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이상 지진 감지땐 사이렌...6.5 강진시 원전 즉각 셧다운 [한반도가 흔들린다]

2023. 5. 15. 11:2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상청·원안위 고리원전 현장점검
국가 관측망에 원전 관측소 통합
빠른 관측·정확도 위한 검증협력
2027년까지 인근 탐지 2초 단축
유희동(오른쪽) 기상청장과 유국희(가운데)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12일 부산 기장군 고리 원자력발전소를 방문해 지진 대비 원전 안전 대책 구축 마련을 위한 합동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기상청·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한반도가 흔들린다. 국내에서 대형 지진 발생 빈도가 가장 적었던 동해안 일대에서 올해 들어 연속 지진이 감지되고 있다. 15일 오전 6시 27분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 해역에는 진앙 인근 50㎞ 내외 기준 1978년 지진 관측망 구축 이래 역대 최대인 4.5 규모 지진이 발생해했다. 대한민국은 지진에 어떻게 대비하고 있을까.

지난 12일 기자가 방문한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발전소는 최근 지진으로 인한 긴장감이 맴돌았다. 즉각적인 지진 관측을 위한 장비부터 지진해일(쓰나미)을 막을 차수벽, 비상 전력 장치 등 지진 대비 시설 구석구석에 예측할 수 없는 자연 재해에 대한 경각심이 묻어있었다. 이날 고리원자력발전소를 찾은 기상청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원전 지진 관측망 합동 현장점검’을 펼치고 원전 안전을 위한 기상 분야 협력 방안을 발표했다.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등도 참석했다.

▶기상청-원안위 원전 안전 맞손=“삐~ 삐~ 삐~” 부산 고리원자력발전소 반경 100㎞ 이내 규모 3.0 이상 지진이 발생하거나 원전 내에 규모 4.0에 가까운 지진이 감지되면 원전 주제어실에는 주황색 경고등과 함께 3초간 사이렌이 울려퍼진다. 발전소 내 주요 설비를 점검하라는 의미다. 원전에 규모 4.0 이상(지반가속도 0.01g 이상) 지진이 발생할 경우에는 빨간색 경고등이 켜진다. 원전 수동 정지를 위한 의사 결정을 해야 한다. 규모 6.5 이상 강진(지반가속도 0.18g 이상)이라면 고민할 시간이 없다. 원전은 곧바로 ‘셧다운’이다. 원전 곳곳에는 재해 발생 시 방사능 유출 위험을 알리는 신호등도 있다. 원전 내부 유출 시 파란색, 외부 유출 시 빨간색 신호등이 깜빡인다.

양사는 지난 2019년 ‘지진·기상 및 원자력 안전 분야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지난해 12월 유희동 기상청장과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장이 경상북도 월성원자력본부에서 회동한 후 협력은 급물살을 탔다. 지난 4월 원전 밀집지를 중심으로 국가 지진 관측망을 대폭 확보, 한발 빠른 지진 감지와 대책 마련을 위해 협력 방안을 발표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에 사고가 발생한 이후 전 세계적으로 지진과 원전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다. 지난 2월 튀르키예 남동부 가지안테프 일대에서는 규모 7.8의 초강력 지진이 발생했다. 사망자 5만명, 부상자 10만명이라는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남겼다. 아라비아 판과 아나톨리아 판이 움직이며 쌓인 저항력이 폭발한데다 해당 지점의 동 아나톨리아 단층까지 영향력을 발휘해 피해가 더 컸다.

