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냉전 승리, 그 후… 반도체 패권 사수하는 美 속내는
이소연 기자 2023. 5. 13. 03: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몇 년 전 학교를 때려 부순 장발에 턱수염을 기른 꼬마들이 아니라, 우리야말로 오늘날 이 세상의 진정한 혁명가다."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의 공동 창립자 고든 무어(1929∼2023)가 1973년에 한 말이다.
반도체 기술력은 냉전 시기 미국이 가진 최고의 무기였다.
미국은 이후에도 반도체 패권을 쥐기 위해 총력전을 펼쳐 왔다.
최근에는 미국이 중국 현지에 있는 우리 반도체 기업의 생산 공정 업그레이드와 첨단 장비 도입마저 규제하려는 상황이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와 반도체 공생 관계 맺어… 공산주의의 확산 막아 냉전 승리
21세기 패권 전쟁서도 핵심 무기로… “中 반도체 독립 성공 땐 질서 재편”
한국 등 동맹국 압박하며 총력전
◇칩 워, 누가 반도체 전쟁의 최후 승자가 될 것인가/크리스 밀러 지음·노정태 옮김/656쪽·2만8000원·부키
21세기 패권 전쟁서도 핵심 무기로… “中 반도체 독립 성공 땐 질서 재편”
한국 등 동맹국 압박하며 총력전
◇칩 워, 누가 반도체 전쟁의 최후 승자가 될 것인가/크리스 밀러 지음·노정태 옮김/656쪽·2만8000원·부키
“몇 년 전 학교를 때려 부순 장발에 턱수염을 기른 꼬마들이 아니라, 우리야말로 오늘날 이 세상의 진정한 혁명가다.”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의 공동 창립자 고든 무어(1929∼2023)가 1973년에 한 말이다. 냉전이 벌어지던 당대 세상을 바꾼 건 “금지를 금지하라”고 했던 ‘68혁명’이 아니라 실리콘밸리의 ‘반도체 혁명’이었다는 얘기다. 요즘은 반도체가 들어가지 않는 가전기기가 별로 없다. 무어의 말대로 반도체는 삶의 방식을 바꿨다.
라이프스타일뿐일까. 미국 터프츠대 국제사 교수인 저자는 반도체가 현대의 세계사를 결정지었다고 본다. 책은 반도체 패권을 놓고 벌어진 세계 각국과 반도체 기업의 전쟁사를 미국의 관점에서 조망했다. 100명이 넘는 과학자와 엔지니어, 정부 관료, 최고경영자(CEO)와의 인터뷰를 통해 반도체가 바꾼 현대의 정치·경제·사회사를 그려냈다.
반도체 기술력은 냉전 시기 미국이 가진 최고의 무기였다. 저자는 반도체 기술의 우위를 선점한 미국이 아시아 국가와 ‘반도체 공생 관계’를 맺어 공산주의의 확산을 저지했다고 분석했다. 1960년대 미국과 일본 정부는 미국 반도체 기업 텍사스인스트루먼트가 일본에 생산기지를 열도록 했다. 대만과 싱가포르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미국은 이들 국가에 미국 반도체 기업의 해외 설비 공장을 허가하는 방식으로 경제동맹을 구축했다. 이로써 세계 경제의 패권을 장악하고 냉전에서 승리했다는 분석이다.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의 공동 창립자 고든 무어(1929∼2023)가 1973년에 한 말이다. 냉전이 벌어지던 당대 세상을 바꾼 건 “금지를 금지하라”고 했던 ‘68혁명’이 아니라 실리콘밸리의 ‘반도체 혁명’이었다는 얘기다. 요즘은 반도체가 들어가지 않는 가전기기가 별로 없다. 무어의 말대로 반도체는 삶의 방식을 바꿨다.
라이프스타일뿐일까. 미국 터프츠대 국제사 교수인 저자는 반도체가 현대의 세계사를 결정지었다고 본다. 책은 반도체 패권을 놓고 벌어진 세계 각국과 반도체 기업의 전쟁사를 미국의 관점에서 조망했다. 100명이 넘는 과학자와 엔지니어, 정부 관료, 최고경영자(CEO)와의 인터뷰를 통해 반도체가 바꾼 현대의 정치·경제·사회사를 그려냈다.
