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 한 포기도 귀하게 여기는 섬마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파도는 제주도에 속한 작은 부속섬이다.
이 섬은 선사시대 패총(조개더미)이 발견됨으로써 오래전부터 사람이 거주했음을 알 수 있지만, 기록의 역사는 탐라국 시대에는 전무하며 조선 초기부터 시작됐다.
가파도를 본섬과 잇는 유일한 통로였던 마제포 주변에 상동이란 마을이 자연스레 형성됐고, 이후 주민이 늘어나 남쪽에 하동마을이 생겼다.
섬을 휘감는 산뜻한 바닷바람, 따뜻하고 무엇이든 다 키워낼 듯한 봄 햇살이 뜨겁던 2019년 4월, 가파도 '섬섬 이야기'가 시작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파도는 제주도에 속한 작은 부속섬이다. 이 섬은 선사시대 패총(조개더미)이 발견됨으로써 오래전부터 사람이 거주했음을 알 수 있지만, 기록의 역사는 탐라국 시대에는 전무하며 조선 초기부터 시작됐다. 조선 초기 지명이 붙여지고 목장이 설치됐다. 국유지로 관리만 하고 주민의 정착이 허가되지 않은 섬이었다 . 조선 후기부터 제주도 상·하모리의 5개 성씨를 가진 주민들이 이주해 농사지으며 살기 시작했다 .
마을 주민의 거주 역사는 160여 년 남짓이다. 가파도를 본섬과 잇는 유일한 통로였던 마제포 주변에 상동이란 마을이 자연스레 형성됐고, 이후 주민이 늘어나 남쪽에 하동마을이 생겼다. 하동 포구도 개항됐다. 현재 거주민은 130여 명이다. 이 중 45명이 현직 해녀다. 섬 주민의 60%가 바다를 상대로 생계를 잇는 어업인이다. 가파도 면적 3분의 2를 차지하는 보리밭은 현재 세 농가에서 경작하고 있다.
분출 시기는 다르지만 본섬처럼 가파도도 화산활동이 활발했다. 제주도의 검은 현무암과 다른 조면암질 안산암형의 동글동글한 형형색색의 화산석을 발견할 수 있다. 본섬과 비슷한 돌담의 형태도 볼 수 있다. 식물, 곤충, 어류도 이 섬의 지형에 맞게 변화하고 성장하고 서식한다. 5~6월 비가 내린 뒤 가파도 들판을 가득 울리는 맹꽁이 떼창은 이 섬만의 명물이다.
섬을 휘감는 산뜻한 바닷바람, 따뜻하고 무엇이든 다 키워낼 듯한 봄 햇살이 뜨겁던 2019년 4월, 가파도 ‘섬섬 이야기’가 시작됐다. 섬섬 이야기는 가파도 방문객이 섬사람과 함께 섬을 걸으며 섬의 모든 것에서 영감을 얻고 느껴보는 것이다. 오랜 세월을 거쳐 신성과 물성이 쌓인 가파도 문화를 탐색하고 관찰할 수 있다. 그때마다 다른 길을, 그날의 날씨와 바람 방향에 따라 걸으며 섬의 우연과 인연을 만난다. 바다가 섬에 남긴 흔적이나 소리, 바람, 꽃, 나무, 길, 사람, 새와 고양이와의 만남을 섬의 원시성 속에서 즐긴다.
섬섬 이야기에 참여하려면 ‘가파도 사진관 & 스토리지’ 인스타그램(@gapado_island) 계정으로 신청하면 된다. 가파도에는 바람이 많아 풀 한 포기도 ‘낭’(나무의 제주어)으로 귀하게 여긴다. 바람과 함께 모든 순간을 함께한다. 여기 섬섬 이야기로 만난 몇 개의 우연한 순간을 전한다.
가파도(제주)=사진·글 유용예 사진가 겸 해녀
Copyright © 한겨레2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