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 줄어든거 아니었어?…통계에 안잡힌게 100조라는데
12일 경제학계에 따르면 김영일 NICE평가정보 리서치센터장은 최근 ‘거시경제 환경 변화에 따른 가계부채 리스크 점검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상환부담이 2008년 금융위기 수준에 이른다고 밝혔다. 기준금리가 현재 수준인 3.5%일 경우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의 이자상환부담 비율은 약 4.5%로 2008년 8월과 유사하다는 주장이다. 당시 기준금리는 5.25%로 현재와 큰 폭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부채총량이 그동안 크게 늘어 내야할 이자가 커졌기 때문이다.
국내 가계대출 총량은 지난해를 기점으로 줄어들기 시작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대출 잔액은 1749조3000억원으로 1년전보다 7조8000억원 줄었다. 통계집계 이래 사상 첫 감축으로 고금리에 원리금부담이 커지자 목돈이 생기면 부채를 먼저 상환하는 경향이 커지고 주택시장이 침체되며 주택담보대출도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한은은 이와 관련 지난 1월 “작년 우량차주를 중심으로 디레버리징이 진행돼 가계대출에서 신용이벤트(위험) 발생 가능성에 대한 큰 우려가 없다”고 낙관하기도 했다.
개인사업자 대출금리가 통상 주담대 등 가계가 취급하는 금리보다 높은 것도 위험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현재와 같은 고금리 기조가 지속될 경우 신용위험이 그만큼 더 커지기 때문이다. 실제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높아지면 이같은 리스크가 현실화되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작년 4분기 기준 개인사업자대출의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26%로 2020년 2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더욱이 이들중 절반 이상인 56.4%(173만명)은 3곳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동시에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다.
전문가들은 향후 경기 정상화 과정에서 점증하는 개인사업자대출 리스크가 금융권으로 전이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코로나시기 개인사업자들이 버틸 수 있었던 것은 저금의 정책자금이었고, 포스트코로나 시기에도 이를 연장하면서 지금의 상황이 오게된 것”이라며 “이같은 정책자금들은 결국 시중 금융기관들이 흡수하는데 이경우 연체율이 지금보다 더 높아져 자금여력이 없는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부실이 확산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대구 학폭’ 중학생 아들이 유서에 남긴 마지막 당부...母 ‘오열’ - 매일경제
- 쏘나타 타보니 “어이가 없네”…그랜저엔 ‘하극상’, K5엔 ‘설상가상’ [카슐랭] - 매일경제
- “택시 탔는데 운전기사가”...구글이 한국어 서비스 선택한 진짜 이유 - 매일경제
- [단독] 카카오 구조조정...클라우드 남기고 엔터프라이즈 해체 - 매일경제
- “제발 청약통장 해지 마세요”…주식 운용사들이 읍소한 까닭 - 매일경제
- [단독] ‘코인 논란’ 김남국...작년 ‘국가애도기간’ 때도 40차례 코인거래 - 매일경제
- “앗 잘못보냈다”…착오송금 되돌려주는 제도, 세계가 주목 - 매일경제
- 대만발 ‘스마트폰 두뇌’ 전쟁…삼성 반전 승기 잡았다[위클리반도체] - 매일경제
- “올드한 이미지 벗자” 2040에 손내미는 패션업체들 - 매일경제
- 손흥민 세계 최고 레프트윙…음바페는 전체 1위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