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형탁 아주대 교수, 초고감도·고성능 광센서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주대 연구진이 기존 센서보다 성능이 우수한 근적외선 광센서를 개발했다.
상용화되면 자율주행차·지능형CCTV·우주·군사 분야 등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이다.
서형탁 교수는 "그동안 구현이 불가능했던 초고감도 근적외선 검출을 새로운 소재·공정 방식을 통해 실리콘 기판 위에서 반도체 호환 공정으로 실현했다는 점에서 학문적·기술적 의의가 있다"며 "이 방식을 응용하면 기존의 실리콘 집적회로 공정에 접목, 우수한 성능의 광센서를 구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차·의료·우주·군사 분야 활용 가능”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아주대 연구진이 기존 센서보다 성능이 우수한 근적외선 광센서를 개발했다. 상용화되면 자율주행차·지능형CCTV·우주·군사 분야 등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이다.
아주대는 서형탁(사진) 첨단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이러한 연구 성과를 얻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쿠마 모히트(Mohit Kumar) 교수(제1저자)와 임석원·김지수 대학원생(공저자)이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저명 국제학술지(Advanced Materials) 5월호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전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광센서는 신재생 에너지·정보통신·사물인터넷·광통신 등의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이다. 특히 △자율주행 차량의 전방 센서 △의료 분야의 열화상 측정 △야간 투시를 비롯한 우주·군사 시설 등에서 요긴하게 활용되고 있다.
아주대 연구팀은 집적회로 양산공정에서 기존에 널리 활용되는 원자층 증착 기술을 이용, 이산화바나듐 초박막을 실리콘 기판 위에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실리콘과 이산화바나듐으로 구성된 포토 다이오드 소자를 만든 것. 이렇게 개발된 센서는 기존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서형탁 교수는 “그동안 구현이 불가능했던 초고감도 근적외선 검출을 새로운 소재·공정 방식을 통해 실리콘 기판 위에서 반도체 호환 공정으로 실현했다는 점에서 학문적·기술적 의의가 있다”며 “이 방식을 응용하면 기존의 실리콘 집적회로 공정에 접목, 우수한 성능의 광센서를 구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신하영 (shy110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콜먼의 경고 “2750년 韓 소멸 위험 3000년 日 완전히 사라질 것”
- 남태현·서민재 '필로폰 양성'…경찰, 구속영장 신청
- 검게 변한 필터..시흥 아파트 수돗물서 이물질 '콸콸'
- 김우빈 "40만원에 80벌 착장 시킨 사장님, 꼭 잡아낼 것" [인터뷰]③
- 전기료가 뭐길래..밀려서, 독촉해서 '빨간줄'[사사건건]
- '꽃길' 앞 한동훈 "비판해준 분도 감사"...'21대 대통령' 문구도
- “할아버지는 학살자” 전두환 손자 전우원, 5·18 추모식 참석
- '"루프탑 달고 캠핑갈까?"..'100조 車애프터마켓' 활황
- 성병 옮기고 잠수탄 男, 스토킹으로 기소된 女[사사건건]
- “기쁨조나 해” 학생이 교사 성희롱했는데…교육청은 언론 단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