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의 삼각형', 모든 것이 전복되는 블랙코미디의 유람
아이즈 ize 정수진(칼럼니스트)
제75회 칸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 '슬픔의 삼각형'이 개봉한다. 지난해 칸국제영화제는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과 송강호와 아이유가 주연을 맡은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브로커'가 경쟁 부문에 초청돼 국내의 지대한 관심을 받은 바 있다. '헤어질 결심'을 제치고 '슬픔의 삼각형'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면서, 자연스레 이 영화가 궁금했다. 심지어 루벤 외스틀룬드 감독은 2017년 '더 스퀘어'에 이어 두 번째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것이니, 궁금증이 더할밖에.
'슬픔의 삼각형'은 '크루즈판 '기생충''이란 소개가 나올 만큼 자본주의로 인한 계급사회와 불평등을 전면에 내세워 블랙코미디의 형식으로 다룬다. 영화 초반, 모델 오디션을 위해 모인 남자 모델들에게 리포터가 던지는 주문부터 돈으로 많은 것이 결정되는 현대사회를 노골적으로 풍자한다. "발렌시아가 표정을 보여줘요. 자, 이제 저렴한 옷으로 갈아입었어. H&M이에요." 모델들은 값비싼 명품 브랜드인 발렌시아가의 모델이라고 가정할 땐 세상 모든 것을 거머쥔 듯 도도하고 거만한 표정을 짓다가 값싼 스파 브랜드인 H&M의 모델이라고 할 땐 누구에게나 호감을 갈구하듯 무해하고 순진한 미소를 짓는다. 뒤에 이어진 명품 브랜드의 패션쇼장에서 '만인은 평등하다'라는 캐치프레이즈가 흘러나오며 세상 도도한 표정의 모델들이 런웨이를 거니는 모습은 얼마나 우스꽝스러운지. 그러나 이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슬픔의 삼각형'은 '칼 & 야야' '요트' '섬'이란 제목을 단 3부로 구성된다. 잘나가는 모델 겸 인플루언서인 야야(샬비 딘)와 그의 남자친구이자 모델인 칼(해리스 디킨슨)의 언쟁을 주로 비추는 1부부터 영화는 연인 관계에 자본이 어떤 식으로 작용하는지를 전복적으로 보여준다. 여성 모델에 비해 평균적으로 수입이 3분의 1에 불과한 남성 모델인 칼은 자신보다 수입이 많은 여자친구를 만나면서도 성적 고정관념에 의해 데이트 비용의 상당 부분을 지불하는 것으로 나온다. 이에 대해 칼이 불만을 제시하자 야야는 "돈 이야기는 섹시하지 않아"라며 회피한다. 정작 야야는 돈의 위력과 섹시함을 지극히 잘 파악하고 있다. 결국 지금 자신은 잘나가지만, 나이가 들면 돈 많은 사람의 '트로피 와이프'가 돼야만 지금 누리는 것들을 누릴 수 있음을 고백하며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한다.
2부 '요트'는 2억5000만 달러짜리 초호화 유람선에 승선한 야야 커플과 그곳에 즐비한 돈 많은 부자들을 비롯해 유람선 안에서 선명하게 나뉘는 계층의 모습을 비춘다. 똥(비료)을 팔거나 수류탄과 지뢰를 파는 세계 각국에서 온 사업가들은 공공연하게 자신의 부를 과시한다. 무슨 일을 하느냐는 질문에 "똥을 팔아요"라고 말하며 웃고, 서빙하는 승무원들에게 "인간은 모두 평등해"라며 수영을 즐길 것을 권하는 이 부자들은 얼핏 호방하고 털털해 보인다. 그러나 자신이 원하는 바가 쟁취되지 않으면 1초 만에 돌변하는 표정으로 그 위선을 까발린다. 수영을 권하는 자신의 말을 듣지 않는 승무원에게 "감히 내 말에 '안 된다'고 하는 거야?"라며 윗선을 통해 전 승무원에게 강제로 수영을 시키는 모습을 보라.
