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부터 자율주행 SW까지···삼성, 900조 '미래차 전장' 주도한다

노우리 기자 2023. 5. 18. 17: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 두뇌' 자율차 레벨4 근접]
◆ '종합 미래차 플랫폼' 속도전
삼성, 전장사업 전사적 역량 집중
자율주행 알고리즘 장기과제 개발
글로벌 완성차 수준 기술 고도화
퀄컴·인텔 등 맞서 주도권 확보
이재용(왼쪽 다섯 번째) 삼성전자 회장과 일론 머스크(〃 여섯 번째)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10일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삼성전자 북미 반도체연구소에서 만났다. 사진 제공=삼성전자
[서울경제]

완성차 업체가 아닌 삼성전자(005930)가 자율주행 알고리즘 기술을 장기 과제로 놓고 개발에 집중하는 것은 5년 뒤 900조 원 규모까지 성장할 미래차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포석이 깔려 있다. 미래차 시장의 구심점이 엔진 등 하드웨어에서 자율주행·전기차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로 넘어간 만큼 복수 사업부와 연구개발(R&D) 조직의 역량을 총결집해야만 전장 부품 시장을 주도할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최근 미국 출장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자율주행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등 전장 사업 확대를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는 것 역시 이러한 전략의 연장선이다.

SAIT(옛 삼성종합기술원)이 개발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는 최소 레벨3를 충족하고 레벨4 실현을 위한 여러 추가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자동차공학회(SAE)의 분류에 따르면 자율주행 레벨3는 고속도로 같은 일부 조건에서 자동차가 주도권을 갖고 스스로 운행하고 레벨4는 비상 상황 등 특정 조건에서만 운전자가 개입한다. 비록 선행 연구라는 점에서 제조나 상용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는 않지만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견줘 뒤지지 않는 수준의 기술 고도화가 진행 중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해당 주행 시험이 진행된 것은 맞지만 자율주행 기술 단계는 확인해주기 어렵다”고 말했다.

퀀텀닷(QD) 디스플레이, 완전 전고체배터리(ASSB) 등을 개발하고 있는 SAIT는 레벨4 자율주행 전기차 핵심 기술 개발을 목표로 2010년대 말부터 자율주행 연구를 꾸준히 이어왔다. 이들이 자율주행차의 ‘두뇌’ 개발에 집중하는 것은 미래차 시장에서 마지막 남은 ‘퍼즐’이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삼성디스플레이·삼성SDI·삼성전기 등은 BMW·페라리·테슬라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광범위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며 그룹 차원에서 전장 기술 무기를 갈고닦고 있다. 차량용 반도체와 부품, 디스플레이 경쟁력을 갖춘 상황에서 스스로 배우고 발전해나가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기술까지 보유한다면 일종의 ‘종합 미래차 플랫폼’을 시도해볼 수도 있다.

삼성전자의 차량용 반도체 '엑시노스 오토' 제품 사진. 사진제공=삼성전자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도 자연스럽게 극대화할 수 있다. 자율주행 선행 연구 조직과 현업 사업부 간 업무적 소통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차세대 시스템온칩(SoC) 설계 구조를 고려한 알고리즘을 만들어 제품 개발에 활용하거나 특정 전장 부품의 한계를 극복하고 단가를 낮추기 위해 소프트웨어 기술 적용 방안을 제안하는 식이다.

외연 확대의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파운드리 사업에서는 2019년부터 테슬라에 14나노 완전자율주행(FSD) 반도체를 시작으로 자율주행 칩을 공급해왔고 2월에는 첨단 5나노 파운드리 공정으로 미국 인공지능(AI) 반도체 전문 기업 ‘암바렐라’의 자율주행 차량용 반도체 생산을 발표했다. LSI사업부는 BMW에 차량용 반도체 시제품을 공급하며 고부가 설계 프로젝트를 타진하고 있다. 메모리 사업에서는 지난해 7년 연속으로 차량용 반도체 분야에서 매출 신기록을 달성했다. 한때 ‘아픈 손가락’으로 불렸던 하만 역시 지난해와 올해 1분기에 실적 신기록을 쓰며 사업 안정화 궤도에 접어들었다.

자율주행을 비롯한 미래차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삼성의 의지는 지난해 말부터 올해까지 이어지고 있는 이 회장의 동선에서도 읽을 수 있다. 회장 취임 직후 이 회장은 삼성전기 부산사업장을 방문해 전장용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생산 시설을 둘러봤고 지난해 말에는 올리버 칩세 BMW 최고경영자(CEO)와 만나 전장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미국 출장을 떠난 10일(현지 시간)에는 실리콘밸리에서 머스크 CEO와 만나 자율주행 반도체와 관련한 여러 대화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는 삼성전자에서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는 경계현 사장,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사업을 책임지는 최시영 사장도 배석했다.

전장 시장에서 삼성을 비롯한 글로벌 정보기술(IT) 업체들의 경쟁은 하루가 다르게 열기를 높여가고 있다. 모바일 칩셋 강자인 퀄컴은 이달 초 이스라엘 차량용 반도체 기업 오토톡스를 인수했다. AI 반도체 분야 강자인 엔비디아는 자율주행 솔루션 ‘엔비디아 드라이브 오린’을 볼보에 도입하고 2025년 재규어랜드로버에 차량용 전용 반도체와 소프트웨어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인텔(모빌아이), 구글(웨이모), 애플 등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시장을 놓고 치열한 기술 경쟁을 벌이고 있다. 시장조사 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에 따르면 글로벌 전장 시장 규모는 내년 4000억 달러에서 2028년에는 7000억 달러(약 924조 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우리 기자 we1228@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