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머Q&A] '응급실 뺑뺑이'로 숨진 5살 아이…왜 이런 일이?
지난 어린이날 연휴에 5세 아이가 급성 후두염으로 숨졌습니다. 이 과정에도 응급실 뺑뺑이가 있었습니다. 119 구급대가 4개의 대학병원 응급실을 알아봤으나 진료가 안된다고 했고 다섯번째 대학병원에서 입원이 안 된다는 조건 하에 진료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다섯번째 대학병원 소아과 교수는 정상적인 진료를 했고 상태가 호전돼 퇴원조치 했다고 말합니다. 의무기록을 살펴보면 소아과 교수는 적절한 진료를 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새벽에 상태가 호전돼 퇴원한 아이가 자고 일어나니까 상태가 악화돼 있었습니다. 엄마는 다시 해당 병원에 전화를 걸었는데, 병원은 또 진료는 가능하지만 '입원이 불가'하다는 조건을 달았습니다. 이때 엄마의 머릿속은 어땠을까요? 전날 밤 119를 타고 여러 응급실을 떠돌았던 장면이 떠올랐을 겁니다. 구급차안에서 힘들어하던 아이의 모습은 사묻히게 아팠을 겁니다. 그날 저녁 아이의 상태는 갑자기 악화됐고 119가 도착했을 때 심장이 멈춘 상태였고 결국 병원에서 사망 판정을 받았습니다.
Q. 복지부 "응급실 뺑뺑이 아니다"?
보건복지부는 5세 아이 사망 사고를 두고 응급실 뺑뺑이 사망이 아니라고 발표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119가 A, B, C, D, E 다섯 개 병원을 유선, 즉 전화로 문의했기에 응급실을 전전하다 사망한 것은 아니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이 말은 거짓입니다. 5세 아이를 태운 구급차는 A병원 응급실에 5월 6일 22시 38분에 응급실에 도착했고, 22시 40분에 접수까지 한 상태였습니다. A병원에서 기다리면서 B, C, D, E 병원에 전화했고 E 병원이 '입원은 불가하지만 진료가 가능하다'고 해 옮겨 간 겁니다. 보건복지부는 이 사실을 보도자료에 누락했고, 5세 아이가 숨진 이유를 '응급실 뺑뺑이가 아니다'라고 결론 내렸습니다. 국민의 눈높이로는 1분 1초가 급한 어린 환자를 태운 구급차를 길가에 세우고 전화로 이병원 저병원 알아보는 것 자체가 응급실 뺑뺑이 아닐까요?
Q. 대학병원들은 왜 아이를 받지 못 했나?
어린이 응급 환자를 받을 수 없다고 했던 그날 밤, 4개 대학병원에 그 이유를 물었습니다. 국내 최대 소아과 응급 병상을 갖춘 A 병원은 대기 환자가 많았고, 소아 응급실이 따로 없는 B, C 병원은 성인 환자로 침상이 없었으며 D 병원은 '야간 소아 응급 환자를 진료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환자를 진료했지만 입원 불가라는 조건을 단 다섯 번째 병원은 소아과 당직 교수가 정상적으로 진료했다고 말합니다. 입원이 안 된다고 한 건 직원의 착각이었다고 했습니다. 원래 12명이던 소아과 전공의가 최근 3명으로 줄었고, 그 상태에서 24시간 소아 응급실을 운영하다 보니 의료진이 '번 아웃' 돼 운영을 중단해야 할 때가 있다는 겁니다. 소아 응급병상 찾기가 어렵다 보니까 119도 응급실 이송이란 원칙이 있지만 급한 대로 문을 연 동네 소아과 병원을 찾고 있습니다.
Q. 정부가 내놓은 대책?
정부의 대책은 어린이 공공진료센터 더 만들고 야간과 휴일에 진료하는 병원 더 늘리겠다는 겁니다. 이런게 왜 안 먹히는지 숨진 어린이와 관련된 4개 대학병원 보겠습니다.
소아과 전공의가 B 병원은 0명 C, D 병원은 3명인데 4년 차 2명, 1년 차 1명 E 병원은 4년 차만 4명입니다. 이 숫자로 24시간 365일 당직 일정표 짜는 건 불가능합니다. 올해 소아과 전공의 정원이 159명인데 32명 지원했고 대학병원 50개 중 38곳에 지원자가 없었습니다. 문제는 소아과 볼 의료진이 부족한 건데 어린이 병원 숫자를 늘리겠다는 대책을 내놓았으니, 이게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겁니다. 이 병원 저 병원 흩어져 있는 소아과 의료진을 모으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겠는데, 이것도 간단치 않습니다. 국내 최대 A 병원은 소아과 전문의 62명, 전공의 28명입니다 그런데 환자가 전국에서 몰려서 응급환자라도 3시간 넘게 기다려야 합니다. 심폐소생술 필요한 환자는 감히 접근하기도 어려운 형편입니다.
Q. 소아과 기피 이유?
하반기에 소아과 전공의가 대량 지원하거나 대학병원 밖에 있는 소아과 전문의가 돌아올 수 있는 파격적인 유도책이 필요합니다. 소아과를 기피하는 이유도 살펴봐야 합니다. 아이가 아프면 보호자는 예민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지난해 어느 날 새벽 3시에 응급실에 도착한 아이의 보호자가 소아과 의료진에게 조금 톤이 높게 말했나 봅니다. 그날 아침에 소아과 의료진 관뒀고 서울의 한 대학병원 소아 응급실이 그렇게 문을 닫았습니다. 5세 어린이를 마지막에 진료했던 당직 소아과 교수 어제 사망 소식 접하고 충격에 빠졌고 오늘 오전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합니다. 병원이 설득하고 있는데 교수가 마음을 바꾸지 않으면 소아 병상이 따로 있는 대학병원 응급실이 서울에 현재 4개 있는데 이게 3개로 줄어듭니다. 어린이 중증 환자가 응급실 뺑뺑이를 당하는 현실은 시급하게 교정해야겠지만, 그게 소아과 의료진을 위축시키는 것도 경계해야겠습니다.
( 취재 : 조동찬 / 영상취재 : 양현철 / 구성 : 전형우 / 편집 : 김복형 / 디자인 : 박수민 / 제작 : 디지털뉴스기획부 )
조동찬 의학전문기자 dongcharn@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식약처 "여에스더 운영 쇼핑몰, 일부 부당 광고 확인"
- 인천공항 주차장 오더니 공항철도로 휙…이런 차 노렸다
- "병사들 죽어가는데"…러 유명 인사들 '반나체 파티' 여론 뭇매
- '백기' 든 인질 3명 살해…"오인 사격, 완전한 임무 실패"
- 술 시키곤 "저희 미성년자예요"…자영업자만 '한숨'
- '평균 44세 비정치인' 한동훈 비대위…'노인 비하' 논란도
- "탈옥해 보복하겠다"…'부산 돌려차기남', 협박으로 또 재판행
- 부서진 차에 몸 끼어 빗물로 버텼다…6일 만에 구조 '기적'
- 고속도로 12km '아찔' 역주행 사고…올해만 10건, 막을 방법 없나
- 편의점서 쇠망치 휘두르고 줄행랑…"죽여버리겠다" 협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