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가장 그리운 건 OO”…‘바닷속 캡슐’서 74일 생활한 남성 세계기록

송현서 2023. 5. 15. 14: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해군 출신 잠수사가 70여 일 동안 수중 생활을 버텨내 세계 기록을 세웠다.

AP통신 등 외신의 14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미국 잠수 전문가인 조셉 디투리는 플로리다주 해양 공원의 9m 깊이에 잠긴 캡슐에서 무려 74일을 보내는 데 성공했다.

디투리가 70여일을 머문 '캡슐 원륨'은 2.7평 정도의 좁은 공간으로, 바닷속을 내다볼 수 있는 작은 창문과 침대, 화장실, 책상 등을 갖추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14일(미국 현지시간) 미국 잠수 전문가인 조셉 디투리(사진)는 플로리다주 해양 공원의 9m 깊이에 잠긴 캡슐에서 무려 74일을 보내는 데 성공했다

미국 해군 출신 잠수사가 70여 일 동안 수중 생활을 버텨내 세계 기록을 세웠다. 

AP통신 등 외신의 14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미국 잠수 전문가인 조셉 디투리는 플로리다주 해양 공원의 9m 깊이에 잠긴 캡슐에서 무려 74일을 보내는 데 성공했다. 이는 2014년 같은 장소에서 다른 도전자 2명이 세운 73일 2시간 34분을 넘어선 최장 기록이다. 

해당 기록은 군인이 아닌 민간인이 수압 조절 장치 없이 버틴 시간을 기준으로 삼는다. 

14일(미국 현지시간) 미국 잠수 전문가인 조셉 디투리는 플로리다주 해양 공원의 9m 깊이에 잠긴 캡슐에서 무려 74일을 보내는 데 성공했다. 사진은 디투리가 70여일 간 고립된 채 보낸 바닷속 캡슐 내부. 동영상 캡처

디투리가 70여일을 머문 ‘캡슐 원륨’은 2.7평 정도의 좁은 공간으로, 바닷속을 내다볼 수 있는 작은 창문과 침대, 화장실, 책상 등을 갖추고 있다. 

그는 화성 탐사를 준비하는 우주비행사 등에게 필요한 생체 정보를 직접 찾기 위해 스스로 바닷속 캡슐에서 고립된 생활을 시작했다. 특히 인체가 극심한 압력에 장시간 노출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변화를 집중적으로 관찰하고 있다. 

디투리의 건강 및 생의학적 변화를 살피기 위해 의료팀이 정기적으로 그의 캡슐을 방문해 왔다. 혈액, 초음파, 심전도, 줄기세포 검사를 포함해 심리학 검사까지 진행하며 장기간 고립되고 제한된 환경에서 생활할 때 오는 정신적 영향도 기록 중이다. 

디투리는 “매일 아침 5시에 일어나 팔굽혀펴기 등의 운동을 한다. 이후 캡슐 안에서 달걀 연어 등을 조리해 먹는다. 조리를 할 때에는 전자레인지를 사용한다”고 말했다. 

이어 “발견에 대한 호기심이 이곳으로 나를 이끌었다”면서 “나의 목표는 다음 세대에 영향을 주고, 해저 생활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을 인터뷰하고, 극한 환경에서 인체가 어떻게 기능하는지 배우는 것이었다”고 덧붙였다. 

14일(미국 현지시간) 미국 잠수 전문가인 조셉 디투리(사진)는 플로리다주 해양 공원의 9m 깊이에 잠긴 캡슐에서 무려 74일을 보내는 데 성공했다 AP 연합뉴스

플로리다대학교 부교수로도 활동하는 그는 바닷속에서 생활하면서도 온라인 수업으로 2500명이 넘는 학생들에게 생의학 인터넷 강의를 해 왔다. 꾸준히 언론과도 인터뷰를 하는 등 외부 활동으로 고립감을 이겨내기도 했다. 

그는 “70여 일을 바닷속에서 보내면서 가장 그리운 것은 ‘태양’이었다”면서 “태양은 내 인생에서 매우 중요하다. (지상에서는) 보통 새벽 5시에 운동을 한 뒤 돌아와 일출을 바라보곤 했다”고 말했다. 

디투리가 바닷속 ‘캡슐 원룸’에 스스로 들어간 날짜는 지난 3월 1일이다. 현재까지 70여 일이 흘렀지만, 디투리는 약 한 달을 더 캡슐 속에서 버텨내 100일간 수중 생활을 하는 도전을 이어갈 예정이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