반도체 기술력은 냉전 시기 미국이 가진 최고의 무기였다. 저자는 반도체 기술의 우위를 선점한 미국이 아시아 국가와 ‘반도체 공생 관계’를 맺어 공산주의의 확산을 저지했다고 분석했다. 1960년대 미국과 일본 정부는 미국 반도체 기업 텍사스인스트루먼트가 일본에 생산기지를 열도록 했다. 대만과 싱가포르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미국은 이들 국가에 미국 반도체 기업의 해외 설비 공장을 허가하는 방식으로 경제동맹을 구축했다. 이로써 세계 경제의 패권을 장악하고 냉전에서 승리했다는 분석이다.
미국은 이후에도 반도체 패권을 쥐기 위해 총력전을 펼쳐 왔다. 1980년대 일본 정부는 자국 반도체 기업에 막대한 보조금을 지원하고 저리 대출을 내주며 지원했다. 일본의 하이테크 산업이 미국을 앞지르자 미국 국방부는 즉각 ‘특별대책본부’를 꾸렸다. 반도체 산업의 위기를 곧 국가 위기로 인식하고 대응에 나선 것. 결국 1986년 미국 정부는 일본 정부에 ‘메모리 칩 수출 쿼터’를 강제해 미국에서 판매되는 일본산 칩의 수량을 제한했다. 1980년대 인텔을 포함한 실리콘밸리의 기업들이 후발 주자인 삼성에 투자한 이유 역시 일본의 메모리 칩 시장 점유율을 약화시키기 위해서였다.
21세기 반도체 전쟁은 중국과 벌이고 있다. 2020년 미국 상무부는 중국의 정보기술(IT) 대기업 화웨이를 겨냥한 ‘수출 통제 명단’을 발표했다. 화웨이가 미국 기술이 이용된 고성능 컴퓨터 칩을 구입하지 못하도록 수출 자체를 막아버린 것. 이에 맞선 중국은 ‘반도체 독립’을 위해 외국의 반도체 제조사를 인수하고, 자국 기업에 막대한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저자는 “중국의 반도체 독립이 성공한다면 세계 경제를 다시 만들고 군사력의 균형을 재설정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도체 산업이 미중 간 헤게모니 전쟁의 최전방으로 변한 것이다.
21세기 반도체 전쟁은 중국과 벌이고 있다. 2020년 미국 상무부는 중국의 정보기술(IT) 대기업 화웨이를 겨냥한 ‘수출 통제 명단’을 발표했다. 화웨이가 미국 기술이 이용된 고성능 컴퓨터 칩을 구입하지 못하도록 수출 자체를 막아버린 것. 이에 맞선 중국은 ‘반도체 독립’을 위해 외국의 반도체 제조사를 인수하고, 자국 기업에 막대한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저자는 “중국의 반도체 독립이 성공한다면 세계 경제를 다시 만들고 군사력의 균형을 재설정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도체 산업이 미중 간 헤게모니 전쟁의 최전방으로 변한 것이다.
최근에는 미국이 중국 현지에 있는 우리 반도체 기업의 생산 공정 업그레이드와 첨단 장비 도입마저 규제하려는 상황이다. 한국의 생존 전략은 무엇일까. 저자는 한국어판 서문에서 “한국의 반도체 기업이 세계 어떤 시장보다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며 “중국이 따라잡을 수 없을 정도로 높은 기술 격차를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 얼핏 맞는 말 같지만 결국 한국은 피해를 감수하고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미국의 시도에 동참하라는 말처럼 들린다. 그야말로 총력전이 벌어지고 있다.
이소연 기자 always99@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코인 논란’ 김남국, 민주 탈당…“정치공세 맞서 진실 밝힐 것”
- “박정희 목 따러 왔다”던 김신조가 부동산 시장에 남긴 것들[황재성의 황금알]
- 문체부, ‘거대 뉴스포털’의 편향·불공정성 논란에 “다각적 대책 추진”
- 윤석열 정부의 부동산 정책 1년 성적표는?
- “졸업식 다음날 서울로 유학형 탈북을 했어요”[주성하 기자의 북에서 온 이웃]
- 中 최신예 초음속 스텔스 드론, 韓·태평양 미군기지 엿본다
- 美 은행 잇단 파산, 연준 고강도 긴축 후유증이 오고 있다
- 이재용, 美서 일론 머스크 만났다…무슨 얘기 오갔나
- 폐수 없이 리튬 대량 ‘채굴’하고, OO까지 없애는 기술[허진석의 톡톡 스타트업]
- [단독]이지스자산운용, 前대표 가족회사 밀어주기 추가 의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