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만년전 기후 시뮬레이션 성공” 혹독한 기후변화 속 인류 진화비결 찾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류가 혹독한 기후변화에도 살아남을 수 있었던 비결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
인류의 조상인 호모종이 다양한 생태환경을 가진 지역으로 거주영역을 확장해나간 덕분이다.
악셀 팀머만 단장은 "인류학에 기후-식생 모델링 연구를 접목한 덕분에 세계 최초로 자연환경에 대한 인류 조상의 거주지 선호도를 대륙 규모로 입증했다"며 "호모종에 대한 '다양성 선택 가설'을 새롭게 제안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다양한 생물 군계에 대한 적응력 키워나가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인류가 혹독한 기후변화에도 살아남을 수 있었던 비결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 인류의 조상인 호모종이 다양한 생태환경을 가진 지역으로 거주영역을 확장해나간 덕분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 연구단 악셀 팀머만 단장(부산대 석학교수) 연구팀은 역대 최장 기간의 고기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이를 방대한 고고학 자료와 결합해 300만 년에 걸친 인류 조상의 자연환경 선호도를 밝혀냈다. 이번 연구성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5월 12일(한국시간) 게재됐다.
현생 인류의 조상으로 분류되는 호모종은 지난 300만 년 동안 여러 차례의 빙하기와 간빙기를 겪으며 진화해 왔다. 그러나 초기 인류가 기후변화와 이에 따른 자연환경 변화에 어떻게 적응했는지는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과거 200만 년에 걸친 기후를 시뮬레이션하고, 인류 조상이 시대별로 살았던 서식지를 추정한 연구 결과를 2022년 4월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보다 100만 년을 더한 과거 300만 년의 기온, 강수량 등의 기후 자료를 생성하여 기후 기반 식생 모델을 구축했다.
이 시뮬레이션 정보를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의 유적지와 화석 등 3232개의 방대한 고고학 자료에 대입해 호모종 서식 지역의 생물 군계(Biomes) 유형을 11가지로 분류했다. 이어 각 호모종이 선호한 생물 군계를 특정했다.
200~30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최초로 출현한 초창기 호모종(호모 에르가스터, 호모 하빌리스)은 초원과 건조 관목지대 등 개방된 환경에서만 살았다. 하지만 약 180만 년 전 호모 에렉투스,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와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등은 유라시아로 이주하면서 온대림과 냉대림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 군계에 대한 적응력을 키웠고 이 과정에서 여러 사회적 기술들을 개발했다
다양한 생물 군계에 대한 높은 적응력은 20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서 출현한 우리의 직계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가 이동성, 유연성, 그리고 경쟁성 등 다양한 부분에서 그 이전 어떤 호모종 보다도 유능하게 만들었다. 덕분에 다른 호모종이 개척하지 못한 사막과 툰드라와 같은 가혹한 환경에서도 살 수 있었다.
나아가, 호모종이 선호하는 환경 특성을 면밀히 살펴본 결과, 생물 군계의 다양성이 증가한 지역에 거주지가 밀집한 것을 발견했다. 즉, 호모종이 다양한 식물과 동물 자원이 가까이 있는 모자이크식 자연환경을 선호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성을 추구하는 선택이 도구 개발과 인지 능력에 영향을 주어 극한의 변화에 대한 호모종의 회복력과 적응력을 증가시켰음을 시사한다.
연구를 이끈 엘크 젤러 학생연구원(부산대 박사과정)은 “다양한 자연환경과 식생이 인간의 생존을 위한 필수 요소이자, 사회 문화적 발전을 위한 잠재적 원동력임을 확인했다”며 “초기 인류의 생존 전략에 대한 전례 없는 견해를 제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악셀 팀머만 단장은 “인류학에 기후-식생 모델링 연구를 접목한 덕분에 세계 최초로 자연환경에 대한 인류 조상의 거주지 선호도를 대륙 규모로 입증했다”며 “호모종에 대한 ‘다양성 선택 가설’을 새롭게 제안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진화생물학과 인류학 연구를 위한 핵심 도구로 부상하고 있는 슈퍼컴퓨터를 활용했으며, IBS의 슈퍼컴퓨터 ‘알레프(Aleph)’는 한국의 가장 빠른 과학 슈퍼컴퓨터 중 하나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7살한테 오빠와 성관계하라" 계모의 충격 학대 뒤늦게 고발한 30대
- ‘분홍신’ ‘삐삐’ 작곡가들 “표절 안 했다…아이유 마음에 상처 남기지 않기를”
- “현대카드, 애플페이 편애하더니” 결국 터질 게 터졌다…삼성과 결별 위기
- 가수 한혜진 "남편 저녁밥 같이 먹고 다음날 떠나…매일 울며 지내"
- “이걸 240만원에 판다고?” 삼성 배신한 ‘접는폰’ 실체 알고 보니
- 신정환 “도박하기 전인 16년 전으로 돌아가고 싶다”
- “이 문자 받은 적 있죠?” 요즘 쏟아지는 문자, 무턱대고 전화했다간
- 오재원 "코리안특급 너무 싫어한다"…박찬호 공개 저격, 왜?
- “영화인 줄 았았는데, 실화냐” 현실은 더 끔찍했다 [지구, 뭐래?]
- "미모의 여성 연락줘요" 중랑구 학부모 뒤집은 할아버지의 명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