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유럽 배터리 점유율 급상승…"정부 지원 판도 좌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유럽 시장에서 점유율을 한 층 끌어올리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김희영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향후 1~2년 내 EU시장에 충분한 설비투자가 이루어지지 못하면 중국과의 점유율 경쟁에서 밀리면서 회복하기 어려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우리 기업이 EU 시장에서 중국 기업과 대등한 여건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배터리 산업에 대한 집중적 자금 지원과 정책적 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이한얼 기자)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유럽 시장에서 점유율을 한 층 끌어올리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면 국내 기업들의 유럽 시장 점유율은 소폭 하락해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는 분석이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4일 ‘글로벌 배터리의 최대 격전지, EU 배터리 시장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전했다.
유럽연합(EU)은 역내 배터리 제조역량을 강화하고 재활용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글로벌 배터리 기업의 투자를 적극 유치 중이다. 2030년 EU가 전 세계 리튬이온 배터리 수요의 약 1/4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글로벌 배터리 기업들이 EU 내 신규 설비투자 및 증설 계획을 발표한 상황이다.
무역협회는 IRA로 인해 미국 시장 진입이 어려워진 중국 기업이 EU에 대한 투자를 빠르게 확대하고 있어 국내 기업과 점유율 경쟁이 심화되는 형국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미국이 중국을 배제한 배터리 공급망 구축을 추진하고 있는 반면, EU는 중국 기업의 투자 유치에도 개방적이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중국의 EU 배터리 시장점유율이 2020년 14.9%에서 2022년 34.0%로 상승한 반면,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2020년 68.2%에서 2022년 63.5%로 하락했다.
무역협회는 EU 완성차 회사(OEM)의 배터리기업과의 제휴가 본격화되는 향후 1~2년이 글로벌 배터리 산업의 판도를 좌우할 결정적 시기라고 내다봤다. 공장 건설과 수율 확보를 위한 시 운전 기간 등을 고려할 때 향후 1~2년 내 수주 경쟁의 결과가 5~6년 이후의 시장 점유율을 좌우하게 된다는 이유에서다. 단기적인 자금 조달능력이 수주 경쟁의 성패를 좌우할 전망이다.
이 때문에 정부와 기업은 신속한 대응을 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자칫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기업에 추월당할 우려도 존재한다.
무역협회는 기업이 EU 시장에서 중국과 동등한 조건 하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자금 지원 확대 ▲핵심광물 공급망 확충 ▲투자 세액 공제의 실효성 강화 등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희영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향후 1~2년 내 EU시장에 충분한 설비투자가 이루어지지 못하면 중국과의 점유율 경쟁에서 밀리면서 회복하기 어려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우리 기업이 EU 시장에서 중국 기업과 대등한 여건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배터리 산업에 대한 집중적 자금 지원과 정책적 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한얼 기자(eol@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배터리, 1분기 산뜻한 출발…LFP 주도권에 성패 달려
- 인니 GDP 5% 성장…배터리 소재 니켈이 '효자'
- LG전자 "무선청소기 폐배터리 반납하면, 새 배터리 할인"
- 다이슨, 차세대 배터리 힘 싣는다…싱가포르에 공장 설립
- 파라메타, '전기차 배터리 수명 인증 서비스' 구축 돌입
- SK이노, 정제마진 약세에도 1Q 선방…배터리 부문 적자폭 심화
- "엔비디아 AI칩 블랙웰, 서버 탑재시 과열"
- [방은주의 쿼바디스] 대한민국에 SW는 없다
- '20주년' 지스타2024, 21만명 다녀갔다…코로나 이후 최대 규모
- 내재화 실패한 '폭스바겐'…궁여지책으로 소프트웨어 사들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