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일에는 ‘기미(幾微)’가 있다 … 올바름을 지키면 길(吉)하다”

강현철 2023. 5. 14. 14:5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서양 철학에서 배우는 인생의 지혜 ①주역
동양적 사유의 원형 … “밤이 지나면 낮이 찾아온다"
‘궁즉변(窮則變), 변즉통(變則通)’의 변화 사상
주역의 8괘
쑨 잉퀘이, 양 이밍이 지은 '주역'(현암사 간). 두 사람의 대화를 통해 주역을 의리학적으로 푼 책이다.

IT(정보기술)와 AI(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철학을 '배고픈 학문'으로 간주하는 경향은 최근 더 강해지고 있다. 하지만 인간과 세계에 대한 근본 원리와 삶의 본질을 묻는, '사유하는 힘'인 철학은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궁극적 원천의 하나다. 다양한 동서양 철학을 통해 현대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생의 지혜를 알아본다.

독립된 개체로서의 존재를 따지는 서양의 실체론과 달리 동양은 관계속에서 '나'와 '세계'를 파악한다. 동양에서 개체는 정지 상태가 아니라 끝없는 생성과 변화의 역동적인 과정속에 존재한다. 이같은 '동양적 사유의 원형'을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책이 중국 주나라 문왕이 쓰고 공자가 해석했다는 주역(周易)이다.

주역의 두가지 해석, '상수역'과 '의리역'

주역은 점서(占書)인 동시에 사상·철학의 책이다. 점서로 해석하는 것을 상수역(象數易)이라고 하고, 철학으로 해석하는 것을 의리역(義理易)이라고 한다. 상수역의 대표 학자로는 송대의 소강절, 의리역은 위진 시대의 왕필을 꼽을 수 있다. 동양의 유학자들은 주역을 의리학, 즉 철학적으로 해석하고 자신이 처한 시대적·공간적 상황에서 최선의 삶의 자세를 찾아내고 이를 실천했다.

천즉리(天卽理·하늘이 만물을 생성 주관한다), 일음일양지위도( 一陰一陽之謂道·한번 음이고 한번 양인 것을 도라고 한다), 종즉유시, 천행(終卽有始, 天行·끝이 있으면 시작 또한 있는 것이 하늘의 운행법칙이다), 주역의 구절들이다. 현대 중국의 사상가로 꼽히는 이중톈은 주역이 현대인에게 가르치는 핵심 인생철학은 "순조로운 때(순경·順境)는 위기를 잊지 않는 마음(거안사위·居安思危), 어려울 때(역경·逆境)는 바른 마음(신심·정, 信心·貞)을 잃지 않는 것"이라고 말한다. 주역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구절 중 하나가 '貞·吉(바르면 이롭다)'이다. 올바라야 이로움이 있다는 뜻이다. 올바름은 처한 때와 자신이 선 위치에 따라 마땅히 할 바를 행하는 것이다.

주역의 원리와 세계관…하늘의 도를 살펴 사람의 도리를 세우다

주역이 세상에 나온 것은 인류의 현자(賢子)들이 태어난 이른 바 '축의 시대'보다 대략 500년 앞선다. 학자들은 기원전 1046년 전후로 본다. 주(周)는 주나라 시대라는 뜻이며, 역(易)은 △지극히 쉽고 평이하다(간이·簡易) △변화(변역·變易) △불변(불역·不易) 등 3가지 뜻을 갖는다.

잘 알다시피 주역은 음과 양이라는 간단한 부호와 체계로 부단히 변화하는 현상(변역) 배후에 있는 영원불변의 본질(불역)을 인식하고 해석, 다양한 상황에서 인간이 인간답게 사는 방법을 쉽고 평이하게(간이) 알려준다.

태초에 태극(太極)이 있었으며, 태극에서 음과 양 양의(兩儀)가 탄생한다. 음과 양의 효는 세계의 변화를 모방한 것으로, 두 효가 겹침으로써 태양 소음 소양 태음이라는 사상(四象)을 만들어낸다. 사상은 다시 건(乾·하늘) 태(兌·연못) 이(離·불) 진(震·천둥) 손(巽·나무·바람) 감(坎·물) 간(艮·산) 곤(坤·땅)이라는, 각 세 효로 이뤄진 팔괘(八卦)로 분화한다. 태극 →양의(음양)→사상→팔괘(역전 계사 상) 순이다. 이 팔괘가 상하 여섯효로 중첩돼 64괘가 탄생한다.

64괘는 건괘가 아래위로 겹친 중천건(重天乾) 괘로 시작, 불이 위에 있고 물이 밑에 있는 화수미제(火水未濟) 괘로 끝난다.

