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도, 세계대회에서 또 ‘노골드’ 수모 [이종세의 스포츠 코너]

2023. 5. 17. 10: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8년 이후 5년째…선수 18명이 겨우 ‘동’ 2개
간판선수 안바울·김민종 메달권 진입 실패
내년 올림픽도 먹구름…문체부가 대책 세워야

한국유도가 올림픽과 맞먹는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또다시 ‘노골드’의 수모를 당했다. 2018년 제33회 아제르바이잔 바쿠 대회에서 ‘금 맛’을 본 뒤 5년째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따지 못하고 있다.

한국유도는 15일(한국시간) 카타르 도하 ABHA 아레나에서 끝난 제37회 세계선수권대회 마지막 날 남자 81kg급에서 이준환(21·용인대)이 동메달을 추가했다. 이로써 한국은 지난 8일 이하림(26·한국마사회)의 남자 60kg급 동메달에 이어 2개의 동메달을 따는데, 그쳐 메달 순위도 종합 14위에 머물렀다.

2023 세계선수권 첫날 모습. 사진=국제유도연맹 공식 홈페이지
남녀 각 9명씩 18명이 참가한 대회치고는 초라한 성적이 아닐 수 없다. 특히 2015년 제31회 대회부터 지난해까지 메달을 꾸준히 땄던 남자 66kg급 안바울(29·남양주시청)과 남자 100kg이상급의 김민종(23·양평군청)이 메달권에 들지 못한 것은 의외다.

이는 금메달을 따지 못했던 제34회 대회(도쿄), 제35회 대회(부다페스트), 제36회 대회(타쉬켄트)에 이어 한국유도가 부진의 늪에 빠져있음을 재삼 확인시켜 준 것이다.

이준환 2023 국제유도연맹 세계선수권 남자 -81㎏ 동메달 시상식. 사진=AFPBBNews=News1
이하림 2023 국제유도연맹 세계선수권 남자 -60㎏ 동메달 시상식. 사진=AFPBBNews=News1
한국유도는 올림픽에서도 2012년 런던대회 남자 81kg급 김재범과 90kg급 송대남이 금메달을 땄으나 2016년 리우올림픽과 2021년 열린 2020년 도쿄올림픽에서는 우승자를 내지 못했다.

이대로 가면 내년 2024 파리 올림픽에서도 ‘노골드’의 수모를 면치 못하리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대표선수 선발 및 훈련 방식의 대폭적인 수정과 코칭스태프의 보강 및 경질 등을 통해 1년여 앞으로 다가온 파리 올림픽을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한국유도, 역대 세계대회에서 ‘금’ 30개
한국유도는 1958년 제2회 세계선수권대회(도쿄)부터 참가, 1961년 제3회 대회(파리)에서 재일교포 김의태(무제한급)가 처음으로 조국에 동메달을 안겼고 1967년 제5회 대회(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는 박길순(70kg급)이 한국인으로는 첫 은메달을 땄다.

그리고 1981년 9월 네덜란드 마스트리히트에서 열린 제12회 대회에서는 마침내 한국인 첫 금메달리스트를 배출했다. 당시 수도경비사령부 소속 군인이었던 청주 출신 박종학(현재 청주대 교수)이 71kg급에서 우승, 경기장에 애국가가 울려 퍼지면서 태극기가 게양되는 감동의 순간을 연출한 것이다.

당시 한국 기자로 유일하게 현장에 있었던 필자 역시 솟구치는 감격의 눈물을 억제하느라 혼났던 기억이 42년이 지난 지금도 생생하기만 하다. 한국유도는 이후 2018년 제33회 대회(아제르바이잔 바쿠)까지 29개의 금메달을 추가, 현재 세계유도선수권대회 금메달 30개를 보유하고 있고, 은메달은 9개, 동메달은 62개를 딴 것으로 집계됐다.

30개의 금메달 가운데 전기영(현재 용인대 교수 겸 국제유도연맹 심판위원장)은 1993년 제18회 대회(캐나다 해밀턴) 78kg급 우승에 이어 1995년 제19회 대회(일본 지바)와 제20회 대회(프랑스 파리)에서는 86kg급으로 한 체급을 올리고도 정상에 올라 세계대회 3연속 우승의 진기록을 갖고 있다.

전기영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용인대 출신의 왕기춘은 2005년 제25회 대회(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와 2007년 제26회 대회(네덜란드 로테르담) 남자 73kg급을 2연패 했고, 김재범(한국마사회 유도팀 감독) 역시 2009년 제27회 대회(일본 도쿄)와 2010년 제28회 대회(프랑스 파리) 남자 81kg급에서 잇달아 정상에 올랐다.

김재범은 2012년 런던올림픽과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2011년 아부다비 아시아선수권 등 4개 대회를 석권, 유도 그랜드슬램의 영예를 안았다.

선수 발굴 육성 시스템 점검…일본유도 배워야
2004년 아테네, 2008년 베이징, 2012년 런던 등 3개 올림픽 유도에서 3연속 종합순위 3위를 기록했던 한국유도가 2016년 리우와 2020년 도쿄올림픽에서 거푸 금메달리스트를 내지 못하고 세계선수권대회에서도 2018년 이후 부진을 거듭하고 있음은 엄연한 현실이다.

이웃 일본만 해도 이번 세계선수권대회 개인전에서 금 5, 은 2, 동메달 4개로 종합우승했다. 특히 여자가 7체급 중 4체급을 석권해 일본유도를 빛나게 했다. 일본은 대회 마지막 날 열린 단체전에서도 2회전에서 한국을 4대2로 누르고 승승장구, 결승에서 프랑스를 꺾고 대회 6연패를 달성, 세계 최강임을 입증했다.

전문가들은 “일본유도 육성 시스템의 장점을 본받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한국유도의 저변이 쪼그라든 이유를 분석해 대책을 세워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 국내 중·고교 유도대회의 경우 10년 전만 해도 2000~3000여 명이 참가했는데 최근 참가선수가 1000여 명으로 격감한 상황이다. 이는 특정 대학의 독주에 불만을 품은 여타대학이 유도팀을 해체하면서 중·고교 유도팀도 숫자가 감소추세에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선수 발굴과 육성, 훈련 등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데도 이를 관리 감독해야 할 문체부나 대한체육회 등에서는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화려했던 과거 한국유도의 중흥을 위해 새겨들어야 할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이종세(용인대 객원교수·전 동아일보 체육부장)

[ⓒ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