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끄럽지도 요란하지도 않은 식사…혼밥의 시대와 어울리는 ‘발우공양’ [이충우의 소소한 관심]

이충우 기자(crony@mk.co.kr) 2023. 5. 14. 11: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님들에게는 밥을 먹는 것도 중요한 수행입니다.

그래서 사찰에서 밥을 먹는 의식을 ‘발우공양’이라고 부릅니다. 밥을 먹는 커다란 그릇이 바로 발우입니다.

스님들이 발우공양을 하고있다. 송광사는 전통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총림이며, 고지식하고 보수적이라 할만큼 원칙을 잘 지켜오고 있는 한국불교의 보물이다. [이충우기자]
발우사 스님 들 자리에 놓여 있다. 송광사는 전통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총림이며, 고지식하고 보수적이라 할만큼 원칙을 잘 지켜오고 있는 한국불교의 보물이다. [이충우기자]
더운 여름 날씨에도 스님들은 가사 장삼을 차려입고 정좌한 자세로 발우공양을 합니다.

발우공양은 죽비소리에 맞춰 동시에 시작하고 동시에 끝이 납니다. 옆 사람과 이야기를 해서도 안되고 씹는 소리를 밖으로 내서도 안됩니다.

음식은 밥 한톨 남겨서는 안되고 그릇을 씻은 물까지 말끔하게 마셔야 합니다. 그 탁한 물이 세상에 버려지면 다른 생명에게 해가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스님이 발우공양을 알리는 죽비를 치고있다. 송광사는 전통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총림이며, 고지식하고 보수적이라 할만큼 원칙을 잘 지켜오고 있는 한국불교의 보물이다. [이충우기자]
스님들이 발우공양을 하고있다. 송광사는 전통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총림이며, 고지식하고 보수적이라 할만큼 원칙을 잘 지켜오고 있는 한국불교의 보물이다. [이충우기자]
스님들 자리에 발우와 나눠서 공양할 반찬이 노여있다 . 송광사는 전통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총림이며, 고지식하고 보수적이라 할만큼 원칙을 잘 지켜오고 있는 한국불교의 보물이다. [이충우기자]
스님들이 발우공양을 준비 하고있다.송광사는 전통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총림이며, 고지식하고 보수적이라 할만큼 원칙을 잘 지켜오고 있는 한국불교의 보물이다. [이충우기자]
발우공양은 지금으로부터 2500여 년 전 석가모니부처님의 수행에서 비롯됐습니다. 감사와 정진의 의미를 담고 있는 발우공양은 배불리 먹기 보다는 수행을 위한 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스님들이 발우공양을 하고있다.송광사는 전통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총림이며, 고지식하고 보수적이라 할만큼 원칙을 잘 지켜오고 있는 한국불교의 보물이다. [이충우기자]
스님들이 발우공양을 하고있다. 송광사는 전통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총림이며, 고지식하고 보수적이라 할만큼 원칙을 잘 지켜오고 있는 한국불교의 보물이다. [이충우기자]
스님들이 발우공양을 하고있다. 송광사는 전통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총림이며, 고지식하고 보수적이라 할만큼 원칙을 잘 지켜오고 있는 한국불교의 보물이다. [이충우기자]
스님들이 발우공양을 하고있다. 송광사는 전통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총림이며, 고지식하고 보수적이라 할만큼 원칙을 잘 지켜오고 있는 한국불교의 보물이다. [이충우기자]
스님들이 발우공양을 하고있다송광사는 전통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총림이며, 고지식하고 보수적이라 할만큼 원칙을 잘 지켜오고 있는 한국불교의 보물이다. [이충우기자]
스님들이 발우공양을 하고있다. 송광사는 전통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총림이며, 고지식하고 보수적이라 할만큼 원칙을 잘 지켜오고 있는 한국불교의 보물이다. [이충우기자]
스님들이 발우공양을 하고있다.송광사는 전통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총림이며, 고지식하고 보수적이라 할만큼 원칙을 잘 지켜오고 있는 한국불교의 보물이다. [이충우기자]
스님들이 발우공양을 하고있다.송광사는 전통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총림이며, 고지식하고 보수적이라 할만큼 원칙을 잘 지켜오고 있는 한국불교의 보물이다. [이충우기자]
스님들이 발우공양을 마치고 발우를 닦고있다.송광사는 전통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총림이며, 고지식하고 보수적이라 할만큼 원칙을 잘 지켜오고 있는 한국불교의 보물이다. [이충우기자]
발우공양을 할 때 염송하는 ‘오관게’라는 게송에 그 의미가 잘 담겨 있습니다.

오관게

이 음식이 어디서 왔는가, 내 덕행으로 받기가 부끄럽네.

마음의 온갖 욕심 버리고, 몸을 지탱하는 약으로 삼아

도업을 이루고자 이 공양을 받습니다.

사찰에서는 공양도 하나의 의식이자 수행이다. 공양물이 앞에 놓이면 먼저 죽비를 한 번 치고 대중이 함께 오관게를 외운다.

발우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은 후 두 명의 우바새로부터 최초의 공양을 받을 때, 사천왕이

돌그릇을 각기 하나씩 부처님께 드렸고, 부처님은 이 발우 네 개를 포개어 사용했다고 한다.

그 후 제자들도 부처님을 따라 네 개의 발우를 써서 공양을 하는 전통이 생겨났고

발우는 네개(4합 발우) 또는 다섯 개(5합 발우)로 짝을 이루며 크기가 조금씩 달라

차곡차곡 포개 놓으면 그대로 하나가 된다. 4합 발우일 경우에는

제일 큰 발우는 ‘밥발우’, ‘국발우’, ‘반찬 발우’, ‘천수발우’ 순서로 이루어진다.

또는 제일 큰 발우를 ‘불(佛) 발우’ 다음을 ‘보살 발우’, ‘성문발우’, ‘연각 발우’라고도 하며

5합 발우에서는 가장 작은 발우는 지옥아귀, 아수라에게 공양하기 위한 발우로써 ‘시식 발우’라고 하나, 자주 쓰이지 않습니다.

발우 공양에 담긴 뜻

흔히 발우공양 정신은 다섯 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평등사상

지위의 높고 낮음을 막론하고 모든 대중이 차별없이 똑같이 나누어 먹는 의식 속에 만인이 평등하다는 평등의식이 담겨있다.

둘째 청결사상

늘 깨끗하게 관리한 개인 발우, 각자 먹을 만큼만 덜어 먹는 식사예절이 깨끗한 발우공양의 모습이다.

셋째 청빈 사상

자신이 받은 음식은 양념 한 조각조차 남기지 않고, 먹을 만큼만 덜기 때문에 낭비가 없다. 또 마지막 그릇 씻은 물까지 먹음으로써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다는 점에서 생태주의 사상도 깃들어 있다. 여럿의 발우를 헹군 물조차 수행자의 마음처럼 티 하나 없이 깨끗하기만 하다.

넷째 공동체 사상

대중 스님이 같은 곳에서 같은 때에 한 솥에서 만들어진 음식을 먹으며 공동체를 확인한다. 공양을 마친 자리에서 절의 크고 작은 일을 논의하고 결정하니 민주주의 정신도 담겨있다.

다섯 번째 복덕

음식이 만들어지기까지 고생한 분들의 노고에 감사하고 자신의 소임을 다하겠다고 맹세하니 늘 복을 짓고 덕을 쌓는 복덕 사상이 깃들어있다.

[참고/ 대한불교 조계종 한국불교문화사업단 사찰음식]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