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일벗은 실사판 '인어공주'…연기력은 '아쉬운' 흑인 에리얼 [시네마 프리뷰]

장아름 기자 2023. 5. 23. 09: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색인종 캐스팅으로 제작 단계부터 논란이 불거졌던 디즈니 실사 영화 '인어공주'(감독 롭 마샬)가 마침내 베일을 벗었다.

오는 24일 개봉하는 '인어공주'는 1989년 나온 동명의 장편 애니메이션이 원작으로, 늘 바다 너머의 세상을 꿈꾸던 모험심 가득한 인어공주 에리얼이 조난당한 에릭 왕자를 구해준 후 자신의 마음의 소리를 따라 금지된 인간 세상으로 나아가게 되며 겪는 모험을 그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4일 개봉
인어공주 포스터

(서울=뉴스1) 장아름 기자 = 유색인종 캐스팅으로 제작 단계부터 논란이 불거졌던 디즈니 실사 영화 '인어공주'(감독 롭 마샬)가 마침내 베일을 벗었다. 오는 24일 개봉하는 '인어공주'는 1989년 나온 동명의 장편 애니메이션이 원작으로, 늘 바다 너머의 세상을 꿈꾸던 모험심 가득한 인어공주 에리얼이 조난당한 에릭 왕자를 구해준 후 자신의 마음의 소리를 따라 금지된 인간 세상으로 나아가게 되며 겪는 모험을 그린다.

이번 '인어공주'는 원작 싱크로율과 거리가 먼 캐스팅으로, 제작 단계부터 일부로부터 지적을 받아왔다. 원작 속 주인공인 에리얼은 백인에 붉은 색 머리를 가진 인물로, 실사영화에서는 흑인 가수 핼리 베일리가 해당 배역으로 캐스팅돼 논란이 커졌다. 원작이 오랜 시간 전세계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던 만큼, '정치적 올바름'을 뜻하는 PC주의(Political Correctness) 강박에서 비롯된 캐스팅이라는 비판도 일었다.

이같은 논란 속에 최근 언론시사회를 통해 국내에서 처음 공개된 '인어공주'는 그간 '미녀와 야수' '알라딘' '라이온킹' 등 실사화에 성공해온 디즈니다운 연출력과 구현력을 보여줬다. 기존 명곡 OST는 물론, 새롭게 추가된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을 바탕으로 놀라운 수중 시퀀스를 선보였다. 애니메이션에서나 볼 수 있었던 웅장한 바다 왕국 판타지를 실사화에 성공했다는 점만으로도 디즈니의 놀라운 기술력이 실감됐다. 또한 배우들도 마치 실제 수중에 있는 듯한 연기와 움직임으로 감탄을 자아냈다.

이야기 또한 원작과 같은 구성과 전개로 펼쳐지지만, 에릭 왕자의 고민과 서사가 원작보다 더욱 구체적이면서 캐릭터가 입체적으로 드러난다는 점에서 흥미를 더했다. 에릭 왕자 역시도 에리얼과 마찬가지로 모험심이 가득하고 더 넓은 세상을 보고 싶어하지만, 현실에 가로막혀 고뇌하는 왕자의 모습으로 공감할 만한 인간적인 매력도 보여줬다. 에릭 왕자를 연기한 조나 하우어 킹은 에리얼의 매력에 점차 스며들어가는 섬세한 연기력과 로맨틱한 모습으로 설렘을 안겼다.

인어공주 스틸

이같은 장점들이 돋보인 '인어공주'였지만, 이질적인 부분도 있다. 원작 애니메이션의 비주얼에 익숙했던 관객들에게는 핼리 베일리의 인어공주가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어서다. 핼리 베일리는 '인어공주' 출연 전 조연으로 드라마 및 영화에 출연하기도 했지만, 좀 더 섬세하면서도 극적인 감정이 요구되는 장면에서는 부족한 연기력이 아쉬움을 자아냈다. 난파선에서 아버지를 만나 깜짝 놀라는 장면이나, 왕자의 동상이 파괴된 후 눈물을 흘리거나 불꽃을 처음 봤을 때의 장면 등에서 일차원적인 표정을 보여줄 뿐, 풍부한 감정을 보여주지 못했다. 뮤지컬 시퀀스에서는 판타지적인 연출 요소들과 시너지를 냈지만, 드문드문 어색한 연기를 완벽히 지우진 못했다.

물론 디즈니의 실사 영화는 새로운 이야기를 선보이는 작품이 아닌 만큼, 원작 팬들을 만족시킬 수 있을 만한 싱크로율이 꽤 중요한 연출 요소로, 원작보다 한발 더 나아간 메시지나 비주얼, OST 등은 반가운 변화이기도 하다. 또한 이번 실사 영화는 원작에서 강조된 주인공간의 '사랑'에 대한 이야기에서 더 나아가 육지와 바다간의 편견을 깨고 서로 다른 세계의 이해와 융합을 이루는 메시지도 강조했다. 특히 에리얼의 아버지이자 바다 왕국의 왕 트라이튼(하비에르 바르뎀 분)의 인어 딸들은 모두 다른 인종으로 등장, 영화 메시지에 힘을 실었다. 할리 베일리 또한 이같은 맥락에 부합하는 캐스팅이었겠지만, 최종적으로 관객들에게 어떤 평을 받게 될지 더욱 주목되고 있다. 오는 24일 개봉.

aluemchang@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