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전의 교훈…"국방 AI, 우리가 안 쓰면 적들이 쓴다" [긱스]

이시은 2023. 5. 12. 17:2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프리미엄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한경 긱스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인공지능(AI)은 이미 한 국가의 군사력을 좌우하는 ‘게임 체인저’가 됐습니다. 최근 우크라이나전에선 적군 얼굴을 인식하는 소프트웨어(SW)부터 자율형 전투 무기까지 등장하며, 미래전이 현실화했다는 말이 나왔습니다. 국내서도 ‘AI 전략화’ 움직임은 빨라지고 있습니다. 3회차를 맞은 ‘국방 AI 스타트업 포럼’에 참가한 창업가들 역시 위성감시·지뢰탐지·시스템 보안 등 넓은 국방 영역에서 급격한 AI 기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경 긱스(Geeks)가 행사 발언들에 창업가 개별 인터뷰를 더해 내용을 재구성했습니다.

“인공지능(AI) 기반 ‘초거대 위성 모델’을 이달 말 세계 최초로 공개합니다.”

인공위성 스타트업 SIA의 전태균 대표는 지난 9일 ‘국방 AI 스타트업 포럼’에서 “성능 지표인 파라미터(매개변수)는 24억 개로 오픈AI ‘GPT-2’에서 ‘GPT-3’ 사이 수준”이라며 “군이 가장 고민하는 표적 데이터 부족 문제를 초거대 AI 기술로 해결할 수 있다”고 했다.

국방 AI 스타트업 포럼은 한국경제신문 AI미래포럼(AIFF)과 한국국방연구원 국방데이터연구단이 주최하고, 한국IT서비스학회와 한국국방기술학회가 후원하는 AI 스타트업 소개 행사다. 3회차를 맞은 현장엔 SIA를 포함해 T3Q, 아스트론시큐리티 등 3개 스타트업이 자리했다.

 적 전투기 기종, AI는 다 안다

SIA의 위성영상 분석 프로그램. AI가 항공기를 개체별로 인식하고 분석한다. SIA 제공


SIA는 인공위성이 찍어온 영상을 AI로 분석해주는 업체다. 인공위성 제조 업체인 세트렉아이의 자회사로 2018년 설립됐다. 국립기상과학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등에서도 이들 분석 시스템을 찾는데 주요 고객은 감시정찰 데이터 관리가 필요한 군이다. 전 대표는 “위성 발사 주기가 짧아지고 비용이 낮아지는데 스페이스X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며 “위성 프로그램 전체의 생산성이 늘어나며 AI 기반 데이터 처리가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전 대표는 “방대한 언어를 분석하는 챗 GPT처럼 인공위성이 찍은 영상도 초거대 AI 모델로 분석하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텍스트를 넘어 영상 등 다양한 정보 형태로 AI와 소통하는 이른바 ‘멀티 모달’ 개념의 도입이다.

실제로 적진을 찍은 위성 데이터는 분량이 적거나 흐린 경우가 많다. 북한군 역시 촬영을 예상하고 표적을 숨겨 이동하기 때문이다. 초거대 AI 모델은 이런 상황에서 인간처럼 추론하고 판단을 내릴 수 있다. 흐릿한 적 전투기가 찍혀도 AI가 기종을 짚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전 대표는 “2년 전부터 준비를 이어왔으며, 슈퍼 컴퓨터 센터와도 협력했다”며 “하반기 초거대 AI를 공개한 다음, 1000억개 파라미터 보유 모델도 개발 예정”이라고 전했다.

줄어드는 군 병력에 대한 대안으로 다양한 AI 프로젝트가 각광받고 있다. 한경DB

T3Q를 이끄는 박병훈 대표는 자사를 ‘한국의 팔란티어’로 소개했다. 팔란티어는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연방수사국(FBI)의 국가 안보 관련 데이터 일감을 소화하며 성장한 미 증시 상장사다. T3Q는 국방 관련 다양한 과제를 수행해 왔다. 육군공병학교와 함께 AI 지뢰탐지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국방과학연구소와 함께 영상 속 북한 주요 요인에 대한 인물정보를 분석했던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최근 집중하는 과제는 AI 기반 지휘통제 시스템 확립이다. 전장에서 지휘관들의 의사결정과 전력 운용을 돕는 지능형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이다. 군 병력이 줄어들수록 AI를 활용해 적재적소에 병력을 운용하는 기술은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박 대표는 “데이터의 원천이 문서든 영상이든 소리든 상관없이 실시간으로 수집해, AI로 텍스트 데이터를 뽑아내는 것이 핵심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북한 무기체계를 강화학습해 부족한 무기 체계나 산하 부대의 기동 방식을 짚어주는 AI 프로젝트도 진행했다. 군 방첩부대와 주요 지휘관이 대상이다.

