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루이비통까지 사로잡았다’ 아르헨티나 와인, 한국 시장 정조준

유진우 기자 2023. 5. 14. 06: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구 정 반대편 나라 아르헨티나. 서울에서 땅을 파고 내려가면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가 나온다. 거리로 치면 2만킬로미터가 넘는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는 사실 때문인지 아르헨티나가 가진 잠재력을 아는 사람은 별로 많지 않다. 아르헨티나는 국토 면적 기준 세계 8위로 우리보다 무려 28배 크다. 동시에 세계 7위 와인 생산국이며, 8위 와인 수출국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와인 시장에서는 항상 칠레에 밀려 남미 2인자 자리에 만족해야 했다. 2021년 국제와인기구(OIV) 통계를 보면 아르헨티나 와인 생산량은 1250만헥토리터로 1340만헥토리터인 칠레와 거의 비슷하다. 심지어 2020년대 이전에는 아르헨티나 와인 생산량이 칠레를 앞서는 경우도 잦았다.

아르헨티나 사람들의 와인에 대한 자부심은 와인 종주국 유럽 국가 못지않다. 아르헨티나는 인구 97%가 백인계로 구성된 남미에서도 손꼽히는 백인 국가다. 이탈리아를 포함한 유럽에서 온 이민자를 선조들 때문이다. 자연히 와인을 식사 자리마다 함께하는 문화가 뿌리 깊게 자리 잡았다.

이들은 아르헨티나 와인이 국제 시장에서 저평가받는 이유가 이처럼 ‘다른 나라에 팔기보다 직접 마셔서 소비하는 양이 많기 때문’이라고 항변한다. 내수 시장에서 충분히 소비를 하기 때문에, 아예 타국에 보여줄 기회가 적었다는 뜻이다. 실제 아르헨티나 국민 1인당 연간 와인 소비량은 18리터로, 1리터 남짓한 우리나라에 비해 15배 이상 많다.

아르헨티나산 와인을 홍보하는 공식 협회 ‘와인즈 오브 아르헨티나’는 전체 와인 생산량 가운데 70%를 자국민이 소비하고, 30%만 수출한다고 밝혔다.

지난 10일 서울에서 열린 2023 아르헨티나 와인 시음회는 주한 아르헨티나 대사관이 우리나라에 덜 알려진 아르헨티나 와인을 대대적으로 소개하기 위해 마련한 행사다.

행사를 주관한 알프레도 바스쿠 주한 아르헨티나 대사는 이날 축사에서 “2021년 기준 아르헨티나에는 1217개 와이너리가 있는데, 올해 행사에는 이 가운데 엄선한 와이너리들이 대거 참석했다”며 “한국 와인 시장의 중요성을 올해 행사는 이전 행사보다 규모가 3배 더 커졌다”고 말했다.

그래픽=정서희

이날 아르헨티나 대사관이 직접 선별한 와인 중에는 소위 ‘신동빈 와인’으로 알려진 트리벤토 등이 포함됐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롯데그룹에 입사하기 전 1981년 일본 노무라증권에 입사해 1988년까지 7년여간 일했다. 그는 이 당시 세계 금융 중심지 영국 런던에 머물면서 동료나 지인들과 여러 국가 와인을 두루 맛봤다. 영국은 예나 지금이나 전 세계 와인이 몰리는 집결지다. 20대 중반, 사회 초년생이었던 신 회장은 편견 없이 여러 와인을 즐기는 과정에서 아르헨티나 와인에 매료됐다.

이후 30여 년이 흐른 2020년 말 롯데칠성음료와 롯데그룹 유통계열사는 ‘엄선한 와인을 더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겠다’며 첫 시그니처(대표) 와인으로 이 아르헨티나 와인 ‘트리벤토’를 꼽았다. 롯데그룹 관계자에 따르면 “회장님이 롯데를 대표할 와인으로 트리벤토를 추천했다”고 말했다. 신 회장 역시 “내 이름을 걸고 이 와인 마케팅을 해도 좋다”는 이례적인 허락을 할 정도로 트리벤토에 애정을 표했다.

이날 시음회에 참여한 양윤주 소믈리에는 “트리벤토라는 이름은 ‘3개의 바람’이라는 뜻인데, 말 그대로 포도 성장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세 종류 바람을 말한다”며 “아르헨티나 대표하는 품종 말벡(Malbec)은 만생종(천천히 익는 품종)이라 건조한 날씨가 필요한데, 이 바람들이 불면서 말벡 특유 과실향이 충분히 나게끔 도와준다”고 말했다.

아르헨티나 주요 와인이 몰려 있는 멘도사(Mendoza) 지역, 그중에서도 상대적으로 고지대를 인근에 둔 루한 데 쿠요(Lujan de Cuyo) 지역에는 각기 다른 이름의 세 바람이 분다. 존다(Zonda), 수데스타다(Sudestada), 폴라(Polar)라 불리는 세 계절풍은 포도 열매가 충분히 무르익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존다’는 안데스산맥에서 일 년 내내 불어오는 서풍으로, 따뜻하고 건조해 겨우내 잠들었던 포도나무를 깨우는 역할을 한다. ‘수데스타다’는 여름철 남동쪽에서 불어오는 선선한 바람으로 작열하는 태양에 포도가 지나치게 익거나 타지 않도록 도와준다. 마지막 ‘폴라’는 겨울철 남극 지방에서 부는 차가운 바람으로 포도나무 수액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와인 업계 최대 큰손이자 세계 최고 럭셔리 그룹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도 아르헨티나가 가진 이런 천혜의 자연환경에 진작부터 주목했다. LVMH 산하 샴페인 브랜드 모엣 샹동이 본토인 프랑스를 벗어나 처음으로 차린 자회사가 아르헨티나 멘도사에 자리 잡은 보데가 샹동이다.

모엣 샹동의 수석 와인 메이커 르노 푸와리에(Renaud Poirier)는 1959년 아르헨티나 멘도사 지역이 품은 가능성에 푹 빠졌고 이후 1960년 보데가 샹동을 세웠다.

이후 50여 년이 지난 1999년에는 LVMH가 보유한 프랑스 보르도 최고급 와이너리 샤토 슈발 블랑과 합작해 ‘슈발 데 안데스(Cheval des Andes)’를 재차 설립했다. 이 와인은 여전히 아르헨티나 와인을 대표하는 기념비로 꼽힌다. 매년 새로운 와인을 출시할 때마다 인터내셔널와인앤스피릿컴페티션(IWSC), 문두스비니 같은 세계적인 주류 품평회에서 금메달을 수상했다.

아르헨티나 전문 와인 수입사 까사 데 멘도사의 김종훈 대표이사는 “아르헨티나 와인이라고 하면 맛과 향이 단편적일 것이라는 편견이 있는데, 우리나라 여러 음식에 맞춰도 무리가 없을 만큼 복잡하고 개성이 다양한 와인이 여전히 숨겨져 있다”며 “프랑스나 이탈리아 와인과 비슷한 품질에도 훨씬 저렴한 가격 역시 장점”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