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몸 아프면 큰일”…너무 열악한 농촌 의료 여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농촌주민들은 몸이 아플 때도 요일을 봐가면서 아파야 할 것 같다.
농촌지역의 의료 여건이 열악한 것은 비단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이제는 공공의료의 마지막 버팀목이던 보건지소까지 문을 닫는 날이 많아 걱정이 커지고 있다.
몸이 아프면 제때, 제대로 치료를 받을 수 있어야 하는데 이것이 불가능하니 누가 농촌에서 계속 거주하려고 하겠는가.
붕괴 수준에 다다른 농촌 의료 여건을 더이상 방치해선 안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농촌주민들은 몸이 아플 때도 요일을 봐가면서 아파야 할 것 같다. 공중보건의가 부족해 한명의 공보의가 여러 보건지소를 순회 진료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서다. 농촌지역의 의료 여건이 열악한 것은 비단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이제는 공공의료의 마지막 버팀목이던 보건지소까지 문을 닫는 날이 많아 걱정이 커지고 있다.
농촌지역 의료 공백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거주지에서 가까운 곳에 응급의료센터는 아예 찾아보기가 힘드니 갑자기 아프거나 사고를 당해서도 안된다. 병·의원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전국 612개 면(面)지역을 분석해보니 2020년 기준 병원이 한곳도 없는 지역이 538곳(87.9%)이나 됐다. 교통마저 크게 불편하지만 아픈 몸을 이끌고 읍내까지 나가야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설령 병원이 있더라도 큰 병은 치료가 불가능해 많은 비용과 시간을 들여 서울 등 대도시 병원까지 가야 하는 형편이다. 실제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거주지 외 다른 지역 큰 병원을 찾아가 치료를 받은 원정진료비는 무려 21조8559억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21%에 달한다.
이래서는 농촌소멸 시계가 더욱 빨라질 수밖에 없다. 몸이 아프면 제때, 제대로 치료를 받을 수 있어야 하는데 이것이 불가능하니 누가 농촌에서 계속 거주하려고 하겠는가. 아이를 낳으려 해도 산부인과가 없으니 대체 어디서 아이를 낳으란 말인가. 이같은 현실은 당연히 농촌에 새로 들어오려는 사람들도 주저하게 만든다.
붕괴 수준에 다다른 농촌 의료 여건을 더이상 방치해선 안된다. 무엇보다 20여년째 묶여 있는 의과대학 정원 확대가 필요하다. 아울러 수업료 등을 국가에서 지원해주고 졸업 후에는 해당 지역에서 일정기간 의무적으로 일하는 의사를 육성하는 공공의대 설립에도 속도를 내야 한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확산으로 한시 허용했던 비대면 진료도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효과적인 정부의 ‘처방전’이 절실하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