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시찰단, 韓 "협의" vs 日 "설명회"…중국은 "日이 마셔봐"

김지훈 기자 2023. 5. 12. 09:3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후쿠시마 오염수 현장 시찰단을 파견하기 위해 일본 측과 12일 국장급 협의를 벌인다.

앞서 시찰단의 활동이 검증에 해당한다는 우리 측 입장에 대해 일본 측이 "검증이 아니다"라고 밝힌 가운데 이날 양국 간 회동에 대해서도 우리 측은 "협의" 일본 측은 "설명회"라는 입장을 냈다.

다만 일본 외무성이 "ALPS 처리수 현황에 대한 한국 정부용 설명회"라며 협의 표현을 배제하는 등 일본 측에서는 우리 측과는 결이 다른 대외 메시지가 이어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300]
(오쿠마 로이터=뉴스1) 권진영 기자 = 2023년3월8일 일본 후쿠시마현 제1 원자력발전소에서 도쿄전력 직원이 ALPS로 정화 작업을 마친 방사능 오염수가 담긴 병을 들고 있다. ⓒ 로이터=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부가 후쿠시마 오염수 현장 시찰단을 파견하기 위해 일본 측과 12일 국장급 협의를 벌인다. 앞서 시찰단의 활동이 검증에 해당한다는 우리 측 입장에 대해 일본 측이 "검증이 아니다"라고 밝힌 가운데 이날 양국 간 회동에 대해서도 우리 측은 "협의" 일본 측은 "설명회"라는 입장을 냈다.

이날 우리 측은 외교부 윤현수 기후환경과학외교국장이, 일본 측에서는 외무성 카이후 아츠시 군축불확산과학부장이 수석 대표를 맡아 양측 관계부처가 참석하는 협의를 연다. 이달 23∼24일 현장 시찰에 나설 한국 전문가 시찰단의 일정과 이들이 둘러볼 시설 등을 구체적으로 조율한다.

(오쿠마 AFP=뉴스1) 권진영 기자 =2023년4월 일본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의 다카하라 겐이치 위험 소통관이 다핵종 제거설비(ALPS)를 살펴보고 있다.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리 정부는 일본의 오염수 정화 시설인 다핵종제거설비(ALPS) 시스템 가동 상황 등 오염수 처리 역량 확인에 중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본 외무성이 "ALPS 처리수 현황에 대한 한국 정부용 설명회"라며 협의 표현을 배제하는 등 일본 측에서는 우리 측과는 결이 다른 대외 메시지가 이어졌다.

9일 니시무라 야스토시 일본 경제산업상이 우리 시찰단 활동에 대해 "한국 측의 이해를 깊게 하기 위한 대응"이라며 "안전성에 대해 평가나 확인을 하는 것은 아니다"고 했다. 반면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은 전날 국회에 출석해 "추가적인 중층적인 검증을 할 수 있는 그런 기회"라고 했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정화시설(ALPS) 소개 페이지. /사진=일본 정부 홈페이지 캡처

우리 외교부 당국자는 "한일 양측이 서로 선호하는 표현이 달라 명칭에도 차이가 있다"고 했다.

2011년 3월 폭발 사고가 난 후쿠시마 원전에서는 하루 140t 안팎의 고농도 방사성 오염수가 생성되고 있으며 도쿄전력은 이를 ALPS로 정화해 원전 부지 내 물탱크에 보관해 왔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에서 방사성 핵종을 제거했다는 점을 앞세워 '오염수'가 아닌 '처리수'가 맞는다는 입장이지만 우리 정부는 '오염수'를 고수해 왔다. 중국은 '핵오염수'라며 강하게 반발해 왔다. 반면 일본 정부나 정치권에선 '처리수' 안전성에 자신감을 보이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아소 다로(麻生太?) 일본 자민당 부총재가 11일 오후 김포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2023.5.11/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소 다로 전 부총리는 2021년 일본 국내에서 열린 기자회견 도중 오염수에 대해 "중국이나 한국이 바다에 방출하고 있는 것 이하"라며 "그 물을 마시더라도 별일 없다"고 했다.

그러자 '전랑(戰狼·늑대전사) 외교'의 마스코트격이던 자오리젠 당시 중국 대변인이 정례브리핑에서 "그러면 아소 다로 총리가 그 물을 마신 다음에 얘기하자"고 맞섰다. 왕원빈 외교부 대변인도 최근 "그럼 왜 국내에 방류하거나 농업·공업용수로 쓰지 않느냐"고 논평했다.

김지훈 기자 lhshy@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