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생산가능 인구 35% 감소→GDP 28% 줄어든다"

박관규 2023. 5. 18. 13: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출산·고령화 여파로 2050년 국내총생산(GDP)이 현재보다 30% 가까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18일 발표한 '인구구조 변화가 GDP에 미치는 영향 추정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 한국 총인구(유엔 인구자료 기준)는 4,577만1,000여 명으로 2022년(5,181만6,000여 명) 대비 11.67% 감소할 전망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경연, 인구구조 변화와 GDP 영향 분석 
피부양인구 1% 증가=GDP 0.17% 감소
게티이미지뱅크

저출산·고령화 여파로 2050년 국내총생산(GDP)이 현재보다 30% 가까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18일 발표한 '인구구조 변화가 GDP에 미치는 영향 추정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 한국 총인구(유엔 인구자료 기준)는 4,577만1,000여 명으로 2022년(5,181만6,000여 명) 대비 11.67% 감소할 전망이다. 이 기간 생산 가능 인구도 34.75% 줄어든 2,398만4,000여 명에 그치고 피부양 인구(2,178만7,000여 명)는 44.67% 증가한다는 예상이다.

한경연은 다른 변수가 없다고 가정하면 '생산가능 인구 1% 감소=GDP 0.59% 감소', '피부양 인구 1% 증가=GDP 0.17% 감소'라는 등식이 성립한다고 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패널 자료를 활용해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다.

이를 인구구조 변화에 대입하면 2050년 국내 GDP는 2022년 대비 28.38% 줄어든다. 2022년부터 2050년까지 연평균 약 1.18%씩 GDP가 감소한다는 의미다. 유진성 한경연 선임연구위원은 "경제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는 생산가능 인구는 줄고 부양해야 할 인구는 늘어남에 따라 재정 부담 증가, 미래 투자 감소 등 경제 활력이 약해지면서 GDP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설명했다.

한경연은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①노동시장의 고용률을 높이고 규제를 완화 ②외국인 근로자 활용 ③노동 생산성 향상 등 정책을 다각적으로 펴야 한다고 판단했다.

박관규 기자 ace@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