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유가족도 5·18 참배…전우원 반긴 광주 시민들

사공성근 기자 2023. 5. 18. 20: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도 처음으로 5·18 기념식에 참석해서 민주묘지를 참배했습니다.

전두환 씨의 손자 전우원 씨도 다시 광주를 찾아 거듭 사죄의 뜻을 전했는데, 사람들 반응은 어땠는지, 이 내용은 사공성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지난 3월 전두환 씨 일가 가운데 처음으로 광주를 찾아 사죄한 우원 씨도, 어제 광주로 다시 내려와 5·18 묘역을 참배하고 어머니들과 함께 주먹밥을 만들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도 처음으로 5·18 기념식에 참석해서 민주묘지를 참배했습니다.

전두환 씨의 손자 전우원 씨도 다시 광주를 찾아 거듭 사죄의 뜻을 전했는데, 사람들 반응은 어땠는지, 이 내용은 사공성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보라색 스카프를 두르고 5·18 민주묘역을 참배하고 있는 사람들.

지난해 이태원 참사로 자녀를 잃은 유가족들입니다.

[고등학생이었어요. 도청에 마지막까지 함께하면서 희생을 했던 문재학 열사고.]

5·18 유가족들과 가족 잃은 아픔을 나누고 연대하기 위해 광주를 처음 찾은 겁니다.

[안영선/이태원 참사 유가족 : 막상 와서 보니까는 긴 세월 참 많이 힘드신 시간들을 보내셨겠다라는 것 때문에 마음이 참 많이 아팠습니다. 다시는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죠.]

지난 3월 전두환 씨 일가 가운데 처음으로 광주를 찾아 사죄한 우원 씨도, 어제 광주로 다시 내려와 5·18 묘역을 참배하고 어머니들과 함께 주먹밥을 만들었습니다.

오늘은 5·18항쟁의 흔적인 남아 있는 전남대학교를 찾아 거듭 사죄의 뜻을 밝혔습니다.

[전우원/고 전두환 씨 손자 : 5월의 정신이 시작되는 곳이 여기라고 생각합니다. 이날에 제가 함께 광주에 있을 수 있다는 게 너무 감사드리고 또 죄송한 마음도 굉장히 큽니다.]

광주 시민들은 환한 얼굴로 우원 씨를 반겼습니다.

[아이고 예쁘다. 아이고 예쁘다.]

[부덕임/5·18기념식 자원봉사자 : 오늘의 의미는 아픔에서 기쁨으로. 전두환 씨 손자가 오셔 가지고 우리 광주의 아픔을 씻어주는 것 같아 가지고.]

반면, 지난 1년 사이 돌출한 특전사 동지회 등의 '기습 참배'와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의 '5·18 헌법 수록 반대' 발언을 놓고는
매섭게 비판했습니다.

[김도영/광주 북구 : 내 눈앞에서 내 친구가 죽어 나가는 걸 본 사람으로서 (특전사 동지회 참배는) 인정하고 싶지 않아요.]

윤석열 대통령의 기념사에 대해서는 5·18 진상규명 의지가 담기지 않았다며 아쉬움을 표시하기도 했지만,

[장혜원/전남 목포 : 제일 중요한 핵심이 빠져 있다 보니까, 팥 없는 찐빵 먹는 느낌처럼 아쉽다 생각합니다.]

2년 연속 대통령이 기념식에 참석한 것에는 5·18 유족회 등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영상취재 : 이상학, 영상편집 : 원형희)

▷ "내년 총선 때 개헌 국민투표" vs "국면 전환용 꼼수"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7197131 ]
▷ "계엄군 주인공?" 5·18 사진 비판에…"문 정부도 썼다"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7197133 ]

사공성근 기자402@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