환태평양 지진대로부터 600㎞ 이상 떨어져 비교적 지진에 대한 문제의식이 적었던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2016년 경상북도 경주에서 규모 5.8의 지진, 2017년 경상북도 포항 5.4 규모 지진이 발생한 후 한국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됐다. 기상청 지진 관측 현황에 따르면 1993년부터 15일 오전 9시까지 국내에서는 규모 2.0 이상 지진이 총 1911회 발생했다. 국내에서는 연평균 규모 2.0 이상 70회, 규모 3.0 이상 10회 지진이 발생한다. 1978년 국가적 지진 감시 시스템이 구축된 이후 규모 5.0 이상 지진은 총 10회 발생했다. 특히 지난 4월부터 강원도 동해안에서 지진이 급증하고 있다. 이날 지진이 발생한 강원도 동해시 해역·지역에서만 올해 들어 (규모 2.0 미만 미소 지진 포함) 55회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과 원안위는 정확하고 빠른 지진 관측망 구축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위험에 기민하게 대처하면서도 불필요한 원전 가동 중단을 막아 효율성을 확보하자는 취지다. 원안위가 자체적으로 운영 중인 지진 관측망 220개소를 기상청의 국가 지진 관측망에 통합, 정확도와 경보 발송 속도를 높이는 것이 목표다. 현재 원전과 도심지 등 집중감시구역의 지진 탐지 시간은 3.4초인데 이를 2027년까지 1.4초로 2초 단축할 계획이다. 지난 2020년 6월 설립된 국가지진계검정센터가 기존에 구축된 국가 주요 기관 관측소를 찾아 관측 정보 적합 여부를 검증할 예정이다. 기존 원안위가 활용 중인 관측망과 별도로 원전 인근 지진 관측 정보를 전달해 보다 철저한 지진 대비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지진부터 기후위기까지 협력할 것”=이날 기상청과 원안위는 기존 고리 원자력발전소에 구축된 지진 관측망 및 안전 대책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설명했다. 현재 고리원자력발전소 내에는 발전소와 주요 건물 및 자유장 등 6개소에 지진감시 계측기가 설치됐다. 계측기에서 지진 발생을 감지한 후 경보가 울리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4초가량이다.

주제어실에는 경고등 외에도 지진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도 있다. 고리 2호기 주제어실 오른편 통로로 들어가자 공간을 꽉 채운 캐비닛이 돋보인다. 가운데 캐비닛 안에는 고리 2호기는 물론 다른 원전 지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컴퓨터가 들어있다.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은 발생한 지진이 자연 지진인지, 시설 작업에 의한 인공 지진인지 구별한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에는 지진해일에 대한 대비책도 마련됐다. 우선 바다와 가장 가까운 원전 입구에 높이 5m, 두께 1m, 무게 27t의 거대한 차수벽이 마련됐다. 원전 부지 높이 5m를 더하면 해수면 기준 10m 높이의 장벽이 설치돼있는 셈이다. 지진해일이 원전을 덮치는 것을 막아줄 보루다. 기후 위기로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점검도 마쳤다. 원안위 관계자는 “현재 10m 높이 지진해일까지 견딜 수 있게 설계됐다”며 “기후 변화 고려 시 해수면이 60㎝ 상승해도 원전에는 영향을 미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국립해양조사원에 따르면 온실가스 저감 없이 현재 수준의 탄소 배출이 유지되면 한반도 해수면은 2050년까지 25㎝, 2100년까지 82㎝까지 상승할 것으로 분석됐다.

고리 원전에는 비상 상황 발생 시 원전에 전원을 공급할 비상디젤발전기(EDG)도 2대 있다. 1대 당 외부 주유 없이 7일 운전 가능하다. 자연재해 등으로 원전 내부에 전기가 공급되지 못하는 상황을 대비했다. 침수를 막기 위해 EDG 주변에도 두꺼운 차수벽이 설치됐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원전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 시설”이라며 “기상청은 일반적 지진 경보 뿐 아니라 국가 주요 시설에 대한 조기 경보, 현장 경보 체계를 갖추고 계속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장은 “지진, 기후 변화 등 원자력 안전과 기상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며 “기상청과 각종 지진 관련 설비를 공동으로 활용하고 긴밀한 소통 체계를 만들어 대비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부산=박지영 기자

park.jiyeong@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