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근의 파란 코끼리] 아우라지의 오래된 사랑 노래/정신과의사

2023. 5. 17. 05: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강원도 정선 아우라지는 아련한 전설의 고향이다.

아우라지 네 글자를 조용히 혀에 굴려 발음해 보면 옛적 어느 때 그 두메에 흘러들어 처음으로 땅 이름을 지어 붙였을 누군가가 떠오른다.

아우라지는 '정선 아리랑'의 고향이기도 하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나를 넘겨 주오. 타관객리 외로이 난 사람, 네가 괄세를 마오." 정선군에선 이곳에 '정선아리랑공원'을 만들려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효근 정신과의사

강원도 정선 아우라지는 아련한 전설의 고향이다. 도시의 삶에 지칠 때면 문득 생각나는 곳. 그곳의 산과 물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옛 시인 백석의 목소리가 조곤조곤 들릴 것 같다. 산골로 가는 것은 세상한테 지는 것이 아니라고, 세상 같은 건 더러워 버리는 것이라고.

아우라지 네 글자를 조용히 혀에 굴려 발음해 보면 옛적 어느 때 그 두메에 흘러들어 처음으로 땅 이름을 지어 붙였을 누군가가 떠오른다. 인적 드문 그 산골까지 들어온 그는 어울려 흐르는 두 물줄기를 보고 떠나온 대처를 그리워했을까.

아우라지는 ‘정선 아리랑’의 고향이기도 하다.“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나를 넘겨 주오. 타관객리 외로이 난 사람, 네가 괄세를 마오.” 정선군에선 이곳에 ‘정선아리랑공원’을 만들려 했다. 그런데 한창 공사를 하던 중 뜻밖의 유적이 발견된다. 한국 청동기 역사를 앞당길 획기적 유적. 강인욱의 책 ‘테라 인코그니타’에 따르면 아우라지 청동기 유적에는 수천년 시간적인 의미 외에 또 한 가지 의미가 있다고 한다. 시베리아 청동기 전차 문화의 유물인 세이마투르비노 스타일의 장신구가 발견된 것이다. 아우라지는 전차가 달릴 수 있는 지형이 아니다. 전차 관련 유물이 나오지도 않았다. 저자도 아우라지 유적은 시베리아의 전차가 한반도로 이어졌다는 증거가 아닌, 그들의 청동제련술이 한국에 영향을 미친 증거라고만 이야기했다. 아우라지에서 발견된 장신구는 돌을 포일로 감싼 듯한 모양의 목걸이로, 주로 여성과 아이들이 착용했다고 한다. 4000년 전 그 아름다운 목걸이를 아우라지 심심산골에 남긴 사람은 누구였을까.

인류 최초로 전차를 개발한 시베리아 안드로노보 문화의 사람들은 결국 초원의 기후변화로 흩어졌다고 한다. 호쾌하게 초원을 달리던 전차를 단단하게 꾸릴 청동제련술을 가졌던 한 사람을 상상해 본다. 친구는 서쪽으로 떠나 러시아의 평원을 달리고, 또 다른 친구는 남쪽으로 떠나 파미르고원을 넘어 비옥한 인도 대륙을 내습한다. 하지만 그는 먼 동쪽으로 떠나 결국 정선의 두메로 흘러든다.

구불구불 흐르는 정선강. 그 깊은 계곡과 울창한 숲을 바라보며 그는 더이상 전차를 만들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그는 자신의 제련술로 정선강의 조약돌을 주워 청동으로 장식한다. 목걸이가 완성된 날 밤 낯선 이 땅에 처음 찾아왔을 때 자신을 거두어 준 노인의 집을 찾아가 그 딸에게 청혼한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나를 넘겨 주오. 타관객리 외로이 난 사람, 네가 괄세를 마오.”

노인도, 곱던 딸도, 그 자신도 한 줌 흙으로 돌아간 뒤 만주 흥안령과 백두대간을 울며 내려와 고운 목걸이를 만들던 그 사연도 모두 잊혀지고 난 뒤 4000년의 세월이 지난 다음에 수줍게 자태를 드러낸 청동제 목걸이. 그 목걸이를 처음 꺼내 올렸을 어떤 고고학자는 그날 밤 소주 한 잔에 잠시 취해 아내에게 전화했을 것이다. “내가 말이야, 오늘 오래된 사랑 이야기를 하나 들은 것 같아.” 이번 주말엔 정선에 가 볼까 한다. 마침 지난주에 정선 곤드레나물 축제도 끝나 두메는 한갓질 것이다.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