 "AI, 대량 살상 무기 빼곤 신속 실증해야"

클라우드 시장은 현재도 꾸준히 성장 중이다. 군 역시도 유연한 자원 활용을 위해 클라우드 도입을 늘리고 있다. 한경DB


아스트론시큐리티는 클라우드의 보안 시스템을 만드는 스타트업이다. 조근석 아스트론시큐리티 대표는 “최근 국방 분야에서도 클라우드 사용이 늘면서 계정 탈취나 사용자 설정 오류, 내부자 위협 등을 통한 보안 사고 위협이 커지고 있다”고 했다. 군의 전산망 체계는 흔히 자체 전산망(온프레미스)과 폐쇄 형태의 클라우드 시스템인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나뉜다. 당초 보안상의 이유로 온프레미스만 쓰다가, 서버 자원을 유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의 장점이 부각되며 형태가 다양해졌다. 조 대표는 “온프레미스는 서버마다 계정을 줘 관리가 어렵지만, 클라우드는 한 계정으로 쉬는 서버 없이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점이 다양해지며, 자연히 보안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은 늘었다. 계정 탈취 등 3가지 요인은 클라우드 보안 사고의 90%를 차지한다는 설명이다. 아스트론시큐리티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응용프로그램 보호 플랫폼(CNAPP)’을 강조하는 업계 트렌드를 AI 기술과 합쳐 국방 분야에 접목했다. 침입 경로가 많아진 만큼 AI의 역할이 늘었다는 것이다. 조 대표는 “특히 여러 회사의 클라우드를 쓰는 ‘멀티클라우드’ 체계에서, 보안 사각지대를 막는 AI 탐지 기술을 적용한 것이 장점”이라고 말했다.

국방 분야 AI 접목은 더 빠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이다. 이날 행사에서 김동환 LIG넥스원 연구위원은 올해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 있었던 미하일로 페드로프 우크라이나 부총리 겸 디지털혁신부 장관의 발언을 꺼내 들었다. 페드로프 장관은 2019년 대선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당선을 지원하고 입각한 32살의 젊은 장관이다. 

러시아가 만든 젤렌스키 대통령의 딥페이크 항복 영상. 맨디언트 제공

페드로프 장관은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구글 등 모든 기업이 우크라이나를 지원했다”면서도 “가장 큰 역할을 했던 것은 팔란티어의 AI”라고 말했다. 실제로 전쟁에서 나타난 AI 활용 방식은 ‘AI 무기’와 같은 직관적 개념을 훨씬 뛰어넘었다. SIA가 개발 중인 시스템처럼, 상용 위성 및 정찰 드론이 찍어온 영상을 AI로 정확하게 만든 사례가 대표적이다. 반대로 러시아 진영 측에선 AI 영상합성 기술인 ‘딥페이크’를 활용해 젤렌스키 대통령이 항복하는 듯한 영상을 조작해 선전에 활용하기도 했다. 

김 연구위원은 “단순히 센서와 공격 장치가 연결된 ‘킬체인’이 아니라, 전쟁의 개념 자체가 바뀌고 있다”며 “팔란티어의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는 이미 오픈AI사의 초거대 AI 모델인 GPT-4를 장착해 임무를 수행하는 중”이라고 했다. 팔란티어와 같은 ‘방산 유니콘’ 성공 사례를 키워내는 한편, 군의 현장 실증이 더욱 늘어야 한다고도 했다. 그는 “윤리적으로 AI를 적용할까 말까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대규모 자율 살상무기(LAWS)’를 제외한 나머지 기술을 전장에 빨리 적용해 적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참 한 가지 더

포화 한 가운데로…11조 ‘국방 유니콘’ 보유한 美

미국 국방 유니콘 업체들의 자금 유치 속도는 자동차와 같은 전통 산업군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다. LIG넥스원 제공

‘AI 군대’는 필연적으로 윤리 논란을 포함한다. 미국에서도 마찬가지다. 다만 치열한 논쟁을 거쳐 실증에 성공하고, 기업가치를 키워 상장에 도전하는 ‘국방 유니콘’은 증가 추세다. 미국에선 이들 업체 중 특히 두각을 나타내는 스타트업 6개의 앞 글자를 딴 ‘SHARPE Cohort(집단)’라는 별칭까지 생겨난 상태다.

가장 앞서가는 회사는 2003년 탄생한 팔란티어(SHARPE의 ‘P’)다. 팔란티어는 이미 2020년 상장한 상태라 이들과 묶이기엔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다만 팔란티어의 공동 창업자 중 한 명인 피터 틸이 앤듀릴(SHARPE의 ‘A’)에도 투자한 상태라 함께 회자된다. 앤듀릴은 AI 기반 군사용 드론을 만든다. 메타에 매각된 가상현실(VR) 기기 제작사 오큘러스의 창립자 팔마 럭키가 2017년 설립했다. 지난해 말 시리즈E 라운드에서 14억8000만달러(1조9700억원)를 유치, 기업가치 84억8000만달러(11조3100억원)를 인정받았다.

실드 AI와 호크아이360은 각각 ‘S’와 ‘H’를 상징하는 회사다. 양사는 2015년 설립됐다. 실드 AI는 군용 자율 비행 시스템을 만드는데, 지난해 23억달러(3조원) 상당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호크아이360는 나노위성으로 지상을 감시하는 기술을 갖고 있다. 2018년 설립된 이피러스(SHARPE의 ‘E’)는 에너지 무기를 개발한다. 올해 초엔 미 육군을 대상으로 6610만달러(882억원)짜리 계약을 따내기도 했다. 2019년 창립된 리벨리온(SHARPE의 ‘R’)은 전술 분석 소프트웨어(SW) 등을 만든다. 2021년 시리즈B 라운드를 유치한 상태로, 이미 2000억달러 상당 자금을 모았다.

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