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수 채취도 시설 점검도 어렵다?‥시찰단의 역할은
[뉴스데스크]
◀ 앵커 ▶
이 내용과 관련해서 외교안보팀 엄지인 기자와 좀 더 살펴보겠습니다.
엄 기자, 일본은 올 여름에 오염수를 방류한다는 계획이에요?
바닷속 10미터 정도 깊이에 1킬로미터 길이의 터널을 뚫어서 거길 통해서 오염수를 방류한다 이런 계획인거죠?
◀ 기자 ▶
오염수는 지금 후쿠시마 원전 부지에 130만 톤 가량 모아져 있는데, '알프스'라는 다핵종제거장비로 정화하고 바닷물로 희석해서 3~40년 가량 흘려보내겠다는 겁니다.
◀ 앵커 ▶
그러니까 오염수 저장 탱크, 정화시설인 알프스, 그리고 해저 터널까지 모두 오염수 방류 과정의 핵심 시설들인데, 아직 최종 협의가 끝난 건 아닙니다만 일본이 이렇게 공개를 꺼리는 이유, 어떻게 봐야 할까요?
◀ 기자 ▶
표면적으로는 완공이 안 됐기 때문입니다.
해저 터널은 굴착이 다 됐는데 아직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사용 전 검사'가 끝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어디까지 공개할 수 있을지 일본 정부 논의가 필요하다는 건데요.
그런데 계획대로 6월까지 준비를 마치면 7월부터 당장 방류하겠다는 거거든요.
때문에 일본이 여전히 현장 시찰보다는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수준 정도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앞서 대만 시찰단도 그랬고 도쿄전력도 이 정도의 설명회는 지역 주민·시민단체에 이미 하고 있습니다.
어제 국장급 회의가 진행되던 도중에도 일본 정부 관계자가 외신 기자들에게 또 이런 말을 했습니다.
"한국 시찰단은 오염수의 안전성 평가나 검증을 하는 게 아니다."
일본이 완강한 이유입니다.
◀ 앵커 ▶
더군다나 우리는 오염수 시료를 별도로 채취하지도 않겠다고 했단 말이죠.
그럼 시찰단의 역할은 과연 뭐냐, 이런 우려가 당연히 나오는데요.
◀ 기자 ▶
오염수 채취를 못 하는 것도 결국 일본 정부의 반대 때문입니다.
서균렬 서울대 교수의 설명을 들어보겠습니다.
[서균렬/서울대 원자핵공학과 명예교수] "검증하려면 우리 자체의 그 잣대가 있어야 되는데 없잖아요. 가서 직접 퍼 오는 수밖에 없어요. 그걸 가지고 도쿄전력 웹사이트 숫자를 검증하는 거죠. 교차 검증이 되어야 하는 거에요."
이게 어렵다면 보관부터 정화·방류까지 설비를 보고 일본이 시료를 어떻게 분석하는지 들여다보겠다는 건데, 일본이 접근조차 막으면서 정부도 추가 협의를 앞두고 고심하고 있습니다.
◀ 앵커 ▶
시찰단이 일본까지 가서 자칫 일본의 홍보만 듣고 오는 게 아니냐 이런 지적도 있는 거 같아요.
일본이 시찰단 방문을 근거로 수산물 수입 재개까지 요청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는데 이건 어떻습니까?
◀ 기자 ▶
정부는 아직까진 '논의 대상도 아니다', 선을 긋고는 있습니다.
다만 다음달 국제원자력기구 IAEA가 최종 보고서에서 "문제 없다"는 결론을 내리면, 압박이 커질 수 있습니다.
IAEA는 앞서 일본이 검사 대상 핵종의 수를 64개에서 30개로 대폭 줄였을 때에도, 일본 손을 들어줬습니다.
일본 정부가 윤석열 대통령이 초청을 받은 G7 정상회의에서 '오염수 방류를 지지한다'는 성명을 추진할 거란 보도도 나오고 있는데, 주요국 지지를 발판으로 주변국의 반대를 무마하겠다는 일본의 구상에 대해서, 정부가 공언한 대로 '검증에 가까운 역할'로 국민적 불안을 풀 수 있을지, 대응을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영상편집 : 장예은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편집: 장예은
엄지인 기자(umji@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83315_36199.html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