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난 체하고 경쟁심 불타던 소년 세종은 어떻게 좋은 왕 됐나 [박현모의 실록 속으로]
부왕 앞에서 학문 뽐내고 큰형에게 잔소리해 재수 없단 말 듣기도
독서·토론으로 마음 가꾸고, 잠행 통해 백성 입장서 정치 바라봐
한글박물관의 ‘세종 나신 날’ 기념 특강을 위해 왕 되기 전 세종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세종 이도(李裪)가 태어난 1397년 4월 10일(양력으로 5월 15일)부터 즉위년인 1418년 8월까지 실록 기사 40여 건을 찬찬히 되읽었다. 유독 눈에 띈 구절은 “너는 관음전에 가서 잠이나 자라”라는 세자 이제(李褆·양녕대군)의 말이었다. 태종 16년째인 1416년 9월의 어느 날, 세자는 동생들을 데리고 할머니 신의왕후 한씨의 제사를 위해 지금의 서울 종로구 혜화동에 있던 흥덕사에 갔다. 향 피우기를 마친 세자는 그곳에서 몇 사람과 더불어 바둑을 두기 시작했다. 함께 따라간 충녕이 한마디 했다. “세자의 몸으로 간사한 소인배들과 바둑 놀이를 하는 것도 안 될 일인데, 더군다나 오늘은 할머니 제삿날 아닙니까”라고. 이 말을 들은 양녕이 짜증스러운 표정으로 “너는 가서 잠이나 자라”고 했다.
강의를 들은 학생은 양녕의 이 말을 ‘너, 재수 없어’로 통역했다. 10대 세종의 ‘재수 없는 언행’은 이 외에도 여럿 나온다. 그해 설날 즈음 세자 이제는 새로 맞춘 설빔을 차려입고 주위 사람들에게 “어떠하냐?”고 물었다. 대뜸 충녕이 나서서 대답했다. “형님, 먼저 마음을 바로잡은 뒤[先正心] 용모를 닦으셔야죠[後修容].” 기록에 나타난 어린 시절의 세종은 한마디로 왕따 대상이 되기 쉬운 청소년이었다. 그는 잘난 체하는 왕자이자 일러바치기 잘하는 사람이었다. 비만하고 편식하는 아이였으며 운동도 못했다. 충녕의 경쟁적 언행은 다분히 부왕 태종의 관심을 끌기 위한 것이었다. 종친과 대신들이 모인 경회루에서 열린 술자리에서 충녕은 한껏 학문을 뽐냈는데, 아니나 다를까 태종은 세자를 돌아보면서 “왜 너는 학문이 이만 못하냐?”고 꾸짖었다. 이뿐만이 아니었다. 외삼촌 민무회에게 안 좋은 말을 들은 충녕은 즉시 부왕 태종에게 그 사실을 알렸는데, 그 일로 외갓집이 풍비박산되고 말았다.
그렇게 불완전하고 결함 많은 이도가 어떻게 훌륭한 리더로 변화할 수 있었을까? 그 요인의 하나는 ‘세종 백독(世宗百讀)’이다. 그는 좋은 책을 골라 백 번씩 읽으면 세상 이치를 꿰뚫을 수 있다는 믿음으로 고전을 반복해서 읽었다. 다른 하나는 훌륭한 스승의 존재다. 이수(李隨)와 김토(金土)가 대표적 스승인데, 세종에 따르면 “이수는 오가면서 진강(進講)했고, 김토는 더불어 종일토록 강론한” 스승이었다. 이수는 고금의 유익한 말과 뛰어난 정치 사례[嘉言善政]를 엄선해 세종에게 가르쳐줬을 뿐만 아니라, 수원에서 출퇴근하면서 보고 들은 민간의 일도 들려주었다. 나중에 세종은 이수야말로 자신을 알아보고[知] 특별한 존재로 대우한[遇] 사람이었고, 마음밭을 기름지게 가꾸어준[啓沃] 스승이었다고 회고했다. 출퇴근형 스승 이수가 가르쳐주고 들려준 사례와 민간의 일을 어린 세종은 공동 생활형 스승 김토와 더불어 토론하며 자기 것으로 만들어갔다. 왕위에 오른 직후 세종의 제일성이 ‘의논하자’였던 것은 김토에게서 배운 종일 토론을 배경으로 하고 있었다.
충녕을 변화시킨 마지막 요인은 백성을 직접 만나 그들의 처지에서 정치를 바라본 경험이다. 1416년 2월에 충녕은 부왕 태종을 따라 충청도 태안반도에 갔는데, 강무(講武·군사훈련을 겸한 수렵 대회)하는 약 20일 동안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면서 백성들의 생활 모습을 두루 살폈다는 기록이 있다. 궁궐 밖 미행은 세자 시절에도 계속되었다. 그 과정에서 백성들의 고통과 기쁨, 그리고 국왕이, 정치가 왜 존재해야 하는가를 깊이 깨달았다. 왕위에 오르기 전에 그가 맞닥뜨린 여러 큰 곤경을 이겨내는 힘은 바로 거기에서 나왔다. 그는 어머니 원경왕후의 큰형 편애, 세자 이제와 외삼촌의 견제와 협박 속에서 자라야 했다. 가족 중 유일하게 마음이 통하고 대화가 잘된 네 살 위 누나 경안공주가 갑작스레 죽는 걸 지켜보기도 했다. 그럼에도 그가 비뚤어지지 않고 오히려 여자 노비와 버려진 아이 등 나라에서 가장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돌아보는 마음을 가지게 된 것은 백성과 만난 데서 얻은 강력한 전율 때문이었다. “루터는 항상 번개가 바로 그의 뒤에 막 내려치려고 하는 것처럼 의식했고, 그렇게 행동한 사람”이라고 덴마크 철학자 키에르케고르는 썼다. 어린 시절의 고초와 좌절이 청년 루터로 하여금 법률가나 신부의 길 대신 순교 위험이 있는 종교개혁가로 이끌었다는 것이다. 세종이야말로 소외 경험을 승화시켜 백성의 목소리를 번개처럼 느끼고 살아간 지도자였다.
※박현모의 실록 속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연재해 주신 필자와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세계 1위 코르다, 올 시즌 LPGA 투어 7승 달성
- [Minute to Read] Hyundai Motor appoints 1st foreign CEO as Trump era looms
- [더 한장] 기후 위기 속 가을 풍경
- 엔비디아 블랙웰 또 문제? '서버 랙 과열 잡지 못해'
- 북한, 김여정 대북전단 비난 후 3주 만에 또 쓰레기 풍선
- “보복 수사 피해라” 트럼프 충성파 美 법무부 장·차관 지명에 비상령
- 300년 부자들의 투자 습관 모아 봤더니, 공통적으로 여기에 돈을 던졌다
- 난리 난 두바이 초콜릿 직접 먹어 보니 이런 맛
- 블루투스 스피커, 휴대폰 무선 충전, 시계, 라디오, 알람, 통화 다 돼
- 가을 입맛 확 돌게 하는 수협 굴비, 한 마리 1400원 특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