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法 “정규직과 무기계약직 수당 차등은 정당”… 소송 낸 무기계약직 패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공공기관 무기계약직(공무직)에게 정규직 공무원보다 수당을 적게 지급하는 것은 차별 대우가 아니라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A씨 등은 중앙행정기관의 무기계약직 근로자로 국가가 정규직 공무원보다 명절휴가비, 가족수당, 자녀학비보조금, 맞춤형 복지포인트를 적게 지급했다는 이유로 2020년 4월 미지급 수당 등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무기계약직(공무직)에게 정규직 공무원보다 수당을 적게 지급하는 것은 차별 대우가 아니라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1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민사48부(부장판사 김도균)는 정부 부처 소속 무기계약 직원 A씨 등 985명이 국가를 상대로 낸 임금 등 청구 소송에서 지난 11일 원고 패소 판결했다.
A씨 등은 중앙행정기관의 무기계약직 근로자로 국가가 정규직 공무원보다 명절휴가비, 가족수당, 자녀학비보조금, 맞춤형 복지포인트를 적게 지급했다는 이유로 2020년 4월 미지급 수당 등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재판부는 “무기계약직이라는 고용형태는 근로자와 사용자의 자유의사가 합치돼야 성립할 수 있는데, 이는 근로자가 스스로 선택한 것이지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강요한 것이 아니다”라며 “A씨 등에게는 공채시험 등 공무원 임용절차를 거치는 등 고용형태를 변경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했다.
이어 “공공기관 무기계약직의 지위와 고용 형태는 ‘사회적 신분’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국가가 수당을 차등 지급했다고 하더라도 ‘사회적 신분을 이유로 한 차등대우’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또 “수당에 복리후생적 성격이 있다는 점만으로는 중앙행정기관의 재직자라는 이유만으로 직종이나 업무가 서로 달라도 모두 동일한 기준에 따라 수당이 지급돼야 한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법원은 최근 무기계약직 근로자들의 처우와 관련한 소송에서 잇따라 무기계약직 근로자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패소 결정을 내렸다.
같은 재판부는 지난 3월에도 무기계약직 근로자들이 낸 소송에서 국가의 손을 들어줬다.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마우지떼 떠나자, 섬 생태계가 다시 살아났다
- 노래방 직원에 “만나달라”… 차에 감금하고 3시간 끌고 다녀
- 원주시청 50대 공무원 자택서 숨진 채 발견… 닷새 만에 또 비보
- 교장이 여학생 기숙사 앞 텐트치고 밤새 지키는 이유는?
- 비례대표 의석확대 여론 확산… 도내 정가 ‘8석+@’ 기대
- 동해안서 몸길이 3m 대형상어 '청상아리' 그물에 잡혀
- 성착취물 3200개 만든 ‘그놈’, 피해자 당 100만 원에 형 줄였다
- 분노한 강원FC 팬들, 최용수 감독 소환
- [단독] 동해시 백두대간서 포착된 맹수 흔적, 표범? 삵? 스라소니?…전문가들 의견 분분
- [영상] 동해 4.5 지진 위력 실감…주택가·도로·해안 곳곳 CCTV에 흔들림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