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잘못된 신호에 가계대출 또 급증… 벌써 긴축 허리띠 풀 땐가
2023. 5. 15. 00: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외 기준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던 지난해 8조 원 가까이 줄었던 가계대출이 다시 급증하고 있다.
은행의 대출금리가 20개월 전 수준으로 하락하고, 부동산 거래가 조금씩 살아나면서 빚에 대한 가계의 경계심이 느슨해진 탓이다.
일반적으로 고정금리보다 높은 가계대출 변동금리 역시 3%대 하락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로 인해 4월 말 금융권의 전체 가계대출은 8개월 만에 증가로 돌아섰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기준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던 지난해 8조 원 가까이 줄었던 가계대출이 다시 급증하고 있다. 은행의 대출금리가 20개월 전 수준으로 하락하고, 부동산 거래가 조금씩 살아나면서 빚에 대한 가계의 경계심이 느슨해진 탓이다. 선진국 중 최고 수준인 가계부채가 더 늘어날 경우 경제 성장의 발목까지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의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현재 연 3.7∼5.8% 수준이다. 가장 낮은 금리는 올해 1월보다 1%포인트 이상 내렸고, 한국은행이 금리를 올리기 시작한 직후인 재작년 9월의 3.2% 이후 가장 낮다. 일반적으로 고정금리보다 높은 가계대출 변동금리 역시 3%대 하락을 목전에 두고 있다.
최근 대출금리는 은행의 자금조달 금리보다 큰 폭으로 내리고 있다. 은행들이 예금·대출 금리차를 이용해 과도하게 돈 버는 걸 금융당국이 비판하며 인하를 압박한 영향이 크다. 미국 중소형 은행의 연쇄파산으로 미 연방준비제도가 더는 금리를 높이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 때문에 대출금리는 더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문제는 금리가 싸지자 돈을 빌리려는 이들이 많아졌다는 점이다. 3, 4월 4대 은행의 신규 가계대출은 작년 동월 대비 86%, 69%씩 급증했다. 전세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은 증가 폭이 93%, 76%로 더 높다. 이로 인해 4월 말 금융권의 전체 가계대출은 8개월 만에 증가로 돌아섰다. 집값 폭등을 겪었던 2030세대가 다시 ‘영끌’에 나선 게 아닌지 우려된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4위로 100%가 넘는다.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내줘야 할 전세보증금까지 빚으로 잡으면 150%를 넘겨 세계 1위다. 이런 상황에서 빚이 안 줄고 오히려 늘면 가계의 가처분소득이 줄어 소비가 위축되고 결국 경제성장률까지 깎아먹게 된다.
미국과 금리 역전 폭이 커지는데도 기준금리를 3.5%로 두 차례 동결한 한은 결정은 대출 반등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아무리 한은이 ‘긴축은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해도 개인, 가계는 금리 동결을 긴축 종료로 판단하고 있다. 한은과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반등을 심각한 위험신호로 받아들이고, 이에 맞춰 통화·금융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의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현재 연 3.7∼5.8% 수준이다. 가장 낮은 금리는 올해 1월보다 1%포인트 이상 내렸고, 한국은행이 금리를 올리기 시작한 직후인 재작년 9월의 3.2% 이후 가장 낮다. 일반적으로 고정금리보다 높은 가계대출 변동금리 역시 3%대 하락을 목전에 두고 있다.
최근 대출금리는 은행의 자금조달 금리보다 큰 폭으로 내리고 있다. 은행들이 예금·대출 금리차를 이용해 과도하게 돈 버는 걸 금융당국이 비판하며 인하를 압박한 영향이 크다. 미국 중소형 은행의 연쇄파산으로 미 연방준비제도가 더는 금리를 높이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 때문에 대출금리는 더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문제는 금리가 싸지자 돈을 빌리려는 이들이 많아졌다는 점이다. 3, 4월 4대 은행의 신규 가계대출은 작년 동월 대비 86%, 69%씩 급증했다. 전세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은 증가 폭이 93%, 76%로 더 높다. 이로 인해 4월 말 금융권의 전체 가계대출은 8개월 만에 증가로 돌아섰다. 집값 폭등을 겪었던 2030세대가 다시 ‘영끌’에 나선 게 아닌지 우려된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4위로 100%가 넘는다.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내줘야 할 전세보증금까지 빚으로 잡으면 150%를 넘겨 세계 1위다. 이런 상황에서 빚이 안 줄고 오히려 늘면 가계의 가처분소득이 줄어 소비가 위축되고 결국 경제성장률까지 깎아먹게 된다.
미국과 금리 역전 폭이 커지는데도 기준금리를 3.5%로 두 차례 동결한 한은 결정은 대출 반등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아무리 한은이 ‘긴축은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해도 개인, 가계는 금리 동결을 긴축 종료로 판단하고 있다. 한은과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반등을 심각한 위험신호로 받아들이고, 이에 맞춰 통화·금융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이번주 60-다음주 36시간… 獨, 6개월 단위 ‘유연근로’
- [정용관 칼럼]‘자유를 향한 여정’, 내편만 동행할 건가
- [단독]공공기관 임원 3064명 중 63%가 ‘文정부 임명’… 기관장은 71%
- “집 흔들렸다”…동해서 올해 가장 큰 ‘규모 4.5’ 지진
- ‘코인 의혹’ 김남국 탈당… 민주 “엄정 조사뒤 징계”
- [단독]檢, ‘돈봉투 의혹’ 이성만 16일-윤관석 18일 조사
- 튀르키예 개표 95%, 에르도안 득표율 50% 미달…28일 결선 갈듯
- 당정, 간호법 거부권 건의… 尹, 내일 국무회의서 행사할 듯
- 한일 “오염수 시찰 나흘간 진행”… 현장점검 시설 범위는 못정해
- 기재위, 재정준칙 도입 재논의… 野, 사경법 연계해 난항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