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서울 갔을때 휴대폰 3대 사용하던 택시 기사 인상 깊어”
‘바드’ 한국어 서비스 이유 설명
“1999년 서울에서 택시를 탔는데, 기사가 휴대폰 3대를 사용하던 모습이 강렬하게 남아 있습니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11일(현지 시각) 미 캘리포니아 서니베일의 구글 클라우드 사옥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구글의 인공지능(AI) 챗봇 ‘바드’에 영어 외 처음으로 선택한 언어가 왜 한국어와 일본어인가”라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다. 한국이 첨단 기술력에 대한 수용력이 높기 때문에 바드 한국어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출시했다는 것이다. 그는 “한국과 일본은 신기술 수용의 최첨단을 달리는 매우 역동적이고 흥미로운 지역”이라며 “이 두 시장에 바드를 확대하는 것은 큰 가치가 있다”고 했다.
구글은 하루 전인 10일 바드를 전 세계 180여 나라에 전면 공개하면서 한국어와 일본어 서비스 지원을 시작했다. 사용자가 더 많은 스페인어나 중국어, 힌두어를 제친 것이다. 피차이 CEO는 “한국어와 일본어는 언어적으로 영어와 매우 다르다”며 “(도전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스로 밀어붙이는 것이 다른 새로운 것들을 시도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했다.
이날 피차이 CEO는 AI 개발에 과감하면서도 책임감 있는 균형감을 강조했다. 그는 “현재 우리는 AI로 인한 변곡점에 있다고 생각한다”며 “AI 기술이 얼마나 강력한지 알고 있다. 이 때문에 기술과 규제 사이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테크 업계 일각에선 구글이 마이크로소프트(MS)와 오픈AI와의 AI 경쟁에서 뒤처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대해 피차이 CEO는 “특정 기술에 대한 초반 아이디어가 미래를 결정한다는 생각엔 동의하지 않는다”며 “구글은 그동안 쌓아온 것들이 뚜렷하고 앞으로 어떻게 나아갈 것인지 알고 있다”고 했다. 그는 “(AI를) 시간을 들여 제대로 만들고 싶다. 잘못하고 싶지는 않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