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관계 무능? 나는 ‘혼자 있을 능력’이 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스무 살이 됐을 때 공유하는 소속감이 약해지고 물리적 거리도 생기다 보니 10대 시절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헤어지게 됐다.
여러 사람을 많이 만나고 다니면 '대인관계 능력'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사람을 많이 만난다고 해서 '대인관계 능력'이 꼭 일치하는 것도 아니다.
매일 누굴 만나야 하고, 친구가 있어야 하는 사람은 반대로 '혼자 있을 능력'이 없는 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왜냐면] 이시안 | 사진작가·독일 베를린 거주
스무 살이 됐을 때 공유하는 소속감이 약해지고 물리적 거리도 생기다 보니 10대 시절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헤어지게 됐다. 모든 사람은 자기 머릿속에 편안하게 간직할 수 있는 사람의 수가 있다. 10대 시절에는 멋도 모르고 몰려다니는 게 좋은 줄 알았지만, 20대가 되니 내가 관심 있고 즐거운 일이 상대에게는 아닐 수 있었다. 그러다 보니 혼자 전시, 영화를 보러 다니는 일상이 자연스러워졌다. 그러나 때로는 내가 좋게 느꼈던 것들을 누군가와 나누고 싶었고, 함께 공감해주는 사람이 더러는 필요했다. 그래서 방황했고, 몇 번의 연애가 시작됐고, 지금 옆에 있는 단짝을 만났다.
여러 사람을 많이 만나고 다니면 ‘대인관계 능력’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사람을 많이 만난다고 해서 ‘대인관계 능력’이 꼭 일치하는 것도 아니다. 혼자 있는 사람을 보면 ‘사람을 잘 못 사귄다’고 한다. 하지만 프레임(틀)을 반대로 생각해보자. 혼자 있는 사람은 ‘혼자 있을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거다. 매일 누굴 만나야 하고, 친구가 있어야 하는 사람은 반대로 ‘혼자 있을 능력’이 없는 거다.
나는 독립적 인간이라 누군가의 의견을 묻거나 도움에 의존하지 않는 성격이다. 내가 좋아하는 거면 꽂혀서 앞뒤 안 재고 그냥 한다. 그렇게 내가 즐거워하는 공부하며 작업하며 지금껏 살았다. 그런데 세상 밖으로 나오려니 내 독립심이 외려 방해가 된다. 세상 밖으로 나오는 일은 동료가 필요한 일이다. 나와 타인의 한계를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시간이다. 도그마(규범 혹은 독단)에 빠지지 않고 균형감을 가지려 노력하는 건 마치 수행자의 삶과 같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김장독 3개도 기억하는 내가 고아라니…한국인 윌리엄의 편지
- 자식 쇠고기 먹이고 분신…한 달마다 실직하는 현실 끊도록
- 김남국, 피해자 코스프레…‘맹탕 결의문’ 민주당 부글
- 폭설 속 한국인에 “참기름·간장” 내준 미국 부부 서울행
- 간호협회 첫 집단행동 예고…의료 현장 지키는 ‘준법투쟁’ 유력
- 고 이예람 중사 특검팀, 전익수 전 공군 법무실장에 2년 구형
- 카카오페이 두 시간 넘게 먹통…“폰만 들고 점심식사 갔더니”
- 서울시의회 ‘기초학력 지원 조례’ 의장 직권 공포…교육청은 대법원 제소
- ‘출근길에도 반바지 입지 마’…사회복무요원 경위서 쓰게 한 법원
- 내일은 32도, 벌써 여름 같아…‘이른 더위’ 모레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