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 11번, 2분도 안걸려 뚝딱 … 밈코인 투자주의보
클릭 11번, 걸린 시간은 1분43초.
'HamsterGD(햄스터GD)'라는 이름의 밈코인을 만드는 데 걸린 시간이다. 코인 이름에 특별한 의미는 없다. 기자가 햄스터를 키우기 때문이다. 기자의 이름 이니셜인 GD를 뒤에 붙였을 뿐이다. 코인에 대한 문의 사항을 위한 홈페이지는 햄스터 사진을 올리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 주소를 적었다. 해당 코인에 투자하는 사람이 문의 주소를 누르면 귀여운 햄스터 사진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이더리움 네트워크 이용료 18만원을 지불하면 된다. 기자는 이 단계에서 멈췄다. 최근 밈코인이 유행이라 네트워크 이용료가 폭등했기 때문이다. 만약 발행했다면 탈중앙화 거래소에서 진짜로 거래할 수 있다. 최근 하루에 수십 배씩 폭등하는 밈코인 대열에 합류하는 방법이다.
이달 들어 코인 시장에서는 '밈코인'이 인기다. 지난달 중순 등장한 '페페코인'은 나온 지 한 달도 안 된 지난 6일 초기 가격 대비 2000%까지 급등했다.
밈코인은 특별한 목적성 없이 그냥 유행처럼 사고팔리는 코인을 뜻한다. 그렇기에 이름도 밈(meme)코인이다. 가장 대표적인 밈코인은 '도지코인'이다. 도지코인은 2013년 12월 어도비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하던 잭슨 파머와 빌리 마커스가 만들었다. 농담 삼아 결제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하면서 당시 가상화폐 열풍을 풍자하기 위함이었다.
문제는 밈코인이 대부분 가치에 대한 근거가 없다는 점이다. 물론 가상자산 자체가 가치에 대한 근거가 명확하지 않지만, 밈코인은 기술력이나 앞으로의 계획, 명확한 개발 주체나 투자와 관련해 문의할 수조차 없다.
페페코인도 마찬가지다. 페페코인은 맷 퓨리 작가의 만화 '보이스클럽'에 등장한 개구리 캐릭터 페페(Pepe the frog)를 활용했다. 인터넷에선 이미 오래전부터 유행한 캐릭터다. 페페코인 백서에 따르면 페페코인은 공식적인 팀도, 로드맵도 없다. 아무런 쓸모없이 오락 목적으로 사용될 뿐이다. 그런 페페코인의 시가총액은 현재 9183억원에 달한다.
페페코인이 인기를 끌면서 다른 밈코인들도 급속도로 생겨났다. 여성 캐릭터인 밀라디를 기반으로 발행된 밈코인 레이디스(LADYS)는 14일 하루 동안 64% 급등했다. 테슬라의 창업자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SNS에 밀라디 대체불가토큰(NFT)을 올렸기 때문이다. 이 코인 또한 목적이나 기능성이 불분명하다.
밈코인은 단순히 유행에 따라 가격이 오르내리다 보니 가격 변동성이 매우 높다. 페페코인은 가격이 급등한 지 10일 만에 56% 하락했다. 페페코인을 다수 갖고 있는 큰손이 코인을 팔면 가격 급락이 이어지는 식이다. 다른 밈코인들도 마찬가지다. 뚜렷한 목적성이 없다는 밈코인의 특성상 앞으로 호재가 나올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큰손이 사들이면 가격이 오르고 팔면 떨어진다.
사기 코인이 될 가능성도 높다. 밈코인은 2021년에도 도지코인을 필두로 인기를 끌었다. 당시 일본 시바견을 마스코트로 내세운 도지코인을 패러디해 한국의 진돗개를 마스코트로 만든 진도지(JINDOGE)코인이 출시됐다. 하지만 진도지코인은 발행 이틀 만에 개발자가 전체 물량의 15%에 해당하는 코인을 한 번에 매도했다. 이후 홈페이지와 트위터를 폐쇄했고, 이 과정에서 진도지코인 가격은 97% 급락했다. 당시 인절미코인, 깍두기코인 등도 유행을 타고 등장했지만 2021년 이후 공식 트위터 등의 작성이 멈췄다.
밈코인을 공격적으로 상장하고 있는 거래소들이 한국인 대상 불법영업을 적극 확대하고 있는 곳이라는 점도 문제다. 현재 대부분 밈코인은 상장이 쉬운 탈중앙화 거래소를 통해 거래된다. 하지만 기존 코인거래소 중에서도 MEXC(멕스씨)처럼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해외 거래소들은 공격적인 영업을 위해 마구잡이로 밈코인을 상장하고 있다.
이런 소규모 해외 거래소는 대부분 국내 영업이 불법이다. 금융당국에 가상자산사업자(VASP) 신고도 안 됐기 때문이다. 이들은 신고도 하지 않은 채 국내 투자자를 상대로 영업을 하고 한국어 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다. 투자자 피해가 발생해도 금융당국이 투자자 보호 조치를 거래소에 요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업계에 따르면 이들 해외 거래소는 당국의 경고에도 변호사와 상의하겠다는 식의 답변만 내놓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최근도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정유라, 9원씩 수십번 입금에 분노 “이젠 무섭다, 고소 검토” - 매일경제
- 7억~8억이면 과천에 새집...당첨땐 ‘수억 로또’ 자격 따져보니 - 매일경제
- “러시아, 중국 속국이 되고 있다”…프랑스 대통령 ‘돌발발언’, 왜 - 매일경제
- 가맹점도 손절한 임창정...간판에서 ‘임창정’ 뗐다 - 매일경제
- 유서 남기고 사망한 30대 트로트 가수는 ‘해수’였다 - 매일경제
- 240% ‘살인적 이자’라도...빚내서 빚갚는 사람들 늘었다는데 - 매일경제
- [속보] 튀르키예 선관위 “에르도안 49.4%, 클르츠다로을루 44.96%” - 매일경제
- 너무 야했나...화사, 대학축제 퍼포먼스 선정성 논란 - 매일경제
- MB “4대강 보 해체는 정치적…국민이 지켜줄 것” 文 우회 비판 - 매일경제
- “두산은 원래 이런 팀” 14년 전 앳됐던 잠실 아이돌이 이제 ‘허슬두 DNA’ 이식 집도의 - MK스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