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정→짜고, 구거→도랑…어려운 법률 용어 쉽게 바꾼다 [입법레이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모두 민법에 쓰여 있는 법률 용어다.
용어가 생소하다 보니 일반 국민들이 법을 명확히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이러한 어려운 법률 용어를 쉬운 단어로 바꾸는 것을 골자로 한 민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16일 밝혔다.
박 의원은 "민법은 사법의 기본법으로 국민의 생활을 직접 규율하는 중요한 법률"이라며 "법을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야 법이 국민 누구나 보호할 수 있다"고 개정안 취지를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정’, ‘구거’, ‘심굴’, ‘요역지’, ‘승역지’
모두 민법에 쓰여 있는 법률 용어다. 법조인을 제외한 국민들은 도통 이해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용어가 생소하다 보니 일반 국민들이 법을 명확히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이러한 어려운 법률 용어를 쉬운 단어로 바꾸는 것을 골자로 한 민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16일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민법 108조 1항 '상대방과 통정한 허위의 의사표시는 무효로 한다'는 문구는 '상대방과 짜고 허위로 한 의사표시는 무효로 한다'로 바뀐다.
229조 '구거 기타 수류지의 소유자는 대안의 토지가 타인의 소유인 때에는 그 수로나 수류의 폭을 변경하지 못한다'는 조항에서 '구거'는 '도랑'으로 교체한다.
'상린자(相隣者)'는 '서로 이웃하는 자'로, '수지(樹枝)'와 '목근(木根)'은 각각 나뭇가지, 나무뿌리로 개정한다. '심굴금지(深掘禁止)'는 '굴착의 한계'가 된다. '요역지(要役地)'는 '편익을 얻고자 하는 토지', '승역지(承役地)'는 '편익을 제공하는 토지'로 고친다.
박 의원은 “민법은 사법의 기본법으로 국민의 생활을 직접 규율하는 중요한 법률"이라며 "법을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야 법이 국민 누구나 보호할 수 있다"고 개정안 취지를 설명했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3년 타야 본전 뽑는데…" 전기차 운전자 '울상'
- "짜파게티보다 더 팔렸다"…대박난 라면의 정체
- "사람들이 가슴만 쳐다봐요"…고민 끝에 탄생한 대박템 [최형창의 中企 인사이드]
- 카카오가 또 또 또…"제발 살려주세요" 개미들 '비명'
- '김남국 코인' 리스크에도 주가 오르는 위메이드…본업이 살렸다
- "스타 등극" 10년치 연봉, 한 번에 번 유치원 교사
- 미주 "다이어트 부작용, 라면 한 봉 다 못 먹어"
- 허정민 "작가님이 나 싫다고…" 캐스팅 불발 폭로, KBS "단 한 차례 미팅"
- 돌아온 김선호, 강렬한 비웃음 '포착'
- 학생들은 2500원 카레밥…의원들은 장어·갈비찜까지 뜯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