벗’이다.

‘파트 오브 유어 월드’ ‘언더 더 씨’ 등 인어공주의 대표곡을 작곡한 멘켄이 참여했다. 이들 곡은 원작의 명곡들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면서 영화의 분위기를 돋운다.

 (3) 진취적으로 변한 인어공주

클라이맥스는 바다 마녀 우르술라가 에리얼과 에릭 왕자를 공격하는 장면이다. 원작에선 에릭 왕자가 우르술라를 물리치지만, 실사판에선 에리얼이 왕자를 구한다. 가만히 앉아 왕자의 도움을 기다리는 옛 인어공주의 모습은 온데간데없다.

호평만 있는 것은 아니다. 외신들은 “귀여웠던 플라운더, 세바스찬이 징그러워졌다”고 지적했다. 에리얼 언니들의 콘셉트도 아쉽다. 디즈니는 ‘각 인어공주가 일곱 대륙의 바다를 다스린다’고 설정했다. 에리얼의 여섯 언니는 각자 다른 피부색과 능력을 갖춘 캐릭터로 등장한다. 하지만 그뿐이다. 원작의 스토리 라인을 살리려고 한 탓인지, 여섯 언니는 잠깐 등장하고 만다.

원작이 있는 다른 실사 영화처럼 인어공주도 호평과 혹평을 함께 안고 문을 열었다. 1989년 개봉한 인어공주가 슬럼프에 빠진 디즈니에 ‘제2의 전성기’를 안겨준 것처럼, 에리얼이 실적 부진에 빠진 디즈니에 ‘제3의 전성기’를 안겨줄지 세계 영화계가 주목하고 있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