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 아파트 실거래가지수 2년8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작년 하락세를 이어오던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가 3개월 연속 상승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3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전월 대비 1.61% 상승했다.
특히 서울 실거래가지수 상승세는 강남4구가 있는 동남권이 두드러진다.
수도권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도 3월 1.67% 올라 2월(1.64%)에 이어 2개월 연속 상승흐름을 이어갔고, 전국 수치 역시 1.16% 상승해 2개월 연속 상승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3월 서울 실거래가지수 1.61% 상승…3개월째↑
1·3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값 회복 양상
[서울=뉴시스] 강세훈 기자 = 작년 하락세를 이어오던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가 3개월 연속 상승했다. 고가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강남3구 지역의 실거래가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1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3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전월 대비 1.61% 상승했다. 올해 1월 1.10% 상승, 2월 1.95% 상승한 데 이어 3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간 것이다.
지난해에는 5월부터 12월까지 8개월 연속 하락했다. 정부가 올해 들어 서울 대부분 지역 규제지역 해제 등 규제완화에 나선 이후 반등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다만 3월 상승폭은 2월 보다는 소폭 줄어들었다. 아직 최종 수치가 집계되지 않은 4월 잠점치 역시 1.22% 올라 오름세는 유지하되 상승폭은 3월에 비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부동산 경착륙을 막기 위해 지난 1월 발표한 1·3 대책 이후 서울 주요 인기 단지를 중심으로 올 초 대비 오른 거래가 속속 등장하면서 최근 실거래가지수 상승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서울 실거래가지수 상승세는 강남4구가 있는 동남권이 두드러진다. 3월 동남권 실거래가지수는 3.22% 상승했다. 이는 2020년 7월(4.49%) 이후 2년8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다.
또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이 포함된 동북권도 1.16% 올랐고, 양천·강서·구로·금천구 등이 포함된 서남권(1.13%), 서대문·마포·은평구 등이 포함된 서북권(0.92%) 등도 올랐다.
도심권만 0.54% 하락하며 4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은 1·3부동산 대책 등 규제완화 영향으로 도심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권역에서 상승거래가 발생하며 실거래가지수가 올랐다"고 밝혔다.
수도권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도 3월 1.67% 올라 2월(1.64%)에 이어 2개월 연속 상승흐름을 이어갔고, 전국 수치 역시 1.16% 상승해 2개월 연속 상승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 접근성이 양호한 성남 수정구,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개발 호재의 용인 처인구를 중심으로 매매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졌다고 부동산원 측은 설명했다.
6대 광역시도 모두 상승했다. 부산은 0.86% 올라 지난 2월(1.27%)에 이어 2개월 연속 상승했고, 인천(1.90%), 대전(1.29%), 대구(0.91%), 울산(0.74%), 광주(0.63%) 등도 일제히 올랐다.
부동산원 실거래가지수는 실제 신고된 거래 사례만 집계하기 때문에 비교적 정확한 통계로 평가받는다. 이 지수는 지방자치단체에 신고된 모든 아파트 실거래가를 계약일 기준으로 집계해 추출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kangse@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