자본가들의 위선이 드라마틱하게 전복되는 순간은 거센 풍랑으로 배가 침몰할 것 같은 위기 상황에서 극적으로 그려진다. 샴페인과 캐비어, 송로버섯 등 최고급 만찬을 즐기던 부자들이 극심한 뱃멀미를 견디지 못하고 여기저기서 분수처럼 구토하고, 고급 화장실 바닥에서 역류하는 토사물과 배설물 위를 굴러다니며 토악질을 하는 모습은 그 자체로 전복적이다. 술에 진탕 취해 러시아 사업가와 함께 마르크스와 레닌을 들먹이며 논쟁하는 선장 토마스(우디 해럴슨) 대신 헤드 승무원 폴라(비키 베를린)를 비롯한 승무원들이 전전긍긍하며 승객들의 안전을 도우려는 모습도, 승객들이 싸지르는 토사물과 배설물을 묵묵히 치우는 존재가 작업복을 입은 유색인종 노동자라는 점도 이 영화가 무엇을 보여주고 싶었는가를 명징하게 드러낸다.
3부 '섬'에 이르면 영화 속 세계관은 모든 것이 뒤집어진다. 난파된 배에서 겨우 살아남은 여덟 명의 사람들은 백인 부자, 백인 서비스 노동자, 칼과 야야 커플, 유색인종 노동자로 구성되는데, 이들이 난파된 섬에선 자본을 중심으로 하던 계급도, 성별도, 인종도 무의미하다. 롤렉스 시계와 보석이 힘을 잃는 대신 맨손으로 물고기를 잡을 수 있고 불을 피울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해진다. 3부에서야 온전히 존재감을 내비치는 화장실 청소 담당 애비게일(돌리 드 레온)이 섬에서 살아남는 생산수단으로 순식간에 권력을 장악하고 일종의 모계사회를 구축하는 장면은 묘한 통쾌함과 불편함을 동시에 선사한다. 무인도라는 극한의 상황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인간의 본성과 그로 인해 새로 형성되는 계급사회의 모습은 대단히 독창적이라 느껴지진 않지만, 동남아시아계 여성 노동자 애비게일을 내세워 기존의 사회에 완전히 대치되는 사회를 탄생시킨 건 자못 흥미롭다.
'슬픔의 삼각형'은 엔딩에서 기존 사회로 돌아갈 수 있는 기회 앞에 선 애비게일의 선택을 보여주지 않은 채 끝을 맺는다. 관객은 분노와 울분과 결의 등으로 복잡미묘한 표정을 짓는 애비게일의 표정을 보며 강렬한 여운을 느낄 수밖에 없다. 애비게일의 선택이 무엇이든 차치하고, 이 사회에 통렬한 질문을 던진다는 점에서 '슬픔의 삼각형'은 곱씹어 볼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147분의 러닝타임이 그리 지루하지 않다. 5월 17일 개봉, 15세 관람가.
덧1-영화 제목인 '슬픔의 삼각형(Triangle of Sadness)'은 찌푸릴 때 미간에 주름이 생기는 영역을 뜻하는 뷰티업계 용어로, 외적인 미모에 가치를 부여하는 현대사회의 세태를 집약한다.
덧2-야야 역을 맡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 배우 샬비 딘은 지난해 8월 세균성 패혈증으로 유명을 달리하며 이 영화가 유작이 됐다.
Copyright © ize & iz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 계단씩 밟고 올라온 베리베리의 꿈 [인터뷰] - 아이즈(ize)
- SM과 하이브 걸그룹의 현재 '르세라핌 VS 에스파' - 아이즈(ize)
- '부산촌놈', 유호진 PD의 하이퍼리얼리즘 노동기 - 아이즈(ize)
- 자존감 하나로 '퀸카'가 된 (여자)아이들 - 아이즈(ize)
- 슈퍼캐치 2개→무안타에 수훈선수... "수비는 내가 최고" 56억 사나이가 빛나는 법 - 아이즈(ize)
- '대역전극' 고진영은 임성재를 떠올렸다, '중꺾마'로 일군 시즌 2승-통산 15승 [LPGA 파운더스컵] -
- 이강인 영입전 나폴리까지 합류, 김민재 이어 또 한 번 '대박' 꿈꾼다 - 아이즈(ize)
- 허광한이 편견의 벽을 깨버리는 '메리 마이 데드 바디' - 아이즈(ize)
- 택배기사 ㅣ 원작의 장점을 살리지 못한 총체적 난국 - 아이즈(ize)
- 택배기사 ㅣ 김우빈의 하드캐리도 살리지 못한 조의석 월드 - 아이즈(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