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中사업 ‘몸살’… 美·中 고래싸움에 ‘썰’만 터져

김준석 2023. 5. 11. 18: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 메모리반도체 시장 침체의 직격탄을 맞으며 1·4분기 역대 최악의 실적을 기록한 SK하이닉스가 미·중 패권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겹치며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중국 우시와 다롄에서 각각 D램과 낸드플래시 생산시설을 운영 중인 SK하이닉스는 미국의 대중 규제가 갈수록 강화되면서 철수설, 완공지연설 등으로 골머리를 썩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규제에 ‘레거시’ 위주 재편설
1년전 증설 시작한 다롄 2공장은
장비 반입 늦어지며 완공 지연설
SK하이닉스 "사실무근" 선그어
SK하이닉스 중국 우시 공장의 모습. SK하이닉스 제공
SK하이닉스 中사업 ‘몸살’… 美·中 고래싸움에 ‘썰
세계 메모리반도체 시장 침체의 직격탄을 맞으며 1·4분기 역대 최악의 실적을 기록한 SK하이닉스가 미·중 패권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겹치며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중국 우시와 다롄에서 각각 D램과 낸드플래시 생산시설을 운영 중인 SK하이닉스는 미국의 대중 규제가 갈수록 강화되면서 철수설, 완공지연설 등으로 골머리를 썩고 있다.

■"中 공장 레거시 제품 위주 재편"..."사실무근"

1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트렌드포스는 SK하이닉스가 중국 우시 공장 생산라인을 10나노미터급(1㎚=10억분의 1m) 2세대(1y)에서 3세대(1z) 중심으로 전환을 준비 중이었지만,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규제와 맞물리면서 21나노급 레거시 제품의 생산비중을 높이는 쪽으로 선회했다는 내용의 리포트를 내놨다. 미국의 규제로 우시 공장의 첨단 공정 개선이 무산되자 범용(레거시) 공정 생산에 집중할 것이라는 전망이었다.

그러나, SK하이닉스는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트렌드포스는 해당 리포트에서 SK하이닉스가 중국 공장에서 21나노급 D램 생산라인을 늘려 PC와 서버 등에 쓰이는 DDR3과 DDR4 규격의 D램 생산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PC와 모바일, 서버 분야의 최신제품은 DDR5로 SK하이닉스가 강점을 갖는 분야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레거시 제품 위주로 감산을 진행 중인 상황에서 수익성 등을 감안했을 때 SK하이닉스가 우시 공장에서 21나노 제품 위주로 재편한다는 것은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특히 DDR3는 D램 시장에서 10% 이하를 차지하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지난해까지만 주문을 받는다고 공지하는 등 업계에서는 수익성이 낮은 제품으로 분류되고 있다. DDR3는 주로 셋톱박스나 라우터, 모뎀 등 고성능 칩이 필요 없는 네트워킹 제품군에서 활용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우시공장에서 10나노 중·후반~20나노 초반 D램을, 다롄공장에서 96단과 144단 낸드플래시를 생산하고 있다. 특히 우시공장에서 생산되는 D램은 SK하이닉스 전체 D램 생산량의 48% 가량을 책임지는 등 핵심 생산시설 중 하나다.

■다롄 공장 '완공지연설' 선그은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인텔로부터 인수한 랴오닝성 다롄 공장도 미국의 장비 수출 규제에 발목이 잡히면서 완공지연설이 불거졌다. 그러나, SK하이닉스 측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를 통해 다롄 공장 매각설을 부인하며 "공장 건설을 계획대로 완료할 것"이라고 밝혔다.

SK하이닉스는 2020년 90억달러(약 12조원)를 들여 인텔의 낸드플래시 사업부를 인수하며 다롄 공장도 넘겨받았다. 지난해 5월 다롄 2공장을 착공한 SK하이닉스는 당초 올해 3~4월께 완공해 3차원(3D) 낸드를 양산할 예정이었으나 미국의 장비 수출 규제에 발목이 잡히면서 완공 시기가 늦춰진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업황 불황에 미국의 대중국 장비 수출 규제까지 겹치면서 불확실성이 높아지자 다롄 제2공장 증설이 늦어지는 것으로 추측된다"면서 "특히 대부분의 장비를 새로 반입해야 하는 제2공장의 경우 장비 수출 규제가 지금처럼 1년마다 연장 여부가 결정된다면 공격적인 투자가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미국 정부가 중국에서 생산활동을 하는 국내 기업에 대해서는 별도의 반도체 장비 반입기준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지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