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수진의 마음으로 사진 읽기] [61] 산방산으로 가는 배

신수진 예술기획자·한국외국어대 초빙교수 2023. 5. 19. 03: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래전 전시 일을 시작했을 즈음에 나를 기획자로 초대한 미술관과 운영 방식을 두고 설왕설래한 적이 있었다. 그때만 해도 전시장 내에서 관람객의 사진 촬영을 금지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나는 그런 방침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작품을 찍는 것만으로 타인의 예술 작품을 훔치는 것이라는 미술관 주장과 작품을 찍는 것은 전시를 향유하는 방식의 하나이니 금지할 이유가 없다는 내 주장이 팽팽하게 맞섰다. 지금은 어떤가. 전시장 내 ‘사진 촬영 가능’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었다. 요는 작품을 찍는 것만으로 작품이 되는 건 아니라는 얘기다.

멋진 건물을 찍은 사진은 작품이 될 수 있을까? 이게 가능하려면 조건이 두 가지 정도 필요하다. 건축과 환경에 대한 이해가 앞설 것, 그리고 그 사진에서만 찾을 수 있는 건축물의 매력을 보여줄 것. 건축 사진가 김용관은 이 모든 조건에 대한 보증수표로 정평이 나 있다. 그는 오랜 시간 건축 전문지의 전속 사진가로 활동했다. 좋은 건축물에 대한 경험은 좋은 건축 사진에 대한 비법을 만들어 주었다. 그 방법은 간단하고도 어렵다. 바로 시간을 많이 들이는 것이다.

김용관은 건축물과 건축물을 둘러싼 환경으로 이어지는 시선의 축, 시간 속에서 변화하는 건축물의 모습을 공들여 관찰하고 온몸으로 체험한다. 그는 건물을 설계한 건축가, 즉 자신에게 촬영을 의뢰한 당사자도 모르는 시점(視點)을 찾아서 사진을 찍곤 한다. 이것이 내로라하는 대가들이 그에게 건축 사진을 의뢰하면서 내심 기대하는 바이기도 하다. 그런데 설계한 사람이 모르는 건물 모습이 있을 리 없다. 그러니 기대를 저버리지 않으려면 건물만 들여다보아선 안 된다. 건물 사진의 정답은 흔히 건물 밖에 있다.

김용관, 방주교회, 2009

이타미 준(한국명 유동룡) 선생은 제주에 노아의 방주를 형상화한 교회를 설계하면서 건물이 들어설 땅의 방향과는 달리 유별난 천창을 내었다. 내부에서 바라보는 천장으로 난 창은 빛을 들이지만, 크레인에 매달아서 높이 띄운 카메라가 본 지붕 위의 창은 정확하게 산방산과 그 앞바다를 향해 있다. 이는 김용관의 사진 속에서만 발견되는 건축가의 숨은 의도이며 성취다. 그렇게 방주의 돛은 산을 향한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