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광주천 ‘뽕뽕다리’ 48년만에 재개통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60년대 방직산업 호황기 광주 서구 양동 발산마을과 북구 임동 방직공장을 잇던 이른바 '뽕뽕다리'가 48년 만에 재개통했다.
광주시는 11일 오후 양3동 발산마을 앞에서 '뽕뽕다리' 개통식을 열었다.
서구는 도시재생 사업의 일환으로 역사 문화자원 발굴과 함께 대표적 도시재생 사례로 거듭난 '청춘 발산마을'의 활성화를 위해 뽕뽕다리의 재건립을 추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60년대 방직산업 호황기 광주 서구 양동 발산마을과 북구 임동 방직공장을 잇던 이른바 ‘뽕뽕다리’가 48년 만에 재개통했다.
광주시는 11일 오후 양3동 발산마을 앞에서 ‘뽕뽕다리’ 개통식을 열었다.
교량의 명칭은 ‘발산 뽕뽕다리’다. 길이 65m·폭 5m의 인도교다. 2021년 6월 착공해 지난 달 공사를 모두 마쳤다. 공사에는 광주시·서구·북구 등의 예산 29억 원이 투입됐다.
공사 주체인 서구는 옛 뽕뽕다리의 모습을 현시점에 적합한 형태로 재현했다. 특히 광주천에 비친 교량의 모습이 과거 뽕뽕다리를 연상할 수 있도록 했다. 캐노피와 전망대·야간 조명시설도 설치했다.
1960년대 방직산업이 호황을 이루던 시절 북구 임동에 위치한 방직공장에서 일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여공들이 모여들었다. 공장기숙사가 부족해 직원들의 수용이 어려워지자 상당수 여공들은 방값이 저렴한 광주천 건너 발산마을로 찾아들었다. 이들이 방직공장 출·퇴근을 위해 건넌 다리가 바로 ‘뽕뽕다리’다.
당시 뽕뽕다리는 공사장 안전발판으로 쓰이는 구멍 뚫린 철판을 엮어서 만든 임시 교량이었다. 구멍이 숭숭 뚫린 철판으로 만들었다고 해 시민들은 임시교량을 뽕뽕다리로 불렀다. 철판은 원래 2차 세계대전 때 태평양에서 미군이 비행기 활주로를 건설하면서 우천 시 배수가 잘되도록 고안한 것이다.
누가 뽕뽕다리를 가설했는가에 대해서는 지금도 의견이 분분하다. 방직공장 측에서 발산마을에 거주하는 직원들의 통행편의를 위해 세웠다는 설이 있는가 하면 전남도 산하기관이 건설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지난 1973년 뽕뽕다리 인근에 발산교가 새롭게 만들어지면서 점차 이용자가 줄었고, 2년후인 1975년에는 결국 홍수에 떠내려가고 말았다.
서구는 도시재생 사업의 일환으로 역사 문화자원 발굴과 함께 대표적 도시재생 사례로 거듭난 ‘청춘 발산마을’의 활성화를 위해 뽕뽕다리의 재건립을 추진했다.
김이강 광주서구청장은 “새로 들어선 뽕뽕다리가 광주천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구도심 활성화에 기여하는 한편 문화관광 명소로 발전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광주 홍행기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제자 휴학시켜 유학비 벌게한 여교수…그 돈 ‘자기 자녀 유학비’ 썼다
- “딸 나체사진 유포하겠다”…보이스피싱범, 접선 현장서 덮쳤다
- 이번엔 70대 할아버지…여중생에 “연락달라” 명함 뿌려
- “노골적 성적 이야기”… 여성 중증장애인만 골라 성희롱한 콜택시 기사
- 어린이집서 사라진 2살 아이, 4차선 도로서 발견
- 룸카페에 담요도…여고생·성인 남성 함께 있었다
- 남편과 싸운 뒤 복권 샀는데…월 1100만원 잭팟
- “오늘 3명 죽였다”…칼부림 중국인 초등학교 앞 체포
- “연습 좀 하자” 중학생 허벅지에 ‘20㎝ 잉어 문신’ 새겨
- 대박났던 임창정 ‘소주한잔’ 술 시장서 퇴출…재고만 팔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