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지진] ③ 지진해일 대피소 가보니…"안내판 부족하고 미흡"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5일 강원 동해시 북동쪽 해역에서 규모 4.5 지진이 발생하자 많은 사람이 지진해일을 걱정했으나 다행히 지진해일은 없어 안도했다.
동해(바다)와 접해 지진해일의 위험에 노출된 동해안 시군 바닷가에는 지진해일 시 주민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장소와 거리 등을 알리는 대형 안내판을 바닷가 곳곳에 설치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했다.
이처럼 지진해일 위험을 고려하지 않고 대피로가 지정됐거나 안내판 설치 간격이 너무 멀어 주민이나 관광객이 관련 정보를 얻거나 활용하기 쉽지 않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시 피난 시 피난로 몰라 대형 피해 우려…표지판 활용도 높여야"
(강릉=연합뉴스) 유형재 박영서 기자 = "지진해일이 나면 어디로 가야지?"
15일 강원 동해시 북동쪽 해역에서 규모 4.5 지진이 발생하자 많은 사람이 지진해일을 걱정했으나 다행히 지진해일은 없어 안도했다.
동해(바다)와 접해 지진해일의 위험에 노출된 동해안 시군 바닷가에는 지진해일 시 주민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장소와 거리 등을 알리는 대형 안내판을 바닷가 곳곳에 설치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설치된 지 오래돼 최근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등 곳곳에서 미흡한 점이 엿보였다.
318km가 넘는 강원 해안가에 설치된 지진해일 대피 안내판은 현재 2012년의 101개보다 늘었으나 여전히 148개로 턱없이 부족하다.
긴급 대피장소까지 안내하는 작은 크기 대피로 표지판도 2천419개에 불과하다.
일본 서쪽 지방에서 규모 8.0의 지진이 발생하면 강릉에는 1시간가량이면 1m 높이의 해일이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는 데다 최근 동해안 육지와 가까운 동해에서 지속해 지진이 발생, 주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지진해일이 발생하면 무엇보다 신속한 대피가 필요하지만 이날 바닷가를 돌아본 결과 실태는 그렇지 못했다.
유명 드라마의 촬영지로 관광객이 많이 찾는 주문진 방사제 인근에는 인명구조함은 설치됐으나 지진해일 대피 안내판은 설치돼 있지 않다.
이곳 도로변 전봇대 등에 설치된 작은 대피로 안내판은 이곳에서 지정된 대피소까지 주문진 성당이나 영진 군부대까지 2㎞ 넘게 멀리까지 가야 한다.
근처에는 아파트를 비롯해 대형건물이 들어서 대피 장소로 활용할 건물이 많이 들어섰으나 최근 현황이 업데이트되지 못하고 있다.
또 대피소로 지정된 군부대는 이전한 가운데 문이 굳게 닫혀 있어 활용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요즘 캠핑족이 많이 찾아 평일에도 20여대가 넘는 캠핑카가 머무는 사천해변에도 물놀이 위험 안내판만 있을 뿐 지진해일 대피 안내판은 찾아볼 수 없었다.
캠핑카가 들어선 곳은 백사장과 바로 접한 곳이다.
사근진해변은 경포산장을 대피장소로 안내하고 있으나 이곳은 문을 닫은 지 오래됐고 도로변에는 철제 가림막까지 설치돼 활용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관광객과 피서객이 많이 찾는 경포해변의 중앙통로에서는 1㎞ 이상 떨어진 씨마크호텔이나 현대아파트 뒷산을 대피장소로 이용하게 돼 있으나 바로 옆에는 고층의 호텔이 들어선 지 5년도 넘었다.
이곳을 활용하면 더 빠르게 높은 곳으로 대피할 수 있는데 더 멀리까지 가도록 안내하고 있다.
커피거리와 강릉항이 있는 안목해변에는 인파가 많이 몰리는 중앙이 아닌 백사장 끝부분에 안내판이 설치돼 효과가 의문시된다.
이처럼 지진해일 위험을 고려하지 않고 대피로가 지정됐거나 안내판 설치 간격이 너무 멀어 주민이나 관광객이 관련 정보를 얻거나 활용하기 쉽지 않다.
안목해변에서 만난 한 주민은 "지역 주민이야 어디로 가면 될지 알 수 있으나 지역 사정에 어두운 관광객들은 안내판에 의존할 가능성이 높은데 눈에 좀 더 잘 띄는 곳에 설치돼 있으면 활용도가 더 높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일시에 피난할 경우 교통체증에 걸려 발이 묶이거나, 외지인들의 경우 피난로 자체를 몰라서 우왕좌왕하면서 피해가 커질 수 있는 만큼 일사불란하게 대피할 수 있는 요령 숙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경남 강원연구원 연구위원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때 해안에서 내륙으로 미처 대피하지 못해 피해를 본 사례가 있다"며 "위험성을 재빨리 인지하고 움직일 수 있는 능력과 용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기영(춘천3) 강원도의원은 "동해안 지진해일 대피지구 현황을 보면 대부분 해안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대피시설물이 존재하지만, 비상 상황 시 재해 약자와 재난 취약계층에 대한 이송대책이 없는 실정"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yoo21@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타이슨 복귀전 6천만가구 시청"…시청자들 "버퍼링만 봤다" | 연합뉴스
- 모르는 20대 여성 따라가 "성매매하자"…60대 실형 | 연합뉴스
- "창문 다 깨!" 31년차 베테랑 구조팀장 판단이 52명 생명 구했다 | 연합뉴스
- 中대학생 '교내 묻지마 칼부림'에 25명 사상…"실습공장서 착취" | 연합뉴스
- 평창휴게소 주차 차량서 화재…해·공군 부사관 일가족이 진화 | 연합뉴스
- 경찰, '동덕여대 건물 침입' 20대 남성 2명 입건 | 연합뉴스
- 패혈증 환자에 장염약 줬다가 사망…의사 대법서 무죄 | 연합뉴스
- KAIST의 4족 보행로봇 '라이보' 세계 최초 마라톤 풀코스 완주 | 연합뉴스
- [샷!] "채식주의자 읽으며 버텨"…'19일 감금' 수능시험지 포장알바 | 연합뉴스
- 영국서 女수감자 '전자장치 착용' 조기 석방 검토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