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165년만에 블라디보스토크 항구 사용권 되찾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이 165년 만에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항구 사용권을 되찾았다.
중국과 러시아의 관계가 더욱 공고해지는 것은 물론, 물류망 개선을 통한 경제 성장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5일 홍콩명보 등 중국 매체들은 중국 동북 지린성과 헤이룽장성이 다음달 1일부터 블라디보스토크 항구를 중국 국내 항구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165년 만에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항구 사용권을 되찾았다. 중국과 러시아의 관계가 더욱 공고해지는 것은 물론, 물류망 개선을 통한 경제 성장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5일 홍콩명보 등 중국 매체들은 중국 동북 지린성과 헤이룽장성이 다음달 1일부터 블라디보스토크 항구를 중국 국내 항구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이는 중국 해관총서(관세청)가 지난 4일 홈페이지에 게재한 2023년 44호 공고를 인용한 것이다. 해관총서는 “동북 노후 공업 기지의 진흥 전략을 실현하고, 국내 무역 상품의 국경 간 운송 협력을 수행하는 해외 항구의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지린성에서 국내 무역 상품의 국경 간 운송 사업 범위를 더욱 확대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중국 동북 도시들은 물류 이동에 들이던 시간과 비용을 크게 아낄 수 있게 됐다. 이들 도시는 지금까지 육로로 약 1000㎞를 운송한 뒤 랴오닝성의 잉커우나 다롄항 등에서 화물을 옮겨 선박을 이용해 왔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은 비용 절감 외에도 중국 베이징 인근의 산하이관(山海關) 화물 철도의 병목 현상도 완화될 것이라고 전했다.
블라디보스토크는 과거 중국 영토였지만, 1858년 청조와 러시아 차르 왕조 간의 불평등 조약인 아이훈 조약에 따라 러시아에 귀속됐다. 즉 165년 만에 블라디보스토크 항구 사용권을 되찾은 셈이다.
블라디보스토크는 과거 중국의 영토로, 청나라 시절 ‘해변의 작은 어촌’이란 뜻의 ‘해참위(海參崴)’로 불렸다. 그러나 지난 1858년 청조와 러시아 차르 왕조 간의 불평등 조약인 아이훈 조약에 따라 러시아에 할양됐고, 이후 ‘동방 정복’을 뜻하는 블라디보스토크로 이름이 바뀌었다.
중국이 유엔 대북제재로 사용할 수 없게 된 북한 나진항의 대안을 찾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은 북한 나진항까지 이어지는 48㎞ 도로를 건설했지만,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민주의 배신… 삼성전자 미보유자 수익률이 보유자의 3배
- [똑똑한 증여] “돌아가신 아버지 채무 6억”… 3개월 내 ‘이것’ 안 하면 빚더미
- “진짜 겨울은 내년”… 세계 반도체 장비 공룡들, 대중 반도체 제재에 직격타
- 오세훈의 '미리 내 집' 경쟁률 50대 1 넘어… 내년 '청달르엘·잠래아' 등 3500가구 공급
- 특급호텔 멤버십 힘주는데... 한화, 객실 줄인 더플라자 유료 멤버십도 폐지
- 中 5세대 스텔스 전투기 공개… 韓 ‘보라매’와 맞붙는다
- 배터리 열폭주 막을 열쇠, 부부 교수 손에 달렸다
- 사람도 힘든 마라톤 완주, KAIST의 네발로봇 ‘라이보2’가 해냈다
- '첨단 반도체 자립' 갈망하는 中, 12인치 웨이퍼 시설 설립에 6조원 투입
- “교류 원한다면 수영복 준비”… 미국서 열풍인 사우나 네트워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