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 2.6%로 상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16일 발표한 '2023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에서 올해 세계경제가 2.6%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 상향 조정 배경으로 KIEP는 '예상보다 빠르게 전개된 중국 리오프닝'을 주요하게 꼽았다.
KIEP는 올해 세계경제가 더딘 회복세 가운데 하방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지났고 고용시장도 견조한 상황이 고려돼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지난해 11월 전망치 0.6%의 두 배인 1.2%로 상향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16일 발표한 '2023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에서 올해 세계경제가 2.6%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11월 전망치 2.4%에서 0.2%p 높인 수치로, 지난 3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망치와 같고 지난달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 2.8%보다는 낮다.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 상향 조정 배경으로 KIEP는 '예상보다 빠르게 전개된 중국 리오프닝'을 주요하게 꼽았다.
KIEP는 그러나 "리오프닝 이후 중국 경제 활동이 자국 내수 회복 중심으로 이뤄져 주변국 경제 성장과 상관관계가 약한 만큼 전 세계 경제를 견인할 동력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또한, KIEP는 "0.2%p를 올려도 크게 나아지는 건 아니"라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까지 최근 5년간 평균 성장률이 3.4%였던 데 비춰보면 저성장 고착 우려마저 있다"고 강조했다.
KIEP는 올해 세계경제가 더딘 회복세 가운데 하방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전망했다.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KIEP는 먼저, 금융불안과 신용긴축에 따른 장기 침체 경로를 들었다.
미국 0.6%→1.2%, 유로 지역 0.0%→0.8%, 일본은 1.5%→1.4%
"추가적인 중소형 은행들의 파산과 금융권 불안, 실물경기로의 전이 및 장기 침체 가능성 우려가 적지 않다"고 KIEP는 지적했다.
이슈별 이합집산과 글로벌 정책공조 약화도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꼽혔다.
국제질서가 중국 부상과 미·중 갈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일련의 사건이 상징하듯 미국 중심의 짧은 자유주의 시대에서 신다극체제, 이슈별 이합집산 시대로 전환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KIEP는 특히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으로 더욱 부담이 커진 최빈국과 신흥국 부채 탕감을 두고 미·중 간 지정학적 힘겨루기가 지속하면 최빈국·신흥국발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블록별로는 선진국 경우 여전히 높은 핵심물가와 고금리에 따른 신용위축이 경제활동 둔화를 상당 기간 야기하고 이후 회복세도 매우 더디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은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지났고 고용시장도 견조한 상황이 고려돼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지난해 11월 전망치 0.6%의 두 배인 1.2%로 상향됐다.
중국 4.8%→5.5%, 러시아 -2.5%→0.5%…내년 세계경제 3.0%↑
유로 지역도 지난해 11월 0.0%에서 0.8%로 크게 올랐지만, 일본은 1.5%에서 1.4%로 0.1%p 하향 조정됐다.
신흥국은 선진국 대비 높은 물가 수준과 대외수요 둔화에 따라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지난해 11월 전망 대비 대체로 낮아졌다.
인도는 5.6%에서 5.2%로 낮아졌고 ASEAN5(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도 4.9%에서 4.7%로 내려갔다.
다만, 중국은 리오프닝에 따른 경제활동 재개와 정부의 내수 활성화 정책, 지난해 낮은 성장률(3.0%) 대비 기저효과 등으로 지난해 11월 4.8%보다 0.7%p 높은 5.5%가 제시됐다.
애초 올해 역성장(-2.5%)이 예상됐던 러시아도 지난해 역성장(-2.1%) 기저효과 및 제한적 수준의 소비와 순수출 기여로 0.5% 성장할 것으로 전망이 대폭 수정됐다.
한편, KIEP는 내년에는 세계경제가 3.0%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과 중국 등 세계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들은 올해 대비 하향 성장하는 반면, 인도와 브라질 등 신흥국이 상대적으로 크게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이희진 기자 heejjy@gmail.com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英석학 "후쿠시마 오염수, 마셔도 돼"…"당장 마셔주세요"[이슈시개]
- 벽 보고 손뼉…'알코올 중독' 아들 이상 행동에 둔기 살해한 母
- 김건희는 빨래건조대?…美유력지 표현에 독자 "무례하다"
- '혹파리' 지옥된 송도 신축아파트…붙박이장 열자 사체 후두둑
- 최고령 수영복 표지 모델된 '81세' 그녀…"관습에 굴복할 것 없다"
- KIEP,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 2.6%로 상향
- 현금출납기서 139차례 걸쳐 1100여만원 훔친 푸드코트 직원
- 심상치 않은 동해 해역 지진…"더 큰 지진 가능성 낮지만 배제 못 해"
- 여고생 노렸다…필로폰 중독시켜 판매 동원한 마약판매상들
- 보건노조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플랫폼 업체만 배불리는 꼼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