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과 인간은 공진화할까” 문학·AI 전문가 한자리 모인다

김유태 기자(ink@mk.co.kr) 2023. 5. 15. 16: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I와 문학번역의 미래’ 심포지엄 26일 개최
왼쪽부터 박소연 한국문학번역원 번역교육본부장, 한승희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특임교수, 곽효환 한국문학번역원장, 정과리 문학평론가(연세대 교수), 김선희 서울대 불어교육과 교수, 곽현주 한국문학번역원 번역출판교류본부장. [사진=한국문학번역원]
1978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인지과학자 허버트 A. 사이먼은 1995년 한국 문예지 ‘문학과 사회’에 번역 수록된 논문 ‘20세기를 넘어서, 내일을 위한 기층 언어들1 - 문학비평: 인지과학적 접근’에 이렇게 썼다. “문학비평 이론은 자연 언어에서 의미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생성하는 방식과 텍스트를 숙독하여 의미를 환기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 이렇게 본다면 비평은 인지과학의 단지 한 갈래라고 볼 수 있다.”

복잡해 보이지만 위 문장을 포함한 40쪽짜리 해당 논문 요지는 근미래에는 인공지능(AI)이 문학비평까지 대신하리란 충격적 예언이었고, 이는 당시 문학장에서도 상당한 논란이 됐다. 인지과학은 인공지능과 인지심리학, 언어학을 중심으로 여러 학문을 원용한 혼성 학문이다. 문학비평이 텍스트와 의미 환기란 점에서 미래에는 AI가 문학장을 대체하리란 예측은 당시로선 극단적이지만 허버트 사이먼 교수는 고도의 지적 행위인 문학비평까지 기계가 대신하리라고 봤다.

30여년 시간이 흘러, 이제 인간의 의미활동을 기계가 대신하려는 시도는 현실이 됐고, 챗GPT 등장은 기존과 다른 미래로의 진입이 확정적임을 선언하는 신호탄이 됐다. 챗GPT가 촉발한 논란이 드디어 한국문학장에서 본격 논의된다. 한국문학번역원(원장 곽효환)은 오는 2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심포지엄을 열고 문학 및 문화콘텐츠 번역에서의 AI 활용현황과 번역교육, 번역철학, 번역윤리에 대한 집단토론을 펼치겠다고 15일 밝혔다. AI와 문학의 관계를 정면으로 다루는 대규모 심포지엄은 처음이다.

한국문학번역원 심포지엄 포스터
인간과 다름이 없다는 점에서
AI를 인간과 동격으로 보게 해
심포지엄 기획위원장을 맡은 정과리 문학평론가(연세대 교수)는 15일 서울 광화문에서 기자들과 만나 “AI의 비약적 진화는 딥러닝에 힘입었는데, 이는 인간의 지식 습득 방법인 ‘자발적 시행착오’를 지식 생산 방식으로 차용한 것이기 때문이다. AI의 존재가 아니라 그의 활동이 인간과 다름없다는 점이 AI를 인간과 동격에 서게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 평론가는 “인간은 모든 행동에 자율권을 보장받되 계약을 통해서 그걸 획득해야 하며 사후에 책임이 뒤따른다. 반면 AI는 인간의 명령을 받아서 일을 하며, 자율권이 주어지지도 책임이 요구되지도 않는다”며 “AI쪽의 자율권과 책임은 AI의 제작사에 귀속될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AI의 사용이 유상인가 무상인가에 관계없이 공공 이용시설로서 배포될 경우 사용의 권리와 책임의 영역에서 제작사가 숨어버린다”고 덧붙였다.

정 평론가는 “AI는 진화할 것이고 결국 인간과 문학의 세계로 ‘침공’하게 될 것이다. 유용성 덕분에 인간은 AI를 물리치지 않을 텐데 결국 문제는 함께 공진화(coevolution)하는 방법 뿐이다. 따라서 지금은 모든 사람들이 귀를 열고 허심탄회하게 토론할 때”라고 강조했다.

번역철학과 번역윤리 등 토론
“모두가 귀를 열고 토론할 때”
AI산업, 문화예술, 통번역, 법률 분야 전문가 17인이 발제자 및 토론자로 나서는 이번 심포지엄에는 신중휘 네이버 파파고 이사가 ‘AI번역의 역사와 현황’을, 마승혜 동국대 교수가 ‘AI번역의 활용 및 수용 가능성’을, 남형두 연세대 로스쿨 교수가 ‘AI번역 관련 법제 및 윤리 문제’를, 이창수 한국외대 교수가 ‘AI와 번역교육’을 주제로 대표 발제한다.

네이버 파파고 개발에 중추적 역할을 맡은 김선희 서울대 불어교육과 교수, 현장에서의 기계번역 활용방안을 연구한 한승희 한국외대 교수, 인간과 기계의 공존을 연구해온 전치형 카이스트 교수, 임준호 튜터러스랩스 CTO, 이정수 플리토 대표 등도 참여한다.

곽효환 한국문학번역원장은 “번역원 역시 AI와 인간의 공진화는 피할 수 없는 흐름으로 인식하고 있다. 문학번역 분야의 정책 수립에 반영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