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 알바생이 꼽은 퇴사 이유 1위는?

황아현 기자 2023. 5. 23. 10:26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알바천국 제공

 

아르바이트를 그만 두는 주된 이유는 '근무 환경'인 것으로 조사됐다.

6개월 이상 장기근속을 위한 가장 중요한 부분도 '급여'를 제치고 '원만한 근무 분위기'가 1위를 차지했다.

구인구직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은 아르바이트 근무 경험이 있거나 현재 근무 중인 'Z세대' 알바생 1천854명을 상대로 퇴사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이 분석됐다고 23일 밝혔다.

Z세대는 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걸쳐 태어난 젊은 세대를 이르는 말이다. 

응답자 10명 중 9명은 알바 근무 중 퇴사 혹은 다른 알바자리 구직을 고민한 적이 있었는데, '업무에 비해 급여가 낮다고 느껴질 때'(42.3%, 복수응답) 가장 많은 고민을 하고 있었다.

이어 ▲사장·매니저 등 관리자와 갈등이 발생할 때(36.4%) ▲업무 때문에 건강이 악화되는 게 느껴질 때(29.6%) ▲학업·본업 등에 영향이 있을 때(29%) ▲업무 처리 방식·지시 등에 부당함을 느낄 때(28.2%) ▲갑질하는 손님으로부터 스트레스를 받을 때(26.5%) ▲면접 시 안내받은 근무 내용과 실제가 다를 때(24.4%) 등 순간이 뒤를 이었다.

아르바이트 근무 중 퇴사 혹은 다른 알바자리 구직을 고민했던 이들 4명 중 3명(84.2%)은 아르바이트를 실제로 그만 둔 경험이 있었다고 답했는데, 퇴사의 결정적 계기로는 '근무강도, 방식, 환경에 대한 불만'(24.7%)이 1위를 차지했다.

아르바이트 퇴사를 고민하게 만드는 이유로 꼽혔던 '급여 불만'의 경우 7.6%에 그치면서, 실질적인 퇴사 결정에는 큰 영향력을 끼치지 않고 있었다.

전체 응답자에게 6개월 이상 장기 근속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으라고 하자, '만족할만한 급여'(18.7%)를 제치고 '원만한 근무 분위기'(40.9%)라고 답했다. 이 밖에 '적당한 업무 강도'(12.3%), '복지 혜택(11.4%), '주거지와 근접한 근무지 위치'(10.2%), '쾌적한 근무 환경'(5.2%) 등 답이 있었다.

한편 설문에 참여한 Z세대 알바생 전체에게 가장 짧게 근무한 알바 근속 기간을 묻자, 10명 중 7명(69.5%)은 '3개월 미만'이라고 답했다. '1개월 이상 3개월 미만' 일했다는 답변은 30.1%로 가장 많았고, '1주일 미만' 혹은 '하루 출근 후 바로 그만뒀다'는 답도 각각 10.7%, 10.9%로 집계됐다.

황아현 기자 1cor1031@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