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화 후 머리는 더 좋아졌다?… 고대보다 더 뇌 용적 커진 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개가 가축화를 거치면서 야생에서 사는 늑대보다 주변 환경에서 대해 신경을 덜 쓰게 돼 뇌 용적이 작아졌지만 이후 품종 개량을 거듭하며 뇌 용적이 다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은 가축화를 통해 인간과 함께 살며 보호를 받게 되면서 야생에서 서식할 때보다 포식자 등 주변 환경에 대해 신경을 덜 쓰게 돼 두뇌 용량이 최대 20%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제시돼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개가 가축화를 거치면서 야생에서 사는 늑대보다 주변 환경에서 대해 신경을 덜 쓰게 돼 뇌 용적이 작아졌지만 이후 품종 개량을 거듭하며 뇌 용적이 다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화와 더 복잡해진 사회적 환경, 더 많은 규칙과 기대에 대한 적응 등의 영향을 받은 탓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15일 헝가리 ‘외트뵈시 로란드 대학교’(ELTE)에 따르면 이 대학 생물학 선임연구원 티보르 최르괴 박사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개와 늑대의 뇌 용적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진화’(Evolution)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총 159종에 달하는 개 865마리와 늑대 48마리의 뇌 용적을 산출한 결과, 늑대의 뇌 용적은 몸무게 평균 31㎏ 기준 131㎤였다. 반면 비슷한 몸무게를 가진 개의 뇌 용적은 약 100㎤로 4분의 3에 그쳤다. 이는 가축화가 개의 뇌 용적을 줄여놓았다는 가설을 확인해주는 것이다. 동물은 가축화를 통해 인간과 함께 살며 보호를 받게 되면서 야생에서 서식할 때보다 포식자 등 주변 환경에 대해 신경을 덜 쓰게 돼 두뇌 용량이 최대 20%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제시돼 있다.
하지만 개가 품종 개량이 이어지며 늑대와 유전적으로 멀어질수록 몸집 크기를 고려한 상대적 뇌 용적은 오히려 더 커졌다. 연구팀은 "더 복잡해진 사회 환경과 도시화, 더 많은 규칙과 기대에 대한 적응 등이 이런 변화를 가져와 모든 현대 종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황혜진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 IT거물 피살 사건의 반전…“용의자 여친 뺏고 여동생도 건드려”
- ‘뽀빠이’ 이상용, ‘심장병 후원금’ 횡령 ‘무혐의’이었지만…
- ‘김남국 논란’에도 민주 지지율↑…충청권·20대·여성 견인[리얼미터]
- 홍준표 “윤 대통령에게 임기 말까지 ‘발톱’ 세울 일 없을 것…어쭙잖은 후배들 대들면 용납
- ‘뭉칫돈’ 은행으로…잔액 10억 넘는 고액 예금 800조 육박 ‘사상 최대’, 한은 금리 인상 영향
- 조현영, 성추행 피해 고백…“교복 치마를 허리까지 올려”
- 바흐무트 재차 격화…우크라 “진지 10여곳 장악”vs러 “모든 공격 물리쳐”
- 이상민 “재창당 각오? 기대도 안했지만 역시 공허...이재명 대표 조치 선결돼야”
- 정유라 통장에 수십번 ‘9원 입금’…“이젠 무섭다, 고소 검토”
- 안 통한 ‘문재인입니다’, ‘노무현입니다’ 8분의1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