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북어부 평생 ‘간첩’ 꼬리표…잃어버린 51년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71년 동해에서 조업하다 강제 납북된 어부만 160여 명입니다.
남한으로 돌아올 수는 있었지만, 간첩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살아야 했는데요.
진실화해위원회가 51년 만에 국가의 잘못을 공식 인정했습니다.
이기상 기자입니다.
[기자]
1971년 9월, 열일곱 살 조해웅 씨는 형이 선장이던 오징어 잡이배를 타고 동해로 조업 나갔습니다.
[조해웅 / 납북귀환어민]
"밑에 칸에 잠자는데 근데 총소리가 막 나니까 한참 있다 보니까 막 북한군들이 총 들고 배에 올라온 거야."
북한으로 끌려갔는데 비슷한 시기 이렇게 납북된 어부만 160명.
이들은 북한에 억류돼 김일성 찬양 교육을 받고 공장 시찰을 다녀야 했습니다.
[김춘삼 / 납북귀환어민]
"김일성이 가장 위대한 사람이라든가 그런 식의 교육이었죠. 저희가 할 수 있는 거는 아무것도 없어요."
적십자회담으로 남북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던 이듬해 9월, 북한은 이들을 모두 돌려보냈습니다.
하지만, 고향에 돌아온 그 날 밤부터 검찰과 경찰의 조사를 빙자한 고문이 시작됐습니다.
[조해웅 / 납북귀환어민]
"이렇게 장작개비 끼워 넣고 올라타고, 묶고, 고춧가루 해가지고 붓고 너희들은 죽어도 하소연할 데 없다고 간첩으로 모는 거지."
결국, 반공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고 징역 1년에 집행유예 3년이 선고됐습니다.
'간첩' 꼬리표는 본인과 가족들에게 평생을 따라다녔습니다.
[김춘삼 / 납북귀환어민]
"가족들은 연좌제에 걸려서 좋은 곳에 취직을 못 했어요. 간첩이라는 누명 때문에."
진실화해위원회는 납북귀환어민들에 대한 국가의 부당한 처벌과 불법 감시·사찰이 있었음을 공식 인정했습니다.
간첩 멍에를 쓴지 51년 만입니다.
[김춘삼 / 납북귀환어민]
"그 힘든 멍에를 벗는다는 게 가장 기쁜 일이죠. 일단은 그 이상 더 좋은 것은 없어요."
채널A 뉴스 이기상입니다.
영상취재 : 박연수
영상편집 : 이혜진
이기상 기자 wakeup@ichannela.com
Copyright © 채널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