64괘는 총 384효로 인생 행로에서 부딪힐 수 있는 384가지 상황을 의미한다. 각 괘의 효마다 효를 풀이하는 효사가 달려 있다. 여기에 각 효가 모두 양으로만 이뤄진 용구(用九)와, 음으로만 이뤄진 용육(用六) 두 개를 더하면 총 386개 효사가 된다. 왕필은 64괘 각각의 괘를 시(時·각각의 인간이 처한 상황)라고 풀이한다. 공자는 단전(彖傳) 상하, 상전(象傳) 상하, 계사전(繫辭傳) 상하, 문언전(文言傳), 서괘전(序卦傳), 설괘전(說卦傳), 잡괘전(雜卦傳) 등 십익(十翼)이라는 저서를 통해 이 386가지 상황에서 어떻게 하는 게 올바른 삶의 태도인지를 알려준다. 각 효가 놓여진 위치, 위아래 효와의 관계, 음양 여부 등으로 효와 괘를 풀이한다.

예를 들어 다섯번째 괘인 수(需)는 물을 뜻하는 감괘가 위에 있고, 하늘을 뜻하는 건괘가 아래에 있다. 그래서 수천수(水天需)라고 읽는다. 이 괘는 인내하고 때를 기다려야 하는 괘다. 인생의 초반쯤에 해당한다. 33번째 괘인 둔(遯)괘는 건괘가 위에 있고 산을 의미하는 간괘가 아래에 있다. 천산둔(天山遯)이라고 읽는 데 곤궁한 상황에서 잠시 물러나 있을 때의 괘다.

주역 64괘 중 각 6개의 효가 모두 좋은 괘는 없다. 같은 괘에서도 좋은 효도 있고 나쁜 효도 있다. 유일하게 산이 땅 아래 있는 지산겸(地山謙) 괘만이 6효 모두 길효다. 그만큼 인생에서 겸손이 중요함을 가르친다.

주역이 가르치는 인생의 지혜

주역이 말하는 변화(Change)는 대략 세가지의 뜻을 지닌다. 첫째는 사물이 궁극에 이르면 변화한다(궁극이변·窮極而變)는 사상이다. 이는 2000년 후 역사에서 변증법을 역설한 독일 철학자 헤겔과 공산주의 철학자 마르크스가 말한 '양(量)이 쌓이면 질(質)이 변화한다'는 양에서 질로의 전환 사고와 닮아 있다. '궁즉변(窮則變), 변즉통(變則通), 통즉구(通則久)'라는 계사전의 유명한 구절이 이런 세계관을 반영한다. 극에 이르면 바뀌게 되고, 바뀌면 통하며, 통하면 오래갈 수 있다는 뜻이다. 둘째는 '여시구진(與時俱進)'이다. '시대와 함께 나아간다'는 뜻으로, 시대의 맥락을 파악하고 시대의 변화(조류)에 순응한다는 얘기다. 마지막으로 '흡도호처(恰到好處)'로 말과 행동이 지극히 적당하고 잘 들어맞는다는 의미다.

흔히들 중국 철학을 '처세(處世)의 철학'이라고 한다. 세상에 처하는 올바른 방법을 가르친다는 뜻이다. 하늘의 도(천도·天道)를 사람의 일(인사·人事)과 결부시켜 천도로써 올바른 인사를 설명한다. 주역은 치우침이 없는 중정(中正)을 중히 여긴다. 자연의 법칙을 천도라 하고, 인간이 이에 적응함을 인도라 하며, 중정한 것을 길(도·道)이라고 해 가장 선하다고 본다.

주역의 세계관은 정지돼 있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계다. 달이 끊임없이 차고 기울며, 낮과 밤이 교차돼듯 차면 비고(영허·盈虛), 줄어들면 불어나는(소식·消息) 이치다.

주역 전문가인 심의용 교수는 '호리지차 천리지류(毫釐之差 千里之繆)'라고 말한다. "털끝만한 (마음의) 차이가 천리만큼 (운명의) 다름을 낳는다"는 뜻이다. 그래서 때를 알고(知時), 미묘한 기미를 파악하며(知幾), 자신을 변화시켜 통하게 하며(變通), 최선의 이로움을 찾는(盡利) 것이 주역이 말하는 인생의 지혜라고 전한다. 주역의 때(時)는 시간(時), 장소(處), 지위(位)라는 세가지 의미를 갖고 있다.

국립대만대 교수인 푸페이룽은 역경의 가르침으로 네가지를 꼽는다. △성(誠)으로 자신을 지키며 △겸(謙)으로 다른 사람을 대하고 △기(幾)로 만물의 변화를 관찰하며 △덕(德)으로 하늘의 도에 합한다는 것이다.

괘사로부터 뜻을 얻는 것은 사람에게 달려 있다(송나라 학자인 정이천). 사람의 마음이 가장 중요하다는 뜻이다. 옛사람들은 주역 공부를 통해 이익이나 신비로운 것을 다루지 않았으며, 지극한 선에 머무는 경지에 도달하는 것을 최고로 삼았다.

주역 가운데 필자가 좌우명으로 삼는 건 건괘 상전에 나오는 '천행건(天行健) 하니 군자이자강불식(君子以自彊不息)'이라는 구절이다. '하늘의 움직임이 강건하니(굳세니) 군자는 이로써 스스로 쉬지않고 힘쓴다'는 뜻이다. 강현철기자 hckang@dt.co.kr

*이 글은 한국조폐공사 사보 '화폐와 행복' 2023년 5+6월호에 필자가 기고한 글을 전재한 것